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에 기초한 남성노인의 우울 영향 요인 분석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the Elderly Male: Based on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5, 2015년, pp.583 - 593  

오두남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김철규 (충북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male in Korea. Methods: The initial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 The data of 1,210 adults with the age over 65 year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남성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시행하였으며, 우울 영향 요인은 남성노인의 인구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신체활동 및 경제활동 특성, 생활습관 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한국의 65세 이상 남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경제활동, 신체활동 및 생활습관 등의 차이를 파악하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해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차분석하여 남성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05로 하였다. 본 회귀 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다. 공차한계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우울에는 어떠한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 최근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노인의 우울과 다양한 영향요인간의 인과관계를 종단적으로 다룬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하였다[7]. 노인 우울에는 성별, 교육수준, 경제수준, 종교, 결혼 상태 등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7], 또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예를 들어 신체적 요인에서는 주관적 혹은 객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유무[8], 심리적 요인으로는 영성이나 자아존중감[9,10], 사회적 요인으로는 환경과 사회적 지지 등이[11]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 주고 있다.
우울은 무엇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가? 질병 부담이 큰 정신건강문제 중 하나인 우울은[1] 전 세계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율도 증가하면서 노인의 삶의 질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2]. 국내 국가보고자료에 의하면 65세 이상 노인의 약 28%가 우울증 진단 범주에 해당이 되고, 특히 노인 우울 환자의 수는 매년 증가하여 2004년 84,040명에서 2009년 147,721명으로 5년 사이 약 65.
학력이 낮고 배우자가 없는 남성노인에게 우울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를 더 적극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보는 이유는? 남성노인의 인구학적 특성 중 중졸 이하의 노인에서 우울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Kim과 Park[26]의 연구결과에서 중졸 이하의 남성노인의 우울점수가 고졸 이상의 남성노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던 것과 유사하였다. 또한, 남성노인의 학력을 초졸 이하와 중졸 이상으로 구분하여 본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비교할 수는 없지만 Park 등[22]의 연구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도, 초졸 이하 노인에서 우울 유병률이 11.5%로 중졸 이상의 8.6%보다 높아 학력이 낮을수록 우울 유병률이 높은 경향을 보인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이혼이나 사별 등의 결혼 상태에 있는 남성노인의 우울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무배우자 남성노인의 우울 비율이 유배우자 남성노인의 우울 비율에 비해 15%p 정도 높았던 연구 결과[22]와도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우울에서 학력이 낮을수록 우울 점수와 우울 유병률이 높았고, 유배우자 노인에서 무배우자 노인보다 우울 점수와 우울증 유병율이 유의 하게 높았던 선행연구결과와도 일치하였다[23,24]. 따라서 학력이 낮고 배우자가 없는 남성노인에게 우울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를 더 적극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ease control priorities related to mental, neurological, developmental, and substance abuse disorder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10-37.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V-2). Seoul: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3. Kim SE, Kim SA. A predictive model of depression in rural elders-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3):442-51. 

  4. Schulz R, Drayer RA, Rollman BL. Depression as a risk factor non-suicide mortality in the elderly. Biological Psychiatry. 2002;52(3):205-25. 

  5. Satz P, Dewey ME. Depression, depressive symptoms and mortality in persons aged 65 over living in the community: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1;16(6):622-30. 

  6. Zhang JP, Kahana B, Kahana E, Hu B, Pozuelo L. Joint modeling of longitudinal changes in depressive symptoms and mortality in a sample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Psychosomatic Medicine. 2009;71(7):704-14. 

  7. Kim BK, Ha YJ, Choi SS. A vertical study on the factors are influences on depression of the aged: focusing on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4;34(1):115-32. 

  8. Youn HS, Ku BM.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9;61(5):303-24. 

  9. Kim JS. A study of the influence factors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focused on the spirituality.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2008;5(2):5-20. 

  10. Kim HS, Kim BS.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7;27(1):23-37. 

  11. Kim DB, Yoo BS. A study o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soci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3;33(1):105-23. 

  12. Kang SK, Boo KC. Predictors of elderly depression using the Anderson model.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0;49:7-30. 

  13. Kim HM, Choi YH.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elderly vulnerable people living alone.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22(4):355-64. 

  14. Nam KM, Jung EK. The influence of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derly women living alone on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t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death-anxiet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1;52:325-48. 

  15. Seedat S, Scott KM, Angermeyer MC, Berglund P, Bromet EJ, Brugha TS, et al. Cross-national associations between gender and mental disorders i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mental health survey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09;66(7):785-95. http://dx.doi.org/10.1001/archgenpsychiatry.2009.36 

  16. Kim HY. Comparison of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isk factors among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in Korea.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2014;10(1):163-77. 

  17. Jang MH, Lee JA, Kim AS. Gender specific role of anger expression on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in community-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4;23(1):38-48. http://dx.doi.org/10.12934/jkpmhn.2014.23.1.38 

  18. Jung EJ, Choi KH. Depression and cognition in Korean older adults: effects of gender and marital statu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13;18(1):17-31. 

  19. Nationa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2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Issue No. 11-B550928-000001-10). Seoul: Authors; 2013. 

  20.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the fifth (2010-2012) guide. Seoul: Authors; 2013. 

  21. IPAQ Group. Guidelines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2005. 

  22. Park HS, Jung MH, Yu JH.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ence of spouses and depression of Korean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2012;7(5):1181-7. 

  23. Lee YH, Shin MH, Kweon SS, Choi SW, Ryu SY, Rhee JA, et al.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an urban community. Journal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2008;33(3):303-15. 

  24. Tobiasz-Adamczyk B, Brzyski P, Brzyska M.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ge and risk of being a victim of domestic violenc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14; 58:388-98. http://dx.doi.org/10.1016/j.archger.2013.11.012 

  25. Sheikh JI, Yesavage JA.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73. 

  26. Kim CG, Park SM. Gender difference in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1):136-47. http://dx.doi.org/10.4040/jkan.2012.42.1.136 

  27. Finkelstein EA, Bary JW, Chen H, Larson MJ, Miller K, Tomlkins C, et al. Prevalence and costs of major depression among elderly claimants with diabetes. Diabetes Care. 2003;6(2):415-20. 

  28. Kim A, Kim O. The path model based on senescent sleep model for sleep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2):211-22. http://dx.doi.org/10.7475/kjan.2015.27.2.211 

  29. Cha JT, Jee YS. The effects of regular exercise on cardiovascular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04;43(5):331-40. 

  30. Lee JC, Park JA, Bae NK, Cho YC. Factors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2008;33(2):204-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