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젖산균 발효를 통한 베리류 또는 과채류 주스의 항산화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erry or Vegetable Juices through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3 no.3, 2015년, pp.291 - 295  

박재범 (강원대학교 생물공학과) ,  심현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하석진 (강원대학교 생물공학과) ,  김명동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베리 또는 과채류 주스에는 다양한 종류의 항산화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측정 결과 아사이베리, 아로니아, 산머루, 블랙베리, 크랜베리, 시금치 주스로부터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별된 베리 또는 과채류 주스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를 수행하였다. 아사이베리, 블랙베리, 또는 시금치 주스의 경우 Lactobacillus plantarum를 이용한 발효 후에 항산화 활성이 각각 943.2 µmol TE/g에서 1239.2 µmol TE/g로 110.87 µmol TE/g에서 128.04 μmol TE/g로 77.92 µmol TE/g에서 107.20 µmol TE/g로 약 16−38%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사이베리, 블랙베리, 또는 시금치 주스의 항산화 활성이 젖산균 발효를 통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rry or vegetable juices contain a diverse range of antioxidants. Through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s, acai berry, aronia, wild grape, blackberry, cranberry, and spinach juices were verified to possess high antioxidant activities.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was applied to ea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당쇄 분해효소의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젖산균들을 이용한 발효를 통해 베리류 또는 과채류들의 항산화 활성의 증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logh E, Hegedus A, Stefanovits-Banyai E. 2010. Application of and correlation among antioxidant and antiradical assays for characterizing antioixdant capacity of berries. Sci. Hortic-Amsrerdam. 125: 332?336.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3. Bokkenheuser V, Shackleton CHL, Winter J. 1987. Hydrolysis of dietary flavonoid glycosides by strains of intestinal bacteroides from humans. Biochem. J. 248: 953?956. 

  4. Cho MJ, Howard LR, Prior RL, Clark JR. 2004. Flavonoid glycoside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various blackberry, blueberry and red grape genotypes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Food Agric. 84: 1771?1782. 

  5. Halliwell B, Aeschbach R, Loliger J, Aruoma OI. 1995.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Chem. Toxic. 33: 601?617. 

  6. Harter HL. 1960. Critical values for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 Biometrics. 16: 671?685. 

  7. Hitomi O, Michiko O, Kenji S. 2006. Xylooligosaccharide fermentation with Leuconostoc lactis. J. Biosci. Bioeng. 101: 415?420. 

  8. Ismail A, Marjan ZM, Foong CW. 2004. Total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in selected vegetables. Food Chem. 87: 581?586. 

  9. Jang MH, Kim MD. 2010. Exploration of β-glucosidase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Food Eng Prog. 14: 243?248. 

  10. Jang MH, Kim MD. 2011. β-1,4-Xylosidase activity of leuconosto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 J. Food Sci. Technol. 43: 169?175. 

  11. Kang J, Li Z, Wu T, Jensen GS, Schauss AG, Wu X. 2010. Anti-oxidant capacities of flavonoid compounds isolated from acai pulp (Euterpe oleracea Mart.). Food Chem. 122: 610?617. 

  12. Kang OJ. 2010. Production of fermented tea with Rhodotorula yeast and comparison of its antioxidant effects to those of unfermented t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422?427. 

  13. Kim DB, Shin GH, Cho JH, Baik SO, Lee OH.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beverage concentrates and pure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997?1002. 

  14. Kim HS, Ham JS. 2003.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 J. Food Sci. Ani. Resour. 23: 186?192. 

  15. Kim HY, Hwang IK, Lee YR, Jeong HS. 2008.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s and vegetables. Korea J. Food Sci. 40: 166?170. 

  16. Lee BH, Kim SY, Cho CH, Chung DG, Chun OK, Kim DO. 2011. Estimation of daily per capita intake of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antioxidant capacities from fruit and vegetable juices in the korean diet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Korea J. Food Sci. 43: 475?482. 

  17. Lindroth RL. 1988. Hydrolysis of phenolic glycosides by midgut β-glucosidases in Papilio glaucus subspecies. Insect Biochem. 18: 789?792. 

  18. Pérez-Jiménez J, Neveu V, Vos F, Scalbert A. 2010. Systematic analysis of the content of 502 polyphenols in 452 foods and beverages: an application of the phenol-explorer database. J. Agric. Food Chem. 58: 4959?4969. 

  19. Park HM, Yang SJ, Kang EJ, Lee DH, Kim DI, Hong J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anule manufacture of mulberry and blueberry fruit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375?382. 

  20. Park SJ, Kim ES, Choi YS, Kim JD. 2008. Effects of sophorae fructus o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lipid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120?1125. 

  21. Suh JH, Paek OJ, Kang YW, Ahn JE, Yun JS, Oh KS, et al. 2013.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in the various vegetables. J. Food Hyg. Safety 28: 337?341. 

  22. Ungvari Z, Ridgway I, Philipp EE, Campbell CM, McQuary P, Chow T, et al. 2011. Extreme longevit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in Arctica islandica, the longest-living non-colonial animal. J. Gerontol. A. Biol. Sci. Med. Sc. 66: 741?750. 

  23.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24. Velioglu YS, Mazza G, G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25. Yang HS, Choi YJ, Oh HH, Moon JS, Jung HK, Kim KJ, et al. 2014. Antioxidative activity of mushroom water extract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80?85. 

  26. Zhu N, Sheng S, Li D, Lavoie EJ, Karwe MV, Rosen RT, et al. 2001. Antioxidative flavonoid glycosides from quinoa seeds (Chenopodium quinoa willd). J. Food Lipids 8: 37?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