$\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기반 참여와 사회생태적 관점에서 본 국내 쪽방지역 주민의 건강증진 역량강화 방안
Trends and implications of Jjok-Bang research in South Korea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mmunity-Based Participation and the Social Ecological Model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2 no.4, 2015년, pp.79 - 92  

김진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BK21PLUS 인간생명-사회환경 상호작용 융합사업단) ,  허현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BK21PLUS 인간생명-사회환경 상호작용 융합사업단) ,  정혜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BK21PLUS 인간생명-사회환경 상호작용 융합사업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of jjok-bang research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nd Social Ecological Model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future public health interventions, policy designs, and policy implementations. Meth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국내 쪽방지역 연구들을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의 핵심요인과 사회생태적 관점을 적용해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국내 쪽방지역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를 토대로 향후 쪽방지역 및 빈곤층에 대한 건강증진 역량강화방안 및 정책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쪽방지역에 대한 연구를 지역사회기반 참여 및 사회생태적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모든 과정은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연구보고 양식인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에 근거하였다(Moher, Liberati, Tetzlaff, & Altman, 2009).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1999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15년 간 발표된 국내 쪽방지역 연구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이들 문헌들을 지역사회기반 참여와 사회생태적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국내 쪽방지역의 연구 내용으로는 쪽방주민의 삶, 주거지 변화와 쪽방형성과정, 그리고 복지제도에 대한 내용이 많았다.
  • 그동안 쪽방지역과 거주민에 대해 여러 연구조사가 진행된 바 있으나, 이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한 연구가 없어 구체적 현황을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쪽방지역의 건강불평등을 완화 또는 해소하기 위한 건강증진 역량강화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와 사회생태적 모델이라는 두 가지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국내 외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목표를 이루고자 한다.
  •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에서 커뮤니티는 특정지역이라는 개념보다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비슷한 정체성이나 공통점을 지닌 공동체를 지칭한다(Minkler & Wallerstein, 2011). 지역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건강불평등에 대해 공동체 성원들이 참여하는 중재전략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고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 전체 역량을 높여 미래에는 지역주민들의 자체적인 대응능력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지역사회 문제를 근린공간의 구성원들이 스스로 인식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능동적 관심이며 자조집단을 형성하는 주체적 네트워크 형성이라고 볼 수 있다(Jung, Jung, Jang, & Cho, 20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에서 커뮤니티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는 지역사회 건강 수준을 증진시키거나 건강에 대한 사회적 불평등을 줄이는 것에 초점을 두는 연구 접근 방법이다(Israel, Schulz, Parker, & Becker, 1988).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에서 커뮤니티는 특정지역이라는 개념보다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비슷한 정체성이나 공통점을 지닌 공동체를 지칭한다(Minkler & Wallerstein, 2011). 지역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건강불평등에 대해 공동체 성원들이 참여하는 중재전략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고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 전체 역량을 높여 미래에는 지역주민들의 자체적인 대응능력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란 무엇인가?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는 지역사회 건강 수준을 증진시키거나 건강에 대한 사회적 불평등을 줄이는 것에 초점을 두는 연구 접근 방법이다(Israel, Schulz, Parker, & Becker, 1988).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에서 커뮤니티는 특정지역이라는 개념보다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비슷한 정체성이나 공통점을 지닌 공동체를 지칭한다(Minkler & Wallerstein, 2011).
1960년대 이후 집단적 불안정 주거지가 형성된 이유는 무엇인가?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정책의 도시화와 산업화는 지역 간의 격차를 심화시키면서 인구의 도시집중 현상을 초래하였고(Kim & Jo, 2010), 도시의 수용력이 한계에 달함에 따라 도심주변의 달동네, 판자촌과 같은 빈민주거지역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집단적 불안정 주거지는 1980년대 도시 재개발과 함께 해체되어 가시적으로 도시빈민 문제가 완화된 것처럼 보였지만, 실상은 쪽방과 같은 새로운 빈민주거지역 등장의 계기가 되었다(Le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Becker M. H. (1986). The Tyranny of Health Promotion. Public Health Review 1986. 14,15-26. 

  2. Bronfenbrenner, Urie., & Urie, Bronfenbrenner.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3. Chen, P. G., Diaz, N., Lucas, G., & Rosenthal, M. S. (2010). Dissemination of results in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9(4), 372-378 

  4. Choi, J. H., & Lee, J. H. (1999). A study of Chokbang arou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Seoul Institute, 5, 20-36. 

  5. Druss, B. G., & Rosenheck, R. A. (1999). Association between use of unconventional therapies and conventional medical services. Jama, 282(7), 651-656. 

  6. Goodman, L. A., Saxe, L., & Harvey, M. (1991). Homelessness as psychological trauma: Broadening perspectives. American psychologist, 46(11), 1219. 

  7. Green, L. W., & Kreuter, M. W. (1993). Health Promotion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 McGraw-Hill. 

  8. Hankookilbo. (2015). Four cases in a month of Jjok-Bang area in samsung-dong, increasing solitary death. 

  9. Ha, S. K. (2007). Substandard Housing for the Poor and Policy Alternatives: the Case of Jjogbang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al Policy, 14(1), 122-168. 

  10. Heo, H. H., & Braun, K. L. (2014). Culturally tailored interventions of chronic disease targeting Korean Americans: a systematic review. Ethnicity &Health, 19(1), 64-85. 

  11. Heo, S. Y. (2010).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in a Single Room Occupancy(Chokbang).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1), 241-260. 

  12. Israel, B. A., Schulz, A. J., Parker, E. A., & Becker, A. B. (1998). Review of community-based research: assessing partnership approaches to improve public health.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19(1), 173-202. 

  13. Israel, B. A., Schulz, A. J., Parker, E. A., Becker, A. B., Allen, A. J., & Guzman, J. R. (2003). Critical issues in developing and follow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principles.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for Health, 1, 53-76. 

  14. Israel, B. A., Eng, E., Schulz, A. J., & Parker, E. A. (2005). Introduction to methods in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for health. Methods in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for Health, 3-26. 

  15. Jang, M. C. (2011). The roll and challenge of Jjokbang counselling center. Journal of Urbanity and Poverty, 95, 8-25. 

  16. Jun, N. I. (2011). Social-Historical Changes of 'Minimal Houses' in Seoul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Architectural Research, 27(3), 191-202. 

  17. Jung, M. S., Jung, Y. K., Jang, S. R., & Cho, B. H. (2008). The methodology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1), 83-104. 

  18. Jung, S. H., & Yoon, H. S. (2006). A theoretical approach of social ecological model fro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7, 87-99. 

  19. Jung, Y. J., & Kim, J. D (2013). A Approached Based on Grounded Theory about the Lived Experienc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in a Single Room Occupancy. Journal of Social Science Studies, 24(2), 295-322. 

  20. Kelaher, M., Sabanovic, H., La Brooy, C., Lock, Ml., Lusher, B., & Brown, L. (2014). Does more equitable governance lead to more equitable health care? A case study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health reform in Aboriginal health Australia. Social Science & Medicine, 123, 278-286. 

  21. Kim, B. S. (2009).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mental health.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Seoul. Korea. 

  22. Kim, M. R. (2007). Stressors and Coping Resources and their Effects on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e Homeless. Journal of Mental Health & Social Work, 28, 126-151. 

  23. Kim, M. J., & Jo, H. M. (2010). Living Status of Jjok-bang (small single room) Region Residents and Reproduction of Poverty. Journal of the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Research, 3(2), 183-205. 

  24. Korea Center for City and Environment Research (2000). Jjokbang regional situation and effective policy development. 

  25. Korea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Seoul: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0. 

  26. Kwon, G. Y., & Park, K. W. (2007).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to the mental health of foreign wives. Journal of Sociological Association, 14(2), 187-219. 

  27. Kwon, J. S. (2008). An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Living Experience of the Residence in Jjok-bang.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0(4), 131-156. 

  28. Kwon, J. S., & Han, G, Y. (2008). A Qualitative Study on the Living Experience of the Old Residing in Jjok-bang.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60(4). 131-156. 

  29. Lee, H. J., & Ahn, G. D. (2013). The study of life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a Shabby One-room.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2), 33-62. 

  30. Lee, H. J., & Um M. Y. (2013). Ethnographic Study of Elderly Women's Life in a Shabby One-room Town: Life Experiences and Their Meanings Given by the Elderly Living alone there While Taking Care of the Town Dweller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39, 143-176. 

  31. Lee, H. K., Kim, M. S., Choi, S. S., & Choi, M. K. (2014) Eco-Systematic Analysis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Korean Elderly Suicide Ideat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3), 430-451. 

  32. Lee, H. O., & Lee, E. J. (2013).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 of Life and Resident Relationship in Jjok-bang Area in Dongja-dong.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5, 281-304 

  33. Lee, H. S., & Yeo, G. S. (2011). Research on welfare housing for the underprivileged groups living in inadeuqate housing. Journal of Korean Public Law Association. 12(3), 363-388. 

  34. Lee, J. S., (2004). An Explorative Study on the Culture of Pover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4), 149-172. 

  35. Lee, J. S., & Kim, T. W (2004). A analysis of economic life condition in jjok-bang residents of dae-gu ci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5, 143-174. 

  36. Lee, S. C. (2006). From the Squatters to Chok Bang -Deprived Neighborhoods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9, 167-208. 

  37. Lee, S. H., & Kim, S. H. (2013). Discussion on New Illegal Housing in Big Cities of Advanced Countries- Focused on Dynamics of Control and Endurance for Affordable Housing - Journal of the Seoul Institute, 14(4), 105-125. 

  38. Ma, G. X., W. Tan, Y. Chae, W. G., & Rhee, J. (2012).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Approach to a Hepatitis B Intervention for Korean Americans. Progress in Community Health Partnerships: Research, Education, and Action 6(1), 7-16. 

  39. Maxwell, A. E., Jo, A. M., Crespi, C. M., Sudan, M., & Bastani, R. (2010). Peer Navigation Improves Diagnostic Follow-up after Breast Cancer Screening among Korean American Women: Results of a Randomized Trial. Cancer Causes Control, 21(11), 1931-1940. doi:10.1007/s10552-010-9621-7. 

  40. McMahan, S., Wells, Ml, Stokols, D., Philips, K., & Clitheroe Jr, H. C. (2001). Assessing health promotion programming in small business. American Journal of Health Stud 17.3 (2001), 120-8. 

  41. Minkler, M., & Wallerstein, N. (Eds.). (2011).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for health: From process to outcomes. John Wiley & Sons. 

  42.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 Altman, D. G.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1.4(2009), 264-269. 

  43. Natale-Pereira, A., Enard, K. R., Nevarez, L., & Jones, L. A. (2011). The role of patient navigators in eliminating health disparities. Cancer, 117.S15 (2011), 3541-3550. 

  44. Oh, S. H. (2003). A study on the Eco-systemic factors on child abuse in poverty area.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 7(3), 1-18. 

  45. Pekka, P. (2008). The North Karelia Project: 30 years successfully preventing chronic diseases. Diabetes Voice. 

  46. People's Health Institute (2012). Learning from jjok-bang residents' health and lives. PHI Issue 2012-12. 

  47. Robinson, T. (2008). Applying the socio-ecological model to improving fruit and vegetable intake among low-income African American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33(6), 395-406. 

  48. Son, D. S. (2005).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of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 focused on the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angnam University Korea. 

  49. Son, J. I., Kim, S. K., Kim, J. S., & Jo, S, H. (2012). With finishing health right survey of Seoul dongja-dong, what must we do for the health right of jjok-bang residents? Welfare Trend, 47-54. 

  50. Stokols, D. (2000). Social ecology and behavioral medicine: Implications for training, practice, and policy. Behavioral Medicine, 26(3), 129-138. 

  51. Yoon, K. A. (2004). Social Welfare Needs Assessment for the Zzokbang Area Residents. Journal of Social Science Review, 23(1): 209-230. 

  52. Yoon, K. A., & Rho, B. I., (2005). Factors contributing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Urban Homeles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1), 219-243. 

  53. Yoo, S. H. (2009). 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CBPR) for Health Promo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1), 141-158. 

  54. Yu, J. D., & Sim, B. G. (2014). An Analysi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 of Small Tiny Housing in Yeong-Deung-Po Area. Journal of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13(6): 265-2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