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갓무를 첨가한 김치의 발효 및 관능 특성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Mustard Root (Brassica junc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5, 2015년, pp.926 - 932  

황종현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ustard root on the shelf life of kimchi. Ethanol extract was prepared from the mustard root (Brassica juncea)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l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토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 갓무를 김치의 재료로 사용할 경우, 김치의 저장성을 연장시켜줄 수 있는 재료로 생각되어 갓무의 김치유산균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고, 갓무를 김치재료로 사용했을 때 김치발효 과정 중의 변화를 조사하여 김치 재료로써 갓무의 사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 재료 중 갓이란 무엇인가? 김치 재료의 성분 중에서 김치의 저장성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채소로는 갓을 들 수가 있다. 갓(mustard leaf, Brassica juncea)은 십자화과에 속하는 경엽채소로써, 국내에서는 전남 여수시 돌산지방에서 전통적으로 많이 재배되어 갓김치 제조용으로 주로 공급되고 있다(Lim HS 2002). 갓은 독특한 매운 맛이 있는 sinigrin이라는 allylisothiocyanate의 glucosinolate 를 함유하고 있으며, 김치 발효 중 갓 자체에 함유되어 있는 myrosinase가 작용하여 여러 가지 함황 성분과 그 관련물질이 생성되는데, 이들 중 일부가 갓김치 내 젖산균 등에 항균작용을 갖게 되어 김치 발효를 지연시켜주므로 김치의 조기산패를 방지하여 저장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추측된다(Cho & Park 1990; Park 등 1994).
갓에 함유된 매운 맛을 내는 성분은? 갓(mustard leaf, Brassica juncea)은 십자화과에 속하는 경엽채소로써, 국내에서는 전남 여수시 돌산지방에서 전통적으로 많이 재배되어 갓김치 제조용으로 주로 공급되고 있다(Lim HS 2002). 갓은 독특한 매운 맛이 있는 sinigrin이라는 allylisothiocyanate의 glucosinolate 를 함유하고 있으며, 김치 발효 중 갓 자체에 함유되어 있는 myrosinase가 작용하여 여러 가지 함황 성분과 그 관련물질이 생성되는데, 이들 중 일부가 갓김치 내 젖산균 등에 항균작용을 갖게 되어 김치 발효를 지연시켜주므로 김치의 조기산패를 방지하여 저장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추측된다(Cho & Park 1990; Park 등 1994). 갓의 미생물 억제에 관한 연구로는 갓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Kang 등 1994b)과 식중독균 및 발효식품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Kang 등 1994a; Kang SK 1995; Kang 등 1995), 갓의 종류와 정유 성분에 따른 항진균 작용에 관한 연구(Shin & Kang 2001) 등이 있으며, 갓김치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항균성, 항산화성의 기능성에 집중하고 있다.
갓김치의 저장성을 향상시켜주는 것으로 사료되는 과정은? 갓(mustard leaf, Brassica juncea)은 십자화과에 속하는 경엽채소로써, 국내에서는 전남 여수시 돌산지방에서 전통적으로 많이 재배되어 갓김치 제조용으로 주로 공급되고 있다(Lim HS 2002). 갓은 독특한 매운 맛이 있는 sinigrin이라는 allylisothiocyanate의 glucosinolate 를 함유하고 있으며, 김치 발효 중 갓 자체에 함유되어 있는 myrosinase가 작용하여 여러 가지 함황 성분과 그 관련물질이 생성되는데, 이들 중 일부가 갓김치 내 젖산균 등에 항균작용을 갖게 되어 김치 발효를 지연시켜주므로 김치의 조기산패를 방지하여 저장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추측된다(Cho & Park 1990; Park 등 1994). 갓의 미생물 억제에 관한 연구로는 갓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Kang 등 1994b)과 식중독균 및 발효식품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Kang 등 1994a; Kang SK 1995; Kang 등 1995), 갓의 종류와 정유 성분에 따른 항진균 작용에 관한 연구(Shin & Kang 2001) 등이 있으며, 갓김치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항균성, 항산화성의 기능성에 집중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 DJ. 2005. Effect of adipic acid on extending shelf life of kimchi during cooling storage. J of Korean Soc of Packaging Sci & Technol 11:97-100 

  2. Cho YS, Park SK. 1990.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Brassica juncea Cosson. Sunchon Natl Univ Bull 9:167-175 

  3. Kang KJ, Song HH, Kim YB, Chung DH, Lee C. 2004. Effect of adipic acid on growth of psychrotrophic kimchi lactic acid bacteria and its effect on multi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857-863 

  4. Kang SK, Kim YD, Park SK. 1995. Effects of antimicrobial of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extract on composition and leakage of cellular materials in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J Korean Soc Food Nutr 24:280-285 

  5. Kang SK, Sung NK, Kim YD, Lee JK, Song BH, Kim YW, Park SK. 1994a.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on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Nutr 23:1014-1019 

  6. Kang SK, Sung NK, Kim YD, Shin SC, Seo JS, Choi KS, Park SK. 1994b.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23:1008-1013 

  7. Kang SK. 1995. Isol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ntimicrobial substance obtained from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J Korean Soc Food Nutr 24:695-701 

  8. Kim JS, Kim YJ, Park JM, Kim TJ, Kim BS, Kim YM, Kim HR, Han NS. 2010. Inhibition of microbial growth in cabbagekimchi by heat treatment and nisin?Yucca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678-1683 

  9. Kim SD, Kim MH, Kim ID. 1996. Effect of crab shell on shelf-life enhancement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907-914 

  10. Lee JS, Koh KH, Lee KR. 1994. Effects of Wasabi extracts on growth of Lactobacillus plantarum. J of Natural Sci Songsim University 15:3-11 

  11. Lee JS, Lee HJ. 2000. Effects of chitosan and organic acid salts on the shelf life and pectin fraction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13:319-327 

  12. Lee SK, Kim IH, Choi SY, Jeon KH. 1993. Effect of lysozyme, glycin and EDTA on the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2:58-61 

  13. Lim HS. 2002. The study for contents of singrin in Dolsan leaf mustard kimchi during fermentation periods. Korean J of Life Sci 12:523-527 

  14. Park BH, Cho HS, Oh BY. 2002.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treated with chitosan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of Human Ecology 5:85-93 

  15. Park HJ, Han YS. 1994. Effect of mustard leaf on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3:618-624 

  16. Park JE, Kim HR, Jang MS. 2000.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Gatt (Brassica juncea). Korean J Soc Food Sci 16:57-64 

  17. Park JR, Park SK, Cho YS, Cho S, Chun SS. 199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yrosinase in Dolsan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and changes in myrosinase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of leaf mustard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9:137-142 

  18. Park SS, Jang MS, Lee KH. 1995.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kimchi during various storage days. J Korean Soc Food Nutr 24:752-757 

  19. Seo HS, Kim SH, Kim JS, Han JJ, Ryu JH. 2013. Control of Kimchi fermentation by the addi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originated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583-589 

  20. Shin SW, Kang CA. 2001. Studies on compositions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cultivars of Brassica juncea L. Kor J Pharmacogn 32:140-144 

  21. Son YM, Kim KO, Jeon DW, Kyung KH. 1996. The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with and without other preservatives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888-8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