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악산국립공원 멸종위기 산양(Naemorhedus caudatus) 개체군 크기와 서식지 이용 현황

Current status of population size and habitat selection of the long-tailed goral(Naemorhedus caudatus) in Seoraksan National Park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5, 2015년, pp.710 - 717  

조재운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김규철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권구희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김기윤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이배근 (국립생태원) ,  송병철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박종길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산양과 서식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산양의 분변 및 카메라트랩을 이용한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분석을 2010~2014년 동안 수행하였으며 생태학적 조사 방법(흔적조사, 카메라트랩조사)을 사용하였다. 분변 조사와 카메라트랩핑 분석 결과 각각 166개체 및 251개체의 산양이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적조사(분변)를 통한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에서 산양은 경사도 $35^{\circ}{\sim}60^{\circ}$, 고도 600~700m, 향 북동, 수계와의 거리 0~50m, 도로와의 거리 300~600m, 활엽수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메라트랩 조사를 통한 산양 개체군 구성, 주간(07-18시)이 56.5%, 야간(18-07시)이 43.5%로 산양의 활동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산양의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은 향후 그들이 살아가는 서식지의 보전과 서식지의 관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vestigate population size and habitat use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ndangered long-tailed goral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using feces and camera trap during 2010 to 2014 (track survey, camera trap). As a result of feces tracking and camera trap, i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GPS 좌표는 GPS map 60CSx(GARMIN Inc., USA)를 이용하여 저장하였고, 설악산국립공원지역 1 : 25,000 수치지형도(국토지리정보원)를 Arc GIS 9.3.1(ESRI inc., USA)을 사용하여 DEM(해상도 10m)을 제작 후 분석하였다. 개체수, 서식지 이용 특성 등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0.
  • 개체수의 산정은 1×1㎢의 단위면적을 기준으로 여기서 발견된 분변의 단경을 측정하여 한 지역 내 서로 다른 연령집단(성체, 아성체, 새끼)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산양분변의 GPS 좌표를 바탕으로 서식지 이용 및 시간대별 활동시간 분석을 수행하였다.
  • 설악산국립공원은 바위 협곡이 많고 주로 이 협곡 주변에서 산양이 물을 섭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로는 차도와 임도, 법정탐방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도로와 서식지의 거리의 경우 도로는 200m 이상의 거리를, 삭도가 있는 지역인 울진산양의 도로와의 거리 100m 이내(Park, 2011), 본 연구에서는 300m~600m에서 14.
  • 산양분변은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분변별로 최소 30개씩 장·단경(길이와 직경)을 측정하여 단경의 길이로 평균치를 분석하였고, 총 1,096개의 분변 그룹(fecal deposit)중에 측정 가능한 569개의 분변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Table 1).
  • 산양의 개체 구분은 뿔 형태, 링 무늬 형태, 링 형성 비율, 얼굴 색상 양상 등 총 4개의 기준으로 수행하였고(KNPS, 2010; Cho, 2013), Myslenkov and Voloshina(1989, 1998)의 개체 구분 분석 방법에 따라 장경으로 암·수를 구분하였고 단경으로 성체, 아성체, 새끼를 구분하고 보완하여 실시하였다.
  • 설악산국립공원을 4개 지역(내설악, 외설악, 남설악, 장수대)으로 나누어 분변 크기를 바탕으로 개체수를 파악하였다. 조사지역 전체의 분변 총 1,096개의 분변 그룹 중 측정이 가능한 569개의 분변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3개의 연령대(~7㎜: 새끼, 7~8.
  • 이 연구를 위하여 2010~2014년 동안 생태학적 조사 방법인 선조사(line transect census)와 흔적조사(track survey)를 이용하였고, 산양의 분변은 다른 우제류의 분변과는 형태와 크기가 달라 종 구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현장조사에서 발견된 산양의 분변을 구분하였다(Wang et al., 2008; Chen et al., 2009, Myslenkov and Voloshina, 2012; Cho, 2013).
  • 이 연구에서 현장에서 분변별로 최소 30개씩 장·단경(길이와 직경)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분석하고 개체를(단경으로) 구분하여 설악산국립공원에서 251개체의 산양 서식을 확인하였다.
  • 그러나 3개체로 구분한 지역의 카메라트랩 분석에서 5~6개체의 산양이 촬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메라트랩의 경우에 산양 개체 구분은 뿔 형태, 링 무늬 형태, 링 형성 비율, 얼굴 색상양상 등 총 4개의 기준으로 수행하였는데(KNPS, 2010), 그외에 개체만의 특성(얼굴의 상처, 부러진 뿔, 개체의 색상 등)을 가진 경우 그 특성으로 구분을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일반적으로 산양이 주행성 동물이며 야간에는 은신처에서 잠을 자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on, 1967; Yoon et al.

대상 데이터

  • 설악산국립공원을 4개의 지역(내설악, 외설악, 남설악, 장수대)으로 구분하여 2010∼2014년 동안 261대의 무인센서카메라(Table 2)에 의해 촬영된 8,385장 중 4,699장의 산양 사진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내설악 지역에서는 총 3,846장 중 산양이 촬영된 2,157장을 근거로 100개체를 확인하였고, 외설악 지역에서는 총 664장 중 산양이 촬영된 411장을 근거로 19개체를 확인하였고, 남설악 지역에서는 총 550장 중, 산양이 촬영된 379장을 근거로 24개체를 확인하였고, 장수대 지역에서는 총 3,325장이 촬영되었고 산양이 촬영된 1,752장을 근거로 23개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설악산국립공원 4지역(내설악, 외설악, 장수대, 남설악)에서 카메라트랩 분석 결과 총 166개체를 서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2010~2014년 동안 설악산국립공원 총 4개 지역(내설악, 외설악, 남설악, 장수대)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389.
  • 설악산국립공원을 4개의 지역(내설악, 외설악, 남설악, 장수대)으로 구분하여 2010∼2014년 동안 261대의 무인센서카메라(Table 2)에 의해 촬영된 8,385장 중 4,699장의 산양 사진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 카메라트랩 분석은 2010~2014년 동안 261대를 이용하여 수행하였고(Table 2), 배터리 소모 시기인 45~60일 간격으로 점검하였다. 산양의 개체 구분은 뿔 형태, 링 무늬 형태, 링 형성 비율, 얼굴 색상 양상 등 총 4개의 기준으로 수행하였고(KNPS, 2010; Cho, 2013), Myslenkov and Voloshina(1989, 1998)의 개체 구분 분석 방법에 따라 장경으로 암·수를 구분하였고 단경으로 성체, 아성체, 새끼를 구분하고 보완하여 실시하였다.

데이터처리

  • , USA)을 사용하여 DEM(해상도 10m)을 제작 후 분석하였다. 개체수, 서식지 이용 특성 등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0.0을 이용한 t-test, one-way ANOVA 검정을 수행하였고, 이중 유의적 차이를 보인 항목에 대해서는 LSD 사후검정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양이란 무엇인가? 멸종위기종인 산양(Naemorhedus caudatus)은 포유강(Mammalia) 우제목(Artiodactyla) 소과(Bovidae) 산양속(Naemorhedus)에 속하는 동물로서, 현재 4종(N. baileyi, N.
산양의 외형은? 주요 분포는 산림(32%), 계곡(31%)으로 알려져 있다(Mishra and Johnsingh, 1996). 산양은 1~4개체가 한 그룹을 형성하고, 새끼는 1~2년에 1개체를 낳으며 몸길이 820∼1,300㎜, 꼬리길이 80∼200㎜, 체중 22∼35kg이며, 뿔은 암컷과 수컷에 모두 있다(Won, 1967; Yoon et al., 2004; Cho, 2013).
산양의 주요 분포는? griseus)으로 분류되고 있다(Wilson and Reeder, 2005). 주요 분포는 산림(32%), 계곡(31%)으로 알려져 있다(Mishra and Johnsingh, 1996). 산양은 1~4개체가 한 그룹을 형성하고, 새끼는 1~2년에 1개체를 낳으며 몸길이 820∼1,300㎜, 꼬리길이 80∼200㎜, 체중 22∼35kg이며, 뿔은 암컷과 수컷에 모두 있다(Won, 1967; Yo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en, W., Hu, J.C., and Lu, X (2009) Micro habitat Use and Seperation between the Serow (Capricornis sumatraensis) and the Chinese Goral (Naemorhedus griseus) in Winter, Mammalia. vol. 73, pp. 249-252. 

  2. Cho, C. U. (2013) Systematic Study on the 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 with Ecology and Conservation Plan. Ph. D. Dissertation, Chungbuk Nat'l Univ. pp. 72-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C.U., G.H. Gyun, J.J. Yang, S.J. Lim, A.N. Lee, H.B. Park, B.K. Lee (2014) Home Rang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Korea Gorals (Naemorhedus caudatus) With GPS Collar. Korean J. Environ. Ecol. 28(1): 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C.U., K.C. Kim, G.H. Gyun, K.Y. Kim, B.K Lee, J.I. Son (2015) Habitat use of reintroduced Long-tailed Gorals (Naemorhedus caudatus) in Woraksan (Mt.)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9(2): 185-192. 

  5. Choi, T. Y. and C. H. Park (2004) Korea goral potential habitat suitability model at Soraksan National Park using fuzzy set and multi-criteria evaluation.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4): 28-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i, T.Y. and C.H. Park (2005) Establishing a Korean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Heude) Reserve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ea: Based on Habitat Suitability Model, Habitat Capability Model, and the Concept of Minimum Viable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32 no.6, pp.23-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Duckworth, J. W., MacKinnon, J and Tsytsulina, K. (2008) Naemorhedus caudatus. In: IUCN 2013. IUCN. http://www.iucnredlist.org. Downloaded on 10 April 2014. 

  8. IUCN (2013)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Downloaded on 15 January 2015. 

  9. KNPS (2011) 2010 Monitoring report of Amur goral. korea national parks authority, pp 32-122. (in Korean) 

  10. KNPS (2012) 2012 Annual Monitoring report of Seraksan. Korea National Park Service, pp.229-240. (in Korean) 

  11. Mishra, C. and A. J. T. Johnsingh (1996) On habitat selection by the Goral, Nemorhaedus Goral Bedfordi (Bovidae, Artiodactyla). Journal of Zoology (London) 240: 573-580. 

  12. Myslenkov, A. I. and V.Voloshina (1989) Ecology and Behaviour of the Amur Goral. Nauka, Moscow, pp. 1-128. 

  13. Myslenkov, A. I. and V. Voloshina (1998) Sexual behaviour of Amur goral. Proc. 2nd World Conf. Mt. Ungulates, pp. 75-80. 

  14. Myslenkov, A. I (2012) The status of research and conservation of gorals in russia. the 1st international workshop for gorals and serows and poster presentation of korean network of mammalogists Session-1, pp, 43-80. 

  15. Myslenkov, A. I. and V. Voloshina (2012) Ecology and Behaviour of Amur Goral.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pp. 159-195. 

  16. Nasimovich, A. A. (1955) Role of Snow Cover Conditions in the Life of Ungulates within USSR Territory. Lzd. AN SSSR. Moscow, 371pp. 

  17. NIBR (2012) Red Date Book of Endangered Mammals in Korea. NIBR, 4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ark, H. B. (2011) The Habitat-using Characteristics of Long-tailed-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the Northern of Gyeongbuk Province an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Master's Thesis, Gyeongbuk Univ., pp. 19-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iao, R. (2008) The Study on Common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China and Northeast asia. Yanggu International Symposium. Session-2, pp. 65-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iao, R. (2013)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ize of goral genus in china. International symposium for biodiversity enhanc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ession-3, 4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anderson, J., S. Sunarto, A. Wilting, C. Driscoll, R. Lorica, J. Ross, A. Hearn, S. Mujkherjee, J.A. Khan, B. Habib and L.Grassman (2008) Prionailurus bengalensis. In: IUCN (2014)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4.2. www.iucnredlist.org. Downloaded on 10 April 2014. 

  22. Seo, C.W., T.Y. Choi, Y.S. choi and D.Y. Kim (2008) A Study on Wildlife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for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in Seorak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1 no.3, pp. 28-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Shaffer, M. L. (1981) Minimum population sizes for species conservation. BioSci. 31: 131-134. 

  24. Voloshina, I.V. and A.I. Myslenkov (1992)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goral reintroduction. In: The Amur Goral, pp. 123-131. 

  25. Wang, B.J., J. Zhang, and J.C. Hu (2008) Habitat Selection by Chinese Goral (Naemorhedus griseus) in Spring in Fengtongzhai Nature Reserve, Sichuan J. Zool. vol. 27, pp. 269-272. 

  26. Wilson, D.E. and D.M. Reeder (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nd ed. vol 1).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pp. 705-706. 

  27. Won, P.H. (1967)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Publication of Volume 7. Minister of Education, pp. 59-65. (in Korean) 

  28. Wu, H., C.J. Zhang, and J.C. Hu (2002) Habitat Selection by Long Tailed Goral in Spring and Winter, J. East China Norm. Univ. (Nat. Sci.), vol. 2, pp. 92-97. 

  29. Yang, B.K. (2002) Systematic, Ecology and Current Population Status of the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Korea. Ph. D. Dissertation, Chungbuk Nat'l Univ. pp. 29-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Yoon, M.H., S.H. Han, H.S. Oh, J.G. Kim (2004) Korean Mammals, Dongbang Media, Seoul, 272-274. (in Korean) 

  31. Zhang, Z.J., F.W. Wei, M. Li, B.W. Zhang, X.H. Liu and J.C. Hu (2004) Microhabitat Seperation during Winter among Sympatric Giant Pandas, Red Pandas, and Tufted Deer: The Effects of Diet, Body size, and Energy Metabolism, Can. J. Zool. vol. 82, pp. 1451-14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