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층권 돌연승온이 동아시아 지표기온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udden Stratospheric Warming on the Surface Air Temperature in East Asi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5 no.3, 2015년, pp.461 - 472  

송강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  손석우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  우성호 (APEC 기후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dden stratospheric warming (SSW), which is characterized by an abrupt increase of polar stratospheric temperature by several tens of degrees in a week, has been known to affect tropospheric weather and climate on sub-seasonal time scale in the boreal winter. Such downward coupling has been of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층권 돌연승온과 동아시아 지표기온및 한랭일 발생일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돌연승온 발생시 북유라시아 지역에서는 직접적인 기온 하강이 발생하지만 한반도를 포함하는 동아시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기온 및 한랭일수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Figs.
  • 본 연구에서는 Woo et al. (2015b)과 달리 동아시아 지역을 한반도를 중심으로 설정하였으며, 돌연승온 발생 후 계절내 시간규모에서 돌연승온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돌연승온 발생 후, 60일 동안의 지위고도, 기상기온(surface air temperature, SAT)과 한랭일(cool days, 寒冷日)의 특징을 조사하여 돌연승온이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표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돌연승온과 연관된 지표 기온의 변화를 한반도 중심의 동아시아 지역에서 보다 상세히 조사하기 위해 110-145oE, 30-45oN 영역을 동아시아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자료분석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t-검정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95% 신뢰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겨울철 북반구 성층권은 무엇에 의해 지배되는가? 겨울철 북반구 성층권은 강한 서풍에 의해 지배된다. 10 hPa 등압면을 기준으로 겨울철 평균 30 m s-1 이상의 강한 편서풍이 발생하며 성층권계면에서는 50m s-1 에 가까운 편서풍이 기후학적으로 존재한다.
남반구 비교하여 북반구의 극소용돌이의 특징은 무엇인가? 남반구와 달리 북반구의 극소용돌이는 강한 계절내 변동성을 보인다. 심지어 이 편서풍이 수일 만에 동풍으로 전환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주로 강한 행성파(planetary-scale wave)가 성층권으로 전파되어 극소용돌이와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tsuno, 1971; Polvani and Waugh, 2004; Martineau and Son, 2015).
극야제트란 무엇인가? 겨울철 북반구 성층권은 강한 서풍에 의해 지배된다. 10 hPa 등압면을 기준으로 겨울철 평균 30 m s-1 이상의 강한 편서풍이 발생하며 성층권계면에서는 50m s-1 에 가까운 편서풍이 기후학적으로 존재한다. 이를 대류권 제트류와 구분하여 극야제트(polar night jet) 로 정의하는데, 이 편서풍은 60oN를 중심으로 강하게 존재하고 북극을 중심으로 보면 뚜렷한 환형구조를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ldwin, M. P., and T. J. Dunkerton, 2001: Stratospheric harbingers of anomalous weather regimes. Science, 294, 581-584. 

  2. Baldwin, M. P., and D. W. Thompson, 2009: A critical comparison of stratosphere-troposphere coupling indices. Quart. J. Roy. Meteor. Soc., 135, 1661-1672. 

  3. Baldwin, M. P., D. B. Stephenson, D. W. Thompson, T. J. Dunkerton, A. J. Charlton, and A. O'Neill, 2003: Stratospheric memory and skill of extended-range weather forecasts. Science, 301, 636-640. 

  4. Barriopedro, D., and N. Calvo, 2014: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SO, Stratospheric Sudden Warmings and Blocking. J. Climate, 27, 4704-4720. 

  5. Butler, A. H., L. M. Polvani, and C. Deser, 2014: Separating the stratospheric and tropospheric pathways of El Nino-Southern Oscillation teleconnections. Environ. Res. Lett., 9, 024014. 

  6. Butler, A. H., D. J. Seidel, S. C. Hardiman, N. Butchart, T. Birner, and A. Match, 2015: Defining sudden stratospheric warmings. Bull. Amer. Meteor. Soc., in press. 

  7. Charlton, A. J., and L. M. Polvani, 2007: A new look at stratospheric sudden warmings. Part I: Climatology and modeling benchmarks. J. Climate, 20, 449-469. 

  8. Cohen, J., and J. Jones, 2011: Tropospheric precursors and stratospheric warmings. J. Climate, 24, 6562-6572. 

  9. Gong, D. Y., S. W. Wang, and J. H. Zhu, 2001: East Asian winter monsoon and Arctic oscillation. Geophys. Res. Lett., 28, 2073-2076. 

  10. Ineson, S., and A. A. Scaife, 2008: The role of the stratosphere in the European climate response to El Nino. Nature Geosci., 2, 32-36. 

  11. Kobayashi, S., and Coauthors, 2015: The JRA-55 Reanalysis: General specifications and basic characteristics. J. Meteor. Soc. Japan Ser. II, 93, 5-48. 

  12. Kolstad, E. W., T. Breiteig, and A. A. Scaife, 2010: The association between stratospheric weak polar vortex events and cold air outbreaks in the Northern Hemisphere. Quart. J. Roy. Meteor. Soc., 136, 886-893. 

  13. Martineau, P., and S. W. Son, 2010: Quality of reanalysis data during stratospheric vortex weakening and intensification events. Geophys. Res. Lett., 37, L22801. 

  14. Martineau, P., and S. W. Son, 2015: Onset of circulation anomalies during stratospheric vortex weakening events: The role of planetary-scale waves. J. Climate, 28, 7347-7370. 

  15. Martius, O., L. Polvani, and H. Davies, 2009: Blocking precursors to stratospheric sudden warming events. Geophys. Res. Lett., 36, L14806. 

  16. Matsuno, T., 1971: A dynamical model of the stratospheric sudden warming, J. Atmos. Sci., 28, 1479-1494. 

  17. Matthewman, N. J., J. G. Esler, A. J. Charlton-Perez, and L. M. Polvani, 2009: A new look at stratospheric sudden warmings. Part III: Polar vortex evolution and vertical structure. J. Climate, 22, 1566-1585. 

  18. Mitchell, D. M., A. J. Charlton-Perez, and L. J. Gray, 2011: Characterizing the variability and extremes of the stratospheric polar vortices using 2D moment analysis. J. Atmos. Sci., 68, 1194-1213. 

  19. Mitchell, D. M., L. J. Gray, J. Anstey, M. P. Baldwin, and A. J. Charlton-Perez, 2013: The influence of stratospheric vortex displacements and splits on surface climate. J. Climate, 26, 2668-2682. 

  20. Polvani, L. M., and D. W. Waugh, 2004: Upward wave activity flux as a precursor to extreme stratospheric events and subsequent anomalous surface weather regimes. J. Climate, 17, 3548-3554. 

  21. Song, Y., and W. A. Robinson, 2004: Dynamical mechanisms for stratospheric influences on the troposphere. J. Atmos. Sci., 61, 1711-1725. 

  22. Thompson, D. W., and J. M. Wallace, 2000: Annular modes in the extratropical circulation. Part I: monthto-month variability. J. Climate, 13, 1000-1016. 

  23. Thompson, D. W., M. P. Baldwin, and J. M. Wallace, 2002: Stratospheric connection to Northern Hemisphere wintertime weather: Implications for prediction. J. Climate, 15, 1421-1428. 

  24. Tomassini, L., E. P. Gerber, M. P. Baldwin, F. Bunzel, and M. Giorgetta, 2012: The role of stratosphere-troposphere coupling in the occurrence of extreme winter cold spells over northern Europe. J. Adv. Model. Earth Sys., 4, M00A03. 

  25. Woo, S.-H., B.-M. Kim, and J.-S. Kug, 2015b: Temperature Variation over East Asia during the lifecycle of weak stratospheric polar vortex. J. Climate, 28, 5857-5872. 

  26. Woo, S.-H., M.-K. Sung, S.-W. Son, and J.-S. Kug, 2015a: Connection between weak stratospheric vortex events and the Pacific Decadal Oscillation. Clim. Dynam., 1-12. 

  27. Wu, B., and J. Wang, 2002: Winter Arctic oscillation, Siberian high and East Asian winter monsoon. Geophys. Res. Lett., 29, 3-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