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60년대 한국단편애니메이션 연구 -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중 애니메이션에 관하여
A Study of Korean Short Animation Films in 1960s - On Animation from Culture Movies of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of Korea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40, 2015년, pp.1 - 31  

김종옥 (중앙대학교 첨담영상대학원 애니메이션이론)

초록

서구 유럽 및 일본애니메이션에 비해 짧은 역사를 지닌 한국 애니메이션은 1950년대 후반 광고애니메이션과 문화영화의 일환으로 제작된 비상업용 단편애니메이션으로 출발하였다. 1960년대 영화법과 문화정책이 투영된 문화영화 애니메이션은 한국애니메이션의 역사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지만, 극장용 장편애니메이션 이전에 제작된 귀중한 문화 창작물이다. 특히 15초 내외의 짧은 CF애니메이션에 비해 4분에서 10분 내외의 단편애니메이션으로 그 당시 한국애니메이션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가 있는 작품들이다. 1960년대에 20여편의 단편애니메이션이 제작 되었으며, 주로 근대화 정책추진과정에서 국민들을 계몽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담고 있다. 국립영화제작소에서 문화영화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은 셀을 활용한 카툰애니메이션 이외에도 페이퍼애니메이션, 퍼핏애니메이션도 제작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1960년대에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CF 이외에 초기 단편애니메이션의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작품의 발굴과 분석은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하며, 이 창작과정에 참여했던 박영일감독, 한성학감독, 정도빈감독, 신동헌감독, 넬슨신감독 등이 이후 극장용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활동하였기에 그 작품에 대한 분석은 한국애니메이션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반 연구가 될 것이라고 본다. 논문에서는 국립영화제작소 창설의 시대적 상황 및 1960년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창작된 단편애니메이션 중 감독 등 참여인력을 확인할 수 있는 10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사적 의미와 조형적 특징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간 한국애니메이션역사 연구에서 간과된 비상업적 단편애니메이션에 대한 고찰과 향후 한국애니메이션사에 대한 보다 풍부한 연구가 진행되는 단초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animation that has relatively short history compared to the Western Europe and Japan's animation started out from the non-commercial short-piece animation produced as part of advertisement animation and culture movie in the later part of 1950s. In 1960s, the culture movie animation ref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시는 속지말자>는 토끼(대한민국 시민)의 얼굴을 한 북한군이 노조, 정치인, 대학 등에 침투해 사회를 혼란스럽게 한다는 반공애니메이션으로 군사정부는 독재에 항거하는 국민의 저항을 북한의 대남공작이라고 선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60년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의 내용적 측면 및 제작기법 등을 좀 더 자세히 분석하여, 초기 한국 단편 애니메이션의 특징 및 의미를 살펴보자.
  • 이 논문은 한국의 초기 단편애니메이션 중 CF애니메이션이 아닌 비상업적 단편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당시의 비상업적 단편애니메이션은 공보처 산하의 대한영화사나 국립영화제작소의 공보성 문화영화로 구분되었다.
  • 특히 1960년 군사정부의 등장과 국립영화제작소는 쿠데타의 정당성과 정치 이데올로기의 선전을 위한 영상제작 중심으로 평가4)되면서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창작된 단편애니메이션 작품도 거의 주목받지 못하였고, 오히려 영화이론분야에서 문화영화의 다양한 창작형태로 일부 연구되어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1960년대에 국립 영화제작소에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CF 이외에 초기 단편애니메이션의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작품의 발굴과 분석은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하며, 이 창작과정에 참여했던 박영일감독, 한성학감독, 정도빈감독, 신동헌감독, 넬슨 신감독 등이 이후 극장용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활동하였기에 그 작품에 대한 분석은 한국애니메이션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반 연구가 될 것이라고 본다.
  • 을 중심으로 그 내용과 캐릭터 디자인의 특징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간 한국애니메이션역사 연구에서 간과된 비상업적 단편애니메이션에 대한 고찰과 향후 한국애니메이션사에 대한 보다 풍부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 특히 이 논문은 국립영화제작소 창설과 시대적 상황 및 1960년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창작된 단편애니메이션 중 감독 등 참여 인력을 확인할 수 있는 10편의 작품5)을 중심으로 그 내용과 캐릭터 디자인의 특징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간 한국애니메이션역사 연구에서 간과된 비상업적 단편애니메이션에 대한 고찰과 향후 한국애니메이션사에 대한 보다 풍부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사정부가 국립영화제작소에 하달한 영화제작 목표는 무엇이었는가? 14) 1950년대에는 영화과에서 문화영화의 기획과 제작자 역할을 하고 대한영화사는 촬영 및 후반작업 위주의 기술 지원을 담당했다면, 이 두 가지 기능을 통합하고 체계화한 것이 1960년대의 국립영화제작소라고 할 수 있다. 국립영화제작소는 제작과, 기술과, 현상과, 서무과의 네 개의 부서로 조직되었으며, 군사정부가 국립영화제작소에 하달한 영화 제작목표는 “첫째, 반공태세를 강화하고 민주주의 승리를 기함으로써 국토통일 성업을 성취시키기 위한 국민정신을 뒷받침한다. 둘째, 정부의 주요경제시책을 전 국민에게 계몽 선전함으로써 난국을 극복하려는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의식을 고취시킨다. 셋째, 종래 국민의 사고를 지배해온 의타심 내지는 소극성 및 파벌의식을 배제하고 자립성과 적극성을 고취시키는 한편 문화민족으로서의 긍지를 함양하고 청신한 사회기풍을 조성한다. 넷째, 자유우방을 위시하여 신생국 및 중립국과의 유대를 강화하고 세계만방에 국위를 선양하려는 정부 외교시책을 뒷받침함은 물론 해외교포의 애국심과 반공사상을 고취시킨다.15)”는 것이었고, 이는 이후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 및 민간제작 문화 영화의 제작지침이었다.
60년대 단편애니메이션의 표현기법은 어떤 특징을 보여주는가? 1960년대 단편애니메이션은 대부분 캐릭터 중심의 셀 애니메이션이었지만, 인형애니메이션이나 페이퍼애니메이션 작품과 표현기법에서 몰핑 등 실험적 기법을 적용한 연출 등 다양한 표현방식을 보여준다. 표현기법의 특징에서는 이 시기 작품을 의인화된 동물캐릭터를 주인공으로 표현한 작품 및 인물 캐릭터를 중심으로 제작한 드로잉애니메이션과 실험적 기법을 시도한 애니메이션 등으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애니메이션 '쥐를 잡자'는 대중 교육에서 어떤 효과를 보였는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애니메이션은 대한뉴스 등의 도표 및 설명 이미지 등 영상의 보조적 수단으로 삽입되었으며, 독자적인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은 코주부캐릭터를 활용한 <쥐를 잡자(1959)>로 장티푸스 등 전염병을 옮기는 쥐를 잡자는 위생관련 교육내용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은 감독은 확인되지 않으나 당시 유명한 김용환작가의 코주부캐릭터를 사용하여 대중교육에서 주목도를 높이는 시각적 효과를 보였다. 또한 대한영화사나 국립영화제작소 등에 소속되어 있지 않더라도 공보처의 요청을 받아 문화영화의 일환으로 단편애니메이션을 제작한 사례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넬슨신, 애니메이션과 나, 살림, 1999 

  2. 허인욱, 한국애니메이션영화사, 신한미디어, 2002 

  3. 강준만, 한국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 1-3권, 인물과사상사, 2010 

  4. 조항리, 별로하고 싶지 않은 이야기,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2 

  5. 공영민 외, 지워진 한국영화사-문화영화의 안과 밖, 한국영상자료원, 2014 

  6. 문재철, 한국 애니메이션과 영화정책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9, 2009 No. 6, 

  7. 장연이, 에 반영된 반공적 이데올로기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5호, 2009 

  8. 이하나, 1960년대 문화영화의 선전 전략, 한국근현대사연구 제52집, 2010년 봄호 

  9. 함충범, 1960년대 초 한국뉴스영화와 문화영화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 제57집, 2014 

  10. 조준형, 문화영화의 제도화 과정-1960-70년대 영화법과 관련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59호, 2014 

  11. 이지은, 한국애니메이션 디자인 스타일 변천사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2. 심혜경,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_신동헌, 한국영화사연구소, 2008 

  13. 문재철, 한국 애니메이션과 영화정책의 관계에 대한 연구: 60년대 후반에서 80년대 초반까지,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2009 

  14. 이정아,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주제사-문화영화)_김청기, 한국영화사연구소, 2012 

  15. 이순진,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주제사-문화영화)_김인태, 한국영화사연구소, 2012 

  16. 이순진,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주제사-문화영화)_해제-국립영화제작소의 간략한 역사, 한국영화사연구소, 2012 

  17. 공영민,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주제사-문화영화)_이성철, 한국영화사연구소, 2012 

  18. 한윤정, 정도빈감독_최초 단편 애니메이션 '개미와 베짱이' 주역, 애니메이툰 87호, 2010 

  19. e-영상역사관(http://www.ehistory.go.kr/), 한국정책방송원(KTV)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