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추균핵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 선발
Selec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 for Biocontrol on Lettuce Sclerotinia Rot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3 no.3, 2015년, pp.180 - 184  

이상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원항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김완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김정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한지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설재배작물 상추의 Sclerotinia sclerotiorum와 Sclerotinia minor에 의한 균핵병을 생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분리한 수원을 비롯한 6개 지역에서 토양 등에서 29균주의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세균에 대하여 균사생육저지원법과 생물검정법을 통하여 세균 M27와 RM43균주가 선발되었다. 이 선발균주에서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균주가 균핵병균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selection of effective antagonists for control Sclerotinia rot of lettuce, 29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oil in Korea. The bacterial isolates M27 and RM43 identified as Bacillus sp, were selected as prospective agents for inhibiting mycelial growth of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Sclerotinia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안전 농산물 생산을 목적으로 균핵병에 대한 생물적 방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식물체와 토양 등에서 길항미생물을 분리, 생물검정을 통하여 우수한 세균 균주를 선발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주요 토양전염성 병원균의 종류는? 국내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주요 토양전염성 병원균으로는 S. sclerotiorum와 Sclerotinia minor, Fusarium oxysporum, Pythium spp, Rhizoctonia solani, Phytophthora spp. 등이 알려져 있고 이들 병원균은 경제적 큰 피해를 입히는 주요 병원균들이다[7, 8]. 토양 병해 발생을 억제하는 생물적 요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으나 주로 근권미생물 또는 토양미생물인 Pseudomonas spp.
토양 병해 발생을 억제하는 근권미생물 또는 토양미생물의 종류는? 등이 알려져 있고 이들 병원균은 경제적 큰 피해를 입히는 주요 병원균들이다[7, 8]. 토양 병해 발생을 억제하는 생물적 요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으나 주로 근권미생물 또는 토양미생물인 Pseudomonas spp., Bacillus spp., Enterobacter spp., Chromobacterium spp., Trichoderma spp. 등을 이용한 토양병해 방제연구가 많이 보고되었다[9, 10].
Sclerotinia sclerotiorum의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토양병해의 대발생 원인은 연작으로 인한 토양내 병원균 밀도의 증가, 그리고 대부분의 토양병원균은 불리한 환경에서도 장기간 생존할 수 있는 균핵를 형성한다는 점을 들 수 있으며, 따라서 토양병이 한번 발생한 포장에서는 방제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2, 4]. S. sclerotiorum의 균핵은 내구체로서 토양에서 오랜 기간 동안 생존이 가능하며, 균사로 발아하여 직접 식물체의 잎이나 줄기에 침입하여 썩음을 일으킨다[5]. 그리고 온실에서 습도가 높을 때 균핵이 수많은 자낭포자를 형성한 다음 온실 전체로 비산하여 식물체를 감염시킬 수 있어 방제가 매우 어렵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Farr DF, Bills GF, Chamuris GP, Rossman, AY. Fungi on plants and plant products in the United States. St. Paul: APS Press; 1989. 

  2.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5th ed. Suwon : JY; 2009. 

  3. Zhou T, Boland GJ. Biological control strategies for Sclerotinia Diseases. In: Boland GJ, Kuykendall LD, editors. Plantmicrobe interactions and biological control. New York: M. Dekker; 1998; p. 127-56. 

  4. Purdy LH. Sclerotinia sclerotiorum: history, diseases and symptomatology, host range, geographic distribution, and impact. Phytopathology 1979;69:875-80. 

  5. Tu, JC. Modes of primary infection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n navy bean. Microbios 1989;57:85-91. 

  6. Young CS, Clarkson JP, Smith JA, Watling M, Phelps K, Whipps JM. Environmental conditions influencing Sclerotinia sclerotiorum infection and disease development in lettuce. Plant Pathol 2004;53:387-97. 

  7. Fravel DR. Commercial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biocontrol. Annu Rev Phytopathol 2005;43:337-59. 

  8. Parker CA, Rovira AD, Moore KJ, Wong PT, Kollmorgen JF. Ecology and management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St. Paul: APS Press; 1985. 

  9. Copping LG. The manual of biocontrol agents. 4th ed. Alton: BCPC; 2009. 

  10. Hornby D. Biological control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Oxon: CAB International; 1990. 

  11. Russell PE, Milling RJ, Wright K. Control of fungi pathogenic to plants. In : Hunter PA, Darby GK, Russell NJ, editors. Fifty years of antimicrobials: past perspectives and future trend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9. p. 85-110. 

  12. Lee SY, Kim BY, Ahn JH, Song J, Seol YJ, Kim WG, Weon HY. Draft genome sequence of the biocontrol Bacterium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M27. J Bacteriol 2012;194:6934-5. 

  13. Hwang JY, Shim CK, Ryu KY, Choi DH, Jee HJ. Selection of Brevibacillus brevis B23 and Bacillus stearothermophilus B42 as biologcial control agents against Sclerotinia rot of lettuce. Res Plant Dis 2006;12:254-9. 

  14. Lee HJ, Kim JY, Lee JG, Hong SS. Biological control of lettuce Sclerotinia rot by Bacillus subtilis GG95. Kor J Mycol 2014;42: 225-30. 

  15. Chon BG, Park SJ, Kim JW. Biological control of Sclerotinia sclerotiorum in lettuce using antagonistic bacteria. Res Plant Dis 2013;19:12-20. 

  16. Wu Y, Yuan J, Raza W, Shen Q, Huang Q. Biocontrol traits and antagonistic potential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NJZJSB3 against Sclerotinia sclerotiorum, a causal agent of canola stem rot. J Microbiol. Biotechnol 2014;24:1327-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