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고버섯(Lentinula edodes) 및 표고버섯 신품종 이슬송이버섯(Lentinula edodes GNA01)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between Lentinula edodes and New Cultivar Lentinula edodes GNA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0, 2015년, pp.1484 - 1491  

장혜림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  이종헌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  황명진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  최용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능성식품과) ,  김행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능성식품과) ,  황진봉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남진식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가 미흡하고 널리 알려져 있지 않아 수요가 부족한 이슬송이버섯의 보급 확대 및 수요 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슬송이버섯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이슬송이버섯은 중국 복건성 삼명진연구소 L26과 경원9015를 모균주로 하여 교배된 신품종 표고버섯으로 표고버섯과 달리 갓과 자루의 구별이 없는 구형을 띠고 있다. 이슬송이버섯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및 조단백 함량은 표고버섯보다 낮았으나 조회분, 조지방, 조섬유 및 탄수화물 함량은 표고버섯보다 높았다. 이슬송이버섯의 베타카로틴 함량은 $19.05{\mu}g/100g$으로 표고버섯의 베타카로틴 함량보다 약 3배 높았으며, 비타민 D 함량 또한 $118.53{\mu}g/100g$으로 표고버섯의 약 2배로 확인되었다. 주요 무기질은 K으로 측정되었으며, Mg 함량이 표고버섯의 약 2배로 측정되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슬송이버섯 및 표고버섯의 지방산 함량과 조성은 모두 불포화지방산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linoleic acid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슬송이버섯의 총 페놀 함량은 표고버섯보다 낮았으며, 1,1-diphenyl-2-picrylhydrazyl picrylhydrazyl(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또한 모든 농도에서 표고버섯보다 낮았다. 그러나 이슬송이버섯은 10 mg/mL 농도에서 80% 이상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FRAP 또한 1에 가까운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이슬송이버섯은 비록 항산화 활성은 표고버섯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베타카로틴 및 비타민 D 함량은 표고버섯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항산화 활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추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훌륭한 식품소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w cultivar Lentinula edodes, which is named 'Lentinula edodes GNA01', was bred by mating strains isolated from 'L26' and 'Kyoungwon9015' obtained from Sammyungjin Research Institute, Fujian, China. L. edodes GNA01 does not have stipes like L. edodes, although it generally has a similar spher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슬송이버섯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표고버섯과 비교함으로써 이슬송이버섯의 보급 확대 및 수요 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가 미흡하고 널리 알려져 있지 않아 수요가 부족한 이슬송이버섯의 보급 확대 및 수요 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슬송이버섯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이슬송이버섯은 중국 복건성 삼명진연구소 L26과 경원9015를 모균주로 하여 교배된 신품종 표고버섯으로 표고버섯과 달리 갓과 자루의 구별이 없는 구형을 띠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고버섯은 무엇인가?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은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느타리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특유한 향과 맛을 가지고 있어 기호가 높다. 재배농가는 물론 재배면적, 생산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고소득 작목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2), 표고버섯의 약리 효과가 밝혀지면서 수요 또한 증가했다.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버섯류는 무엇이 있는가? 뿐만 아니라 다양한 버섯들의 항산화 및 항암, 항당뇨, 항고혈압 등의 생리활성 효과가 입증 되어(1-4)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과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버섯류는 대표적으로 표고, 느타리, 양송이, 송이버섯 등이 있으며, 1965년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장려정책으로 널리 행해진 인공재배 덕분에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1).
수확 후 판매하기까지 유통기간이 짧은 표고버섯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가? 이에 따라 수확 후 판매하기까지 유통기간이 짧아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품의 변질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3-5), 우량균주를 선발하여 우량계통을 재배함으로써 신품종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널리 행해지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Um S, Jin G, Park KW, Yu Y, Park KM. 2010. Physiological activity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Pleurotus spec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90-96. 

  2. Kang MY, Kim S, Yun HJ, Nam SH. 2004.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browne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with unmarketable qua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48-654. 

  3. Seo SY, Ahn MS, Choi SR, Song EJ, Choi MK, Kim YS. 2011.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biological activity of Agrocybe aegerita. J Mushroom Sci Prod 9: 116-122. 

  4. Jung EB, Jo JH, Cho SM. 2008. Nutritional component and anticancer of various extracts from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95-1400. 

  5. Ding JL, Shin HJ, Cha WS. 2006. Anlaysis of amino acids, vitamins and minerals of fruiting body of Fomitopsis pinicola. J Life Sci 16: 1123-1126. 

  6. Kim H, Ham I, Lee K, Lee B, Kim YG, Yang E, Yoo Y, Kim H. 2011. Characteristics of a new button mushroom variety 'Dahyang'. J Mushroom Sci Prod 9: 17-21. 

  7. Kim Y. 2011. Novel strain of Lentinula edodes GNA01. US Patent 13,994,696. 

  8.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9.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 37-41. 

  1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1.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2. Song H, Moon GI, Moon YH, Jung IC. 2000.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hamburger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0: 72-78. 

  13. Kim H, Ahn M, Kim G, Kang M. 2006.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leurotus eryngii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99-804. 

  14. Shon MY, Seo KI, Choi SY, Sung NJ, Lee SW, Park SK. 2006. Chemical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y of Phellinus baumi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24-529. 

  15.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1. Food Composition Table. 8th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 198. 

  16. Lee SK, Yoo YJ, Kim CS. 1989.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in Ganoderma lucidum.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90-894. 

  17. Kim JY, Park SR, Shin JA, Chun JY, Lee J, Yeon JY, Lee WY, Lee KT. 2013. ${beta}$ -Carotene and retinol contents in Bap, Guk (Tang) and Jjigae of eat-out Korean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958-1965. 

  18. Raja R, Hemaiswarya S, Rengasamy R. 2007. Exploitation of Dunaliella for ${beta}$ -carotene product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74: 517-523. 

  19. Robaszkiewicz A, Bartosz G, Lawrynowicz M, Soszynski M. 2010. The role of polyphenols, ${\beta}$ -carotene, and lycopene in the antioxidative action of the extracts of dried, edible mushrooms. J Nutr Metab 1-9. 

  20. Mau JL, Chao GR, Wu KT. 2001. Antioxidant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veral ear mushrooms. J Agric Food Chem 49: 5461-5467. 

  21. Mau JL, Lin HC, Chen CC.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medicinal mushrooms. J Agric Food Chem 50: 6072-6077. 

  22. Mattila P, Konko K, Eurola M, Pihlava JM, Astola J, Vahteristo L, Hietaniemi V, Kumpulainen J, Valtonen M, Piironen V. 2001. Contents of vitamins, mineral elements, and some phenolic compounds in cultivated mushrooms. J Agric Food Chem 49: 2343-2348. 

  23. Takamura K, Hoshino H, Sugahara T, Amano H. 1991. Determination of vitamin D2 in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545: 201-204. 

  24. Holick MF. 2009. Vitamin D status: measurement, interpret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 Ann Epidemiol 19: 73-78. 

  25. Ford ES, Ajani UA, McGuire LC, Liu S. 2005. Concentrations of serum vitamin D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Diabetes Care 28: 1228-1230. 

  26. May HT, Bair TL, Lappe DL, Anderson JL, Horne BD, Carlquist JF, Muhlestein JB. 2010. Association of vitamin D levels with incident depression among a general cardiovascular population. Am Heart J 159: 1037-1043. 

  27. Cho SK, Koo S, Park K. 2014. Vitamin D and depress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467-1476. 

  28. Hong KH, Kim BY, Kim HK. 2004.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in Pleurotus ferul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63-567. 

  29. Hashiguchi M, Itoh S, Tsuyuki H. 1984. Lipids in cap and stalk of shiitake mushroom studies on the lipids of shiitake. J Jap Soc Food Sci Technol 31: 436-442. 

  30. Rew YH, Lee SH, Jo WS, Yoon JT. 2000.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by various developmental stage and fruit body section in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Mycol 28: 109-111. 

  31. Cho DB, Hyun KH, Choi JH, Na KC, Seo JS, Kang SK, Kim YD. 2002. Chemical compositions of Lentinula in growth stage -A study on application plan of Lentinula I-. Korean J Plant Res 15: 128-134. 

  32. Kozlowska H, Rotkiewicz DA, Zadernowski R, Sosulski FW. 1983. Phenolic acids in rapeseed and mustard. J Amer Oil Chem Soc 60: 1119-1123. 

  33. Kahkonen MP, Hopia AI, Vuorela HJ, Rauha JP, Pihlaja K, Kujala TS, Heinonen M.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7: 3954-3962. 

  34. Mattila P, Hellstrom J. 2007. Phenolic acids in potatoes, vegetables, and some of their products. J Food Comp Anal 20: 152-160. 

  35. Baek G, Jeong H, Kim H, Yoon T, Suh H, Yu K. 2012. Pharmacological activity of chaga mushroom on extraction conditions and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378-1387. 

  36. Koleva II, van Beek TA, Linssen JP, de Groot A, Evstatieva LN. 2002. Screening of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a comparative study on three testing methods. Phytochem Anal 13: 8-17. 

  37. Gulcin I, Alici HA, Cesur M. 2005. Determination of in vitro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ropofol. Chem Pharm Bull 53: 281-285. 

  38. Kim HK, Yang ES, Park GM, Kim GH, Kim HH, Lee KS. 2011.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 - gluco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a new mushroom variety 'Dahy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79-1183. 

  39. Katsube T, Tabata H, Ohta Y, Yamasaki Y, Anuurad E, Shiwaku K, Yamane Y.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in edible plant products: comparison of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assay,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Folin-Ciocalteu assay. J Agric Food Chem 52: 2391-2396. 

  40. Cho HS, Lee HJ, Lee SJ, Shin JH, Lee HU, Sung NJ. 2008. Antioxidative effects of Pleurotus eryngii and its by-products. J Life Sci 18: 1360-1368. 

  41. Nguyen TK, Shin DB, Lee KR, Shin PG, Cheong JC, Yoo YB, Lee MW, Jin GH, Kim HY, Im KH, Lee TS. 2013.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ruiting bodies of Dyctiophora indusiata. J Mushroom Sci Prod 11: 269-277. 

  42. Mau J, Chang C, Huang S, Chen C. 2004. Antioxidant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Grifola frondosa, Morchella esculenta and Termitomyces albuminosus mycelia. Food Chem 87: 111-118. 

  43. Maksimovic Z, Malencic D, Kovacevic N. 2005.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ydis stigma extracts. Bioresour Technol 96: 873-8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