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 가족 지지프로그램이 가족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우울,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Family Support Programs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 Caregiving Burden, Depression, and Stres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5, 2015년, pp.627 - 640  

박세연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박명화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family support programs on caregiving burden, depression, and stress in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of electronic databases to identify randomized controlled stud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최근 2014년까지 실시된 치매 가족지지프로그램의 정신·심리적 효과에 대한 무작위대조연구의 결과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하여 지지프로그램의 객관적 유용성과 결과변수별 효과를 체계적으로 규명한 연구로써 그 의의를 갖는다.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치매 가족부양자에게 실시된 지지프로그램 연구들을 통합하고 분석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2000년에서 2014년까지 발표된 치매 가족 지지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무작위대조군 연구 38편(총 9,048명)을 대상으로 이들 중재의 치매 가족부양자의 정신·심리적 결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지지프로그램의 유용성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중재 연구의 수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1998년에서 2009년까지 치매 가족 지지프로그램 30편의 논문을 메타분석 실시한 Chien 등[10]의 연구는 무작위대조연구와 비무작위대조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심리교육이 지지프로그램으로 가장 많이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0년에서 최근 2014년까지 수행된 무작위대조군 연구만을 고찰한 본 연구에서는 복합중재 연구의 수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복합중재의 특성상 다양한 유형의 중재방법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단일 중재를 사용한 프로그램보다 치매 가족 부양자의 심리적 안정감과 정서적 지지 및 정보 제공에 통합적으로 효과가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가 누적되어 관련 연구의 수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22]. 또한 복합중재는 가족부양자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결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중재설계로 적합하며, 각각의 요구에 대응하는 맞춤형 중재로써 적극 개입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2].
치매란? 치매는 뇌신경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기억력, 지남력, 언어, 행동, 사회적 기능이 손상되어 지속적인 돌봄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이다. 우리나라 치매 환자의 시설 입소비율은 0.
우리나라 치매 환자의 시설 입소비율은 어느정도인가? 치매는 뇌신경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기억력, 지남력, 언어, 행동, 사회적 기능이 손상되어 지속적인 돌봄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이다. 우리나라 치매 환자의 시설 입소비율은 0.1~0.2% 수준으로 치매 환자들은 대부분 가정에서 가족들의 돌봄을 받고 있으며[1], 이로 인해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은 신체적 부담뿐만 아니라 무기력감, 우울증 등의 정서적 부담과 치매치료와 간호에 소요되는 비용과 경제활동의 제한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질병이 장기화될수록 부양과 역할분담으로 인한 가족갈등을 겪게 되고 치매 환자와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하며, 치매 환자를 돌보는 주 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스트레스, 우울은 치매 환자의 돌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일반적인 정신·심리적 결과로 보고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05. Daejeon: Author; 2006. 

  2. George LK, Gwyther LP. Caregiver well-being: A multidimensional examination of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adults. The Gerontologist. 1986;26(3):253-259. http://dx.doi.org/10.1093/geront/26.3.253 

  3. Gaugler JE, Jarrott SE, Zarit SH, Stephens MA, Townsend A, Greene R. Adult day service use and reductions in caregiving hours: Effects 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dementia caregive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3;18(1):55-62. http://dx.doi.org/10.1002/gps.772 

  4. Clipp EC, George LK. Dementia and cancer: A comparison of spouse caregivers. The Gerontologist. 1993;33(4):534-541. http://dx.doi.org/10.1093/geront/33.4.534 

  5. Goedendorp MM, Gielissen MF, Verhagen CA, Bleijenberg G.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reducing fatigue during cancer treatment in adult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9;1:CD006953.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6953.pub2 

  6. Mahoney R, Regan C, Katona C, Livingston G. Anxiety and depression in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Alzheimer disease: The LASER-AD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5;13(9):795-801. http://dx.doi.org/10.1176/appi.ajgp.13.9.795 

  7. Kong EH. The effects of dementia education program on certified geriatric caregivers in a nursing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0;19(4):349-358. http://dx.doi.org/10.12934/jkpmhn.2010.19.4.349 

  8. Mittelman MS, Ferris SH, Shulman E, Steinberg G, Ambinder A, Mackell JA, et al. A comprehensive support program: Effect on depression in spouse-caregivers of AD patients. The Gerontologist. 1995;35(6):792-802. http://dx.doi.org/10.1093/geront/35.6.792 

  9. Mittelman MS, Roth DL, Coon DW, Haley WE. Sustained benefit of supportive intervention for depressive symptoms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4;161(5):850-856. http://dx.doi.org/10.1176/appi.ajp.161.5.850 

  10. Chien LY, Chu H, Guo JL, Liao YM, Chang LI, Chen CH, et al. Caregiver support groups in patients with dementia: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1;26(10):1089-1098. http://dx.doi.org/10.1002/gps.2660 

  11. Etters L, Goodall D, Harrison BE. Caregiver burden among dementia patient caregiver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08;20(8):423-428. http://dx.doi.org/10.1111/j.1745-7599.2008.00342.x 

  12. Nichols LO, Martindale-Adams J, Burns R, Graney MJ, Zuber J. Translation of a dementia caregiver support program in a health care system-REACH VA.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11;171(4):353-359. http://dx.doi.org/10.1001/archinternmed.2010.548 

  13. Park YH. A study on the condition and development plan of social support: Programs for the family of old people with dementia: Focused social workers in dementia facilities [master's thesis]. Kong Ju: Kong Ju National University; 2003. 

  14. Zarit SH, Reever KE, Bach-Peterson J. Relatives of the impaired elderly: Correlates of feelings of burden. The Gerontologist. 1980;20(6):649-655. http://dx.doi.org/10.1093/geront/20.6.649 

  15. Arai Y, Zarit SH. Exploring strategies to alleviate caregiver burden: Effects of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cheme in Japan. Psychogeriatrics. 2011;11 (3):183-189. http://dx.doi.org/10.1111/j.1479-8301.2011.00367.x 

  1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editor.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Washington, DC: Author; 2013. 

  17. Brummett BH, Babyak MA, Siegler IC, Vitaliano PP, Ballard EL, Gwyther LP, et al. Associations among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negative affect, and quality of sleep in caregivers and noncaregivers. Health Psychology. 2006;25(2):220-225. http://dx.doi.org/10.1037/0278-6133.25.2.220 

  18. Higgins JPT, Green S, editor.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Internet]. Oxford, UK: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cited 2014 November 10]. Available from: www.cochrane-handbook.org. 

  19. Stroup DF, Berlin JA, Morton SC, Olkin I, Williamson GD, Rennie D, et al.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A proposal for reporting.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MOOSE) group.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0;283(15):2008-2012. 

  20. Juni P, Holenstein F, Sterne J, Bartlett C, Egger M. Direction and impact of language bias in meta-analyses of controlled trials: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02;31(1):115-123. http://dx.doi.org/10.1093/ije/31.1.115 

  21. Kim SY, Park JE, Seo HJ, Lee YJ, Son HJ, Jang BH,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22. Belle SH, Burgio L, Burns R, Coon D, Czaja SJ, Gallagher-Thompson D, et al.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dementia caregivers from different ethnic or racial group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6;145(10):727-738. http://dx.doi.org/10.7326/0003-4819-145-10-200611210-00005 

  23. Gitlin LN, Belle SH, Burgio LD, Czaja SJ, Mahoney D, Gallagher-Thompson D, et al. Effec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s o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The REACH multisite initiative at 6-month follow-up. Psychology and Aging. 2003;18(3):361-374. http://dx.doi.org/10.1037/0882-7974.18.3.361 

  24. Acton GJ, Kang J. Interventions to reduce the burden of caregiving for an adult with dementia: A meta-analysi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1;24(5):349-360. http://dx.doi.org/10.1002/nur.1036 

  25. Parker D, Mills S, Abbey J.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hat assist caregivers to support people with dementia living in the community: A systematic review. Int J Evid Based Healthc. 2008;6(2):137-172. http://dx.doi.org/10.1111/j.1744-1609.2008.00090.x 

  26. Brodaty H, Green A, Koschera A. Meta-analysi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3;51(5):657-664. http://dx.doi.org/10.1034/j.1600-0579.2003.00210.x 

  27. Chu H, Yang CY, Liao YH, Chang LI, Chen CH, Lin CC, et al. The effects of a support group on dementia caregivers' burden and depression.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11;23(2):228-241. http://dx.doi.org/10.1177/0898264310381522 

  28. Senanarong V, Jamjumras P, Harmphadungkit K, Klubwongs M, Udomphanthurak S, Poungvarin N, et al. A counseling intervention for caregivers: Effect on neuropsychiatric symptom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4;19(8):781-788. http://dx.doi.org/10.1002/gps.1123 

  29. Fung WY, Chien WT. The effectiveness of a mutual support group for family caregivers of a relative with dementia.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002;16(3):134-144. http://dx.doi.org/10.1053/apnu.2002.32951 

  30. Marriott A, Donaldson C, Tarrier N, Burns A.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ural family intervention in reducing the burden of care in carers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0;176:557-562. http://dx.doi.org/10.1192/bjp.176.6.5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