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례관리 수행과 영향요인
Case Management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and Influential Factor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3 no.4, 2015년, pp.51 - 65  

김현주 (Department of Family welfare,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se manage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actice of case management at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nalysed the performance l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에게 사례관리 실천을 위한 구체적 지침을 제공해 주기 위해서는 인테이크, 사정, 목표 설정 및 계획수립, 실행, 평가의 사례관리 각 단계별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또한 전체적인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례관리 수행의 각 단계별 실천정도 및 그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개인요인, 조직요인 및 네트워크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부족한 인력, 재정 및 과도한 업무 등으로 인해 부족한 개인적 역량을 조직 역량의 강화를 통해 어는 정도 보완 혹은 상쇄시켜 줄 수있는 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아동센터는 2~3인이 근무하는 시스템으로 인해 조직역량 역시 기타 사회복지기관에 비해 부족한 편이므로 이러한 부족한 개인 및 조직 역량을 네트워크 활용의 활성화를 통해 어느 정도 보완해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사례관리 실천의 각 과정별 수행 정도와 영향요인을 함께 살펴봄과 동시에 사례관리 수행정도 및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 하여 이를 통해 이후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 사례관리 실천의 각 단계별 실천지침을 작성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 조직요인으로는 사례관리교육, 슈퍼비전, 사례관리업무지침, 사례회의 실시여부 및 사례관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 요인을 측정변인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례관리 수행의 각 단계별 실천정도를 살펴보고 사례관리 각 단계의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함과 동시에 전반적인 사례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례관리 수행의 각 단계별 실천정도 및 그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개인요인, 조직요인 및 네트워크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부족한 인력, 재정 및 과도한 업무 등으로 인해 부족한 개인적 역량을 조직 역량의 강화를 통해 어는 정도 보완 혹은 상쇄시켜 줄 수있는 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아동센터는 2~3인이 근무하는 시스템으로 인해 조직역량 역시 기타 사회복지기관에 비해 부족한 편이므로 이러한 부족한 개인 및 조직 역량을 네트워크 활용의 활성화를 통해 어느 정도 보완해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사회복지실천영역에서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사례관리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에 의해 어느 정도 수행되고 있으며, 사례관리 수행의 각 단계별 실천 정도 및 영향요인과 전반적인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례관리 수행의 각 단계별 실천매뉴얼 및 지침을 작성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는 본 조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지역아동센터 사례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으로 일반적인 사회복지영역에서의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한 비판은? 최근 정부의 복지비 지출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국민들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체감도는 높아지지 않고 있어 이전의 공급자 중심의 전달구조에서 야기되는 획일적 복지 제공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이지고 있다(H. Ann2012).
사례관리는 공공영역과 사회복지실천의 각 영역에서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가? 이러한 사례관리는 공공영역에서의 사회복지 전달체계 로서의 위상을 정립해나가고 있음과 동시에 사회복지실천의 각 영역에서도 기존의 실천방법을 대체하는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 시설평가기준에서 사례관리실천여부가 중요한 지표로 선정되어 짐으로써 각 사회복지영역에서의 사례관리 수행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는 매우 강조되고 있다.
사회복지 시설평가기준에서의 사례관리실천여부 조사가 가지는 한계는? 또한 사회복지 시설평가기준에서 사례관리실천여부가 중요한 지표로 선정되어 짐으로써 각 사회복지영역에서의 사례관리 수행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는 매우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획일화된 평가지침으로 인하여 각각의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회복지실천가들은 사례관리 수행에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H. (2012). The current state and task of case management in public sector. Research of Case Management. 3(1), 81-102. 

  2. Choi, J. (2010). A study of the of case management experience as a strategy for service integration.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2(1), 57-88. 

  3. Do, K. (2009).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in performing case management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4. Gu, Y. (2010). Teacher's recognition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 program quality and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9(2), 5-15. 

  5. Ham, C. (2013). Case management performance of case managers in public delivery system and influential factor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4, 1-31. 

  6. Hahm, J. (2012). Research on factors that influence the case management performance of dreamstart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7. Hong, S. & Ha, K. (2009). A study of a care network model for community- based case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1(1), 29-61. 

  8. Jang, S. (2006).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of case management in community child care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lim University, Gangwon, Korea. 

  9. Intagliata. J. & Barker. F. (1983). Factors affecting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chronically mentally ill. Administration Mental Health. 11(2), 75-91. 

  10. Kang, M. (2014).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case management and the operation system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H. (2007).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ase management promotion- impediment factor -Based on the perception of case manag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K. (2002). Variables Influencing the Accountability of Social Workers in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Unpublished doc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3. Kim, M. (2014).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ase management of local child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Korea. 

  14. Kim, M., Lee, K., & Jang, D. (2012). A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resource linkag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8(4), 409-428. 

  15. Kim, S. & Yoo. M. (2013).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on child neglect in community child center.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4, 181-195. 

  16. Kim, Y. (2013).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capability on workers' assessment in case management in community child center.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6, 1-26. 

  17. Kong, G., & Seo, I. (2009). A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4), 155-178. 

  18. Lee, E. (2013).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in performing case management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Unpublished docctoral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S. & Sung, M. (2012). A study in the income class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and the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6). 23-37. 

  20. Lim, S. (2012).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case management performance level at nursing facilities for the severely disabl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21. Minkman, M, N., Ligthart, S, A, & R, Huijsman. (2009). Intergrated dementia care in the Netherlands: A multiple case study of case management programs.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7(5), 485-494. 

  22. Moon, Y. (2012).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case management performance of grand parents-Grand children fami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Korea. 

  23. More, P. K. & Mandell, S. (1997). Nursing case management: an evolving practice. New York: McGraw-Hill. 

  24. Lee, E. (2013).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in performing case management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Seoul, Korea. 

  25. Noh, M. (2009). Self-direction in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of the high intrinsic motiv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relationship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6. Park, T., Park, H., & Lee, H. (2010). How does the community child center work? - content analysis to conceptualize director's experi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3, 75-109. 

  27. Rothman, J., & Sagar, J. S. (1998). Case management: integrating individual and community practice (2nd ed). Allyn & Bacon. 

  28. Schaedle. R. W. (1999). Critical ingredients of intensive case management case management: Judgments of researchers/administrators, program managers and case managers.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9. Tahan, H. A. (1993). The nurse case manager in acute care setting: jobdescription and functio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3(10), 53-61. 

  30. Yoo, M. (2002). Factors affecting the stepwise implementations of case management in home-based welf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Gangwon, Kore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