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주민의 해조류 소비 실태 조사
A Study on Utilization and Consumption of Seaweeds in Some Regional Resi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5, 2015년, pp.605 - 613  

정복미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  백재은 (부천대학교 식품영양과) ,  배현주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해조류 소비 실태를 조사하고자 서울, 대전, 광주, 부산, 여수, 속초 등 6개 도시에 거주하는 총 1,21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SA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47.2%가 해조류를 좋아한다고 답했고, 섭취이유는 건강, 맛 순이었고, 싫어하는 이유는 냄새, 질감, 맛 순이었다. 계절에 상관없이 섭취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해조류 이용 장소는 가정, 음식점 순으로 많았고, 조리 이용형태는 국, 쌈, 무침 순으로 많았다. 향후 해조류 구매 의도는 전체의 90.6%가 현재와 유사하거나 더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해조류 가공식품 중 가장 많이 구입하는 형태는 음료였고, 해조류 품질 판별법을 잘 안다고 답한 경우는 전체의 5.0%였으며, 식품영양정보는 텔레비전과 라디오(26.5%), 부모님이나 어른(21.2%)에게 얻는다는 응답이 높았다. 그리고 지역별 해조류의 기호는 속초가 가장 높았고, 광주가 가장 낮았다. 향후 해조류의 소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한 해조류 음식 및 가공제품의 개발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sesses the consumption of seaweed by Koreans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1,218 subjects were surveyed. Those individuals were divided into inland and coastal region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AS package (ver 9.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해조류의 소비 실태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건강기능식품 개발뿐만 아니라 해조류로 조리한 음식을 판매하는 음식점이나 단체 급식소 등에서 식단 개발이나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적으로 해조류의 생산량이 많은 국가는? 세계적으로 해조류의 생산량이 많은 국가는 중국, 필리핀, 일본, 한국, 북한 등으로 우리나라는 중국, 필리핀, 일본 다음으로 세계 4위의 해조류 생산국가이다. 해조류 생산량은 1980년도 이후에 품종이 다양화되기 시작하여 2000년도에는 우리나라의 해조류 생산량은 미역, 김, 다시마 순으로 생산 비중이 높았고(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5), 2007년도에는 다시마, 미역, 김 순으로 생산량이 많았다(Kang JH 2009).
해조류에 다량 함유되어있는 성분은? 우리나라의 해조류 섭취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해조류 조리방법도 생식뿐만 아니라 국·찌개·조림·볶음·튀김 등으로 매우 다양하며 염장 및 건어물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보존하면서 널리 이용해오고 있다(Han BH 1997, Kim YM 1997, Cho MY 등 2003). 또한 해조류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알긴산은 1883년 스탠포드에 의해 발견된 해조 다당류의 일종으로 아이스크림, 빙과류, 시럽, 초콜릿 밀크, 주류, 수프, 빵류, 젤리, 푸딩, 잼, 어육연제품 등의 식품가공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Kim DS & Park YH 1985).
서울, 대전, 광주, 부산, 여수, 속초 등 6개 도시의 해조류 소비 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본 연구는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해조류 소비 실태를 조사하고자 서울, 대전, 광주, 부산, 여수, 속초 등 6개 도시에 거주하는 총 1,21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SA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47.2%가 해조류를 좋아한다고 답했고, 섭취이유는 건강, 맛 순이었고, 싫어하는 이유는 냄새, 질감, 맛 순이었다. 계절에 상관없이 섭취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해조류 이용 장소는 가정, 음식점 순으로 많았고, 조리 이용형태는 국, 쌈, 무침 순으로 많았다. 향후 해조류 구매 의도는 전체의 90.6%가 현재와 유사하거나 더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해조류 가공식품 중 가장 많이 구입하는 형태는 음료였고, 해조류 품질 판별법을 잘 안다고 답한 경우는 전체의 5.0%였으며, 식품영양정보는 텔레비전과 라디오(26.5%), 부모님이나 어른(21.2%)에게 얻는다는 응답이 높았다. 그리고 지역별 해조류의 기호는 속초가 가장 높았고, 광주가 가장 낮았다. 향후 해조류의 소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한 해조류 음식 및 가공제품의 개발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 HJ. 2006. A survey on preference of the event menus in the foodservice opera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2(3):235-242 

  2. Cha MH, Kim YK. 2008. Analysis of consumption values of a seaweed functional food. Korean J Food Culture 23(4):462-468 

  3. Cho MY, Lee MJ, Lee YM. 2003. A study on utilization and consumption promotion of seafood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Food Culture 18(2):139-150 

  4. Colliec S, Fischer AM, Tapon-Bretaudiere J, Boisson C, Durand P, Jozefonvicz J. 1991. Anticoagulant properties of a fucoidan fraction. Thromb Res 64(2):143-154 

  5. Cox DN, Koster A, Russell CG. 2004. Predicting intentions to consume functional foods and supplements to offset memory using an adaptation of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ppetite 43(1):55-64 

  6. Dagevos H. 2005. Consumers as four-faced creatures. Looking at food consum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consumers. Appetite 45(1):32-39 

  7. Han BH. 1997. Processing of seafood. J Korean Soc Food Cook Sci 13(4):519-529 

  8. Han JS, Lee YJ. 2000.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use and nutrition knowledge for sea mustard in Daegu and Kyungpoo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4):321-334 

  9. Jeong HS, Yoon JY, Bae HJ. 2007. Assessment of utilisation and storage management practice of frozen and refrigerated foods in school foodservice -Focus on meats, seafoods, and precessed foods-. J Korean Diet Assoc 13(4):345-356 

  10. Kang JH. 2009. Changing consumption structure and diversity of consumption of seafoods. Fish Pol Res 12(1):59-73 

  11. Kim DS, Park YH. 1985. Uronic acid composition, block structure, and some related properties of alginic acid. Korean Fisheries Soc 18(1):29-36 

  12. Kim GW, Jang YS. 2013. The influence of consumer knowledge on seafoo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J Fish Bus Adm 44(1):91-103 

  13. Kim HK, Kim JH. 2005. Food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dormitory in Ul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9):1388-1397 

  14. Kim SA, Kim J, Woo MK, Kwak CS, Lee MS. 2005.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ive kinds of seaweeds. Korean J Soc Food Sci 34(4):451-459 

  15. Kim YM. 1997.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processed seafood. J Korean Soc Food Cook Sci 13(4):530-544 

  16. Lee IK, Gang SW. 1986. A checklist of marine algae in Korea. Korean J Phycol 1(1):311-325 

  17. Lee NS. 2006. Food consumption trends and seafood consumption activation plan. Ocean Fish 265(10):26-42 

  18. Lee YH, Kang KC, Paik SB, Lee KS, Park JH. 1991. Separ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edible marine alga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3):256-261 

  19.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1. Survey of preference on marine products by ages and consume promotion method. pp 1-422 

  20.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5. A handbook of Korean seafood processing technology. pp 22-23 

  21. Nakamura Y, Narukawa T, Yoshinaga J. 2008. Cancer risk to Japanese population from the consumption of inorganic arsenic in cooked hijiki. J Agric Food Chem 56(7):2536-2540 

  22. Park SK, Kim MJ. 2008. Effects of changing age structure of population on seafood consumption. Ocean Pol Res 23(1):1-26 

  23. Samee H, Li ZX, Lin H, Khalid J, Guo YC. 2009. Anti-allerg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brown seaweeds. J Zhejiang Univ Sci B 10(2): 147-153 

  24. Shin A, Lim SY, Sung J, Shin HR, Kim J. 2009. Dietary intake, eating habits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en. J Am Diet Assoc 109(4):633-640 

  25. Sohn JW. 2009. A study on Korean seaweed foods by literature review. Korean J Food and Nutr 22(1):75-85 

  26. Teas J. 1983. The dietary intake of Laminaria, a brown seaweed, and breast cancer prevention. Nutr Cancer 4(3):217-2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