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코올 농도와 저장온도가 탁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Alcohol Contents on Quality of Takju during Storage Peri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0, 2015년, pp.1531 - 1537  

서승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  박성은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  유선아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  손홍석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탁주 제성 후 90일간 저장하면서 저장온도($4^{\circ}C$, $20^{\circ}C$)와 알코올 농도(6%, 8%, 10%, 12%)에 따른 탁주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4^{\circ}C$에서 90일간 저장한 탁주의 경우 $20^{\circ}C$에서 90일간 저장한 탁주보다 효모 생균수가 적었으며 알코올 농도가 높을수록 그 차이가 증가하였다. 탁주의 총산도유리아미노산 함량은 $4^{\circ}C$에서 90일간 저장하여도 차이는 없었다. 알코올 농도 6%의 탁주를 $4^{\circ}C$에서 저장한 경우 lactic acid의 함량은 1,883.5 mg/L에서 1,914.5 mg/L로 90일 후 차이가 미비하였으나, $20^{\circ}C$에서 저장한 탁주의 경우 4,736.1 mg/L로 증가하였다. 알코올 농도 6%의 탁주를 $4^{\circ}C$에서 90일까지 저장하여도 총 아미노산 함량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20^{\circ}C$에서 저장한 경우 $4^{\circ}C$에서 저장한 탁주보다 2배 이상 높은 함량을 보였다. 모든 실험구에서 알코올 농도에 따른 저장성 변화는 관찰 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탁주를 $4^{\circ}C$에서 보관한다면 유통 기한이 현행(30일 이상)보다 연장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under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4^{\circ}C$ and $20^{\circ}C$) and alcohol contents (6%, 8%, 10%, and 12%) during 90 days of storage. The counts of yeast were lower in Takju samples stored 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탁주를 제성 후 90일 동안 보관하며 저장기간 동안의 성분 분석 및 품질 평가를 통해 탁주의 저장성을 확인하였으며, 저장기간 동안의 품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저장온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냉장(4°C)과 실온(20°C)에서 보관하였으며, 알코올 농도가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장 중 검출된 탁주의 유리아미노산 종류는? 5에 나타내었다. 탁주 저장 중 유리아미노산은 필수아미노산 7종(threonine, methionine, phenylalanine, isoleucine, lysine, valine, leucine)과 비필수아미노산 11종(histidine, arginine, glycine, cystine, serine, asparagine, alan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proline, tyrosine)이 검출되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저장 0일차의 알코올 농도 6% 탁주가 1,145.
우리나라 전통주인 탁주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전통주인 탁주는 주로 찹쌀이나 멥쌀을 원료로 하고 입국(누룩)을 이용하여 용수와 함께 담금하여 만들어지는 발효주이다. 발효 중 입국(누룩)에 있는 곰팡이의 amylase에 의한 전분의 당화와 효모에 의한 발효성 당의 알코올 전환 과정(발효)이 동시에 진행되는 병행복발효주이다(1).
탁주의 저장성이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탁주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낮은 저장성으로 인한 유통의 한계는 탁주 시장 확대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탁주의 저장성이 낮은 이유는 보통 알코올 농도가 낮고 미생물을 살균하지 않은 채 유통되기 때문이다. 대부분 탁주의 유통기한은 저온보관 시 30일 이내로 설정되고 있으며, 살균을 하더라도 탁한 성격으로 인해 물리적 여과 방식이 아닌 열처리를 하기 때문에 풍미의 저하를 초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BH, Eun JB. 201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adde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17-421. 

  2. Park JH, An DS, Lee DS, Park E. 2014. Prediction of shelflife of sea tangle drink.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784-790. 

  3. Cho HY, Kown YJ, Kim IK, Pyun YR. 1993. Estimation of kinetic parameters of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using equivalent time at reference temperature with linearly increasing temperature profile.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178-184. 

  4. Lee CH, Lee HD, Kim JY, Kim KM. 1989. Sensory quality attributes of Takju and their changes during pasteuriz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4: 405-410. 

  5. Choi EJ, Jung JJ, Lee JW, Kang ST. 2010. Effect of UV sterilization on quality of centrifuged Takju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61-466. 

  6. Lee JW, Jung JJ, Choi EJ, Kang ST. 2009. Changes in quality of UV sterilized takju during storage by honeycomb type-UV steriliz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52-656. 

  7. Lim S, Jwa MK, Mok C, Park YS, Woo GJ. 2004. Changes in microbial counts, enzyme activity and quality of foxtail millet Takju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33-238. 

  8. Kim AR,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Kim MJ, Ji KW, Ahn IS, Ahn DH. 2008.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9. Jung SJ, Shin TS, Kim JM. 2012. Improvement of takju quality by a ripening-fermentation process using honey and extension of shelf life by control of takju mash sediment. J Life Sci 22: 80-86. 

  10. Kim JH, Lee SY, Kim KBWR, Song EJ, Kim AR, Kim MJ, Ji KW, Ahn IS, Ahn DH. 2007. Effects of Glycyrrhiza uralensis, Menthae herba, Schizandra chinensis and chitosan on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36-1443. 

  11. Choi GI, Kim HJ, Kim HJ, Kim HR, Kim DH, Ahn JS, Son YG, Song IH. 2012. Changes of organic acid in takju during storage conditions. J Fd Hyg Safety 27: 127-132. 

  12. Kim SM, Han A. 2012. Storage properties and biogenic amines production of makgeolli brewed with different proportions of rice and wheat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83-591. 

  13. Kwon YH, Lee AR, Kim JH, Kim HR, Ahn BH. 2012.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during storage of commercial Makgeolli. Kor J Mycol 40: 210-214. 

  14. Baek SY, Nam YG, Ju JI, Lee JS. 2011.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mad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C-2. Kor J Mycol 39: 122-125. 

  15. Margalit Y. 2003. Winery technology & operation. The Wine Appreciation Guild, San Francisco, CA, USA. p 1-12. 

  16. So MH, Lee YS, Noh WS. 1999.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 Nutr 12: 226-232. 

  17. Park CS,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18. Lee TJ, Hwang DY, Lee CY, Son HJ. 2009.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 45: 391-396. 

  19. Min JH, Nam YG, Ju JI, Jung JH, Lee JS, Kim HK. 2012. Changes in yeast and bacterial flora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of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using PCR-DGG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0: 111-116. 

  20. Mok C, Lee JY, Chang HG. 1997. Quality changes of nonsterilized Yakju (rice wine) during storage and its shelf-life estimation. Food Eng Prog 1: 192-197. 

  21. Son HS, Hwang GS, Kim KM, Kim EY, van den Berg F, Park WM, Lee CH, Hong YS. 2009. $^1H$ NMR-based metabolomic approach for understanding the fermentation behaviors of wine yeast strains. Anal Chem 81: 1137-1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