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목격자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높이는 핵심 방안 중 하나가 학생들에게 심폐소생술 교육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교사가 실시하는 중학생 심폐소생술 교육의 결과를 교육 전 수준과 비교 검증하는 것이다. 2014년 3월부터 6월까지 부산광역시 중학생 812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과 후의 관찰 값을 SPSS, SA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카이검정과 맥네머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성별과 과거교육 경험을 층하한 후 각 층하군에서 인식, 의지 및 자신감의 모든 항목에서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p<0.05). 목격자 심폐소생술이 더 많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중학생에게 보건교사가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교육의 실현을 위하여 교육 도구의 공급을 위한 지역사회의 정책 개발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CPR education to school students is one of the key points to higher bystander CPR rat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s after CPR education to middel school students by health teachers compared to that of pre-education status. During 3 monthes from Mar. to Jun. 2014, the observation data before and after CPR education were analysed through Chi-square test and McNemar's test using SPSS, SAS programs from 812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prov. After stratifying those surveyed by genders and previous CPR education experiences, each stratified groups showed positive changes of statistical significnace in all aspects of the knowledge, will, and self-confidence about CPR. (p<0.05). It is the more desirable method to increase bystander CPR that the CPR education including knowledge and practice was done to middle school students by health teachers. To come true these CPR education, more studies are necessary about policy development to support education tranining tools in a community.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