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과 과피 추출물의 염증 관련 효소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pple Peel Extract on Inflammatory Enzym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4, 2015년, pp.534 - 538  

김일낭 (울산과학대학교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과 과육을 이용한 잼, 음료, 소스, 통조림 등을 가공하는 과정 중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사과 과피의 활용을 위해 7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사과 과피 추출물의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 활성과 항염 효과를 평가하였다. 사과 과피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8{\pm}0.5mgGAE/g$, 플라보노이드는 $3.3{\pm}0.3mgCE/g$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측정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0.1, 0.5 및 1.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18.9{\pm}1.6$, $46.3{\pm}2.3$$58.1{\pm}3.9%$로 나타났다(p<0.05). 사과 과피 추출물에 의한 염증 관련 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sPLA_2$ 활성은 0.5 및 1.0 mg/mL 농도에서 각각 $26.9{\pm}1.4$$53.5{\pm}2.3%$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OX-2 활성 억제 효과는 0.1, 0.5 및 1.0 mg/mL의 모든 농도에서 각각 $16.7{\pm}2.6$, $43.6{\pm}3.0$$64.8{\pm}5.4%$로 유의적이었으나 COX-1 활성은 1.0 mg/mL에서만 13.4% 유의적인 저해효과를 나타냈다(p<0.05). LOX 활성 저해 효과 또한 0.1, 0.5 및 1.0 mg/mL 농도에서 각각 $11.9{\pm}1.3$, $27.4{\pm}2.7$$44.4{\pm}4.5%$로 나타나 유의적인 항염 효과를 보였다(p<0.05). 본 연구결과는 사과 과피 추출물이 라디칼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다양한 염증 관련 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반응을 전반적으로 조절하고 완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어, 사과를 이용한 제품의 가공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기는 과피를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가지는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benefits of apple peel.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 70% ethanol extract of apple peel were examined. The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s of apple peel were $6.8{\pm}0.5mg$ gallic acid equ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과 과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라디칼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함과 더불어 전반적인 염증 관련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항염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사과 제품의 제조 및 가공 시 발생하는 부산물인사과 껍질을 건강기능성 소재로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riterpenoid는 어떤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합성을 억제하는가? 사과 과피의 항염 효과를 측정한 연구에서 사과 과피 추출물이 염증 관련 지표들인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6, prostaglandin E2, cyclooxygenase (COX)-2 및 nuclear factor (NF)-κB의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7), 또 다른 연구에서 사과과피는 COX-2와 lipoxygenase (LOX)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사과 과피에 함유되어 있는 파이토케미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triterpenoid는 염증과 관련한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P-10, sICAM,IL-23 및 GROα의 합성을 억제시켰다(9). 그리고 사과 과육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나 과피에 대부분 존재하는 quercetin은 COX 및 LOX의 생성을 억제하고(10,11), TNF-α를 저해하며(12), nitric oxide 생성 및 nitro oxide synthase (NOS) 발현을 감소시킨다고 보고 되었다(13).
사과 과피에 대부분 존재하는 quercetin은 어떤 기능이 있다고 보고되었는가? 사과 과피에 함유되어 있는 파이토케미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triterpenoid는 염증과 관련한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P-10, sICAM,IL-23 및 GROα의 합성을 억제시켰다(9). 그리고 사과 과육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나 과피에 대부분 존재하는 quercetin은 COX 및 LOX의 생성을 억제하고(10,11), TNF-α를 저해하며(12), nitric oxide 생성 및 nitro oxide synthase (NOS) 발현을 감소시킨다고 보고 되었다(13).
사과 과피의 항염 효과를 측정한 연구에서 사과 과피 추출물이 염증 관련 지표인 무엇의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 되었는가? 사과 과육을 이용한 잼, 음료, 소스, 통조림 등을 가공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사과 껍질의 양이 상당한 양에 이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3,6) 사과 과피를 이용한 연구는 대부분 항산화 활성에 관한 것들이며 이에 비해 항염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사과 과피의 항염 효과를 측정한 연구에서 사과 과피 추출물이 염증 관련 지표들인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6, prostaglandin E2, cyclooxygenase (COX)-2 및 nuclear factor (NF)-κB의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7), 또 다른 연구에서 사과과피는 COX-2와 lipoxygenase (LOX)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사과 과피에 함유되어 있는 파이토케미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triterpenoid는 염증과 관련한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P-10, sICAM,IL-23 및 GROα의 합성을 억제시켰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oyer J, Liu RH. Apple phytochemicals and their health benefits. Nutr. J. 3: 5-15 (2004) 

  2. Vinson JA, Su X, Zubic L, Bose P. Phenol antioxidant quantity and quality in foods: fruits. J. Agr. Food Chem. 49: 5315-5321 (2001) 

  3. Wolfe K, Wu X, Liu RH.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peels. J. Agr. Food Chem. 51: 609-614 (2003) 

  4. Henriquez C, Almonacid S, Chiffelle I, Valenzuela T, Araya M, Cabezas L, Simpson R, Speisky H.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total phenolic content and mineral composition of different fruit tissue of five apple cultivars grown in Chile. Chil. J. Agr. Res. 70: 523-536 (2010) 

  5. Kubola J, Siriamornpun S.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fruit fractions (peel, pulp, aril and seed) of thai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ood Chem. 127: 1138-1145 (2011) 

  6. Rupasinghe HPV. Using change for success: Fruit-based bio-product research at the Nova Scotia Agricultural College. Annual Report 2003 of the Nova Scotia Fruit Growers's Assn. Nova Scotia, Canada. pp. 66-69 (2003) 

  7. Denis MC, Furtos A, Dudonne S, Montoudis A, Garofalo C, Desjardins Y, Delvin E, Levy E. Apple peel polyphenols and their beneficial actions on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Plos One 8: e53725 (2013) 

  8. Jensen GS, Attridge VL, Benson KF, Beaman JL, Carter SG, Ager D. Consumption of dried apple peel powder increases joint function and range of motion. J. Med. Food 17: 1204-1213 (2014) 

  9. Mueller D, Triebel S, Rudakovski O, Richling E. Influence of triterpenoids present in apple peel on inflammatory gene expression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Food Chem. 139: 339-346 (2013) 

  10. Kim HP, Mani I, Iversen L, Ziboh VA. Effects of naturally-occurring flavonoids and biflavonoids on epidermal cyclooxygenase and lipoxygenase from guinea-pigs. Prostag. Leukotr. Ess. 58: 17-24 (1998) 

  11. Lee KM, Hwang MK, Lee DE, Lee KW, Lee HJ. Protective effect of quercetin against arsenite-induced COX-2 expression by targeting PI3K in rat liver epithelial cells. J. Agr. Food Chem. 58: 5815-5820 (2010) 

  12. Chuang CC, Martinez K, Xie G, Kennedy A, Bumrungpert A, Overman A, Jia W, Mclntosh MK. Quercetin is equally or more effective than resveratrol in attenuating tumor necrosis factor- ${\alpha}$ -mediated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primary human adipocytes. Am. J. Clin. Nutr. 92: 1511-1521 (2010) 

  13. Ortega MG, Saragusti AC, Cabrera JL, Chiabrando GA. Quercetin tetraacetyl derivative inhibits LPS-induced nitric oxide synthase (iNOS) expression in J774A.1 cells. Arch. Biochem. Biophys. 498: 105-110 (2010) 

  14. Funk CD. Prostaglandins and leukotrienes: Advances in eicosanoid biology. Science 294: 1871-1875 (2001) 

  15. Escarpa A, Gonzalez M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array detec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peel and pulp from different apple varieties. J. Chromatogr. A 823: 331-337 (1998) 

  16. Lee MY, Yoo MS, Whang YJ, Jin YJ, Hong MH, Pyo YH. Vitamin C,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everal fruit pe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40-544 (2012) 

  17. Chang MS, An SJ, Jeong MC, Kim DM, Kim GH. Effects of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browning of extracts from onion, apple and mandarin orange peel as natural antibrowning agents. Korean J. Food Nutr. 24: 406-413 (2011) 

  18. Choi CI, Yoo SY, Chung MS. Efficient flavonoid extraction from apple peel by subcritical water and estim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Nutr. 24: 458-463 (2011) 

  19. Verheij HM, Slotboom AJ, de Haas GH. Structure and function of phospholipase A2. Rev. Physiol. Biochem. Pharmacol. 91: 91-203 (1981) 

  20. Charlier C, Michaux C. Dual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COX-2) and 5-lipoxygenase (5-LOX) as a new strategy to provide safe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Eur. J. Med. Chem. 38: 645-659 (2003) 

  21. Piomelli D, Greengard P. Lipoxygenase metabolites of arachidonic acid in neuronal transmembrane signalling. Trends Pharmacol. Sci. 11: 367-373 (1990) 

  22. Henderson WR Jr. Role of leukotrienes in asthma. Ann. Allergy 72: 272-278 (1994) 

  23. Martel-Pelletier J, Lajeunesse D, Reboul P, Pelletier JP. Therapeutic role of dual inhibitors of 5-LOX and COX, selective and nonselectiv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n. Rheum. Dis. 62: 501-509 (2007) 

  24. Knekt P, Kumpulainen J, Jarvinen R, Rissanen H, Heliovaara M, Reunanen A, Hakulinen T, Aromaa A. Flavonoid intake and risk of chronic diseases. Am. J. Clin. Nutr. 76: 560-568 (2002) 

  25. Shaheen SO, Sterne JAC, Thompson RL, Songhurst CE, Margetts BM, Burney PGJ. Dietary antioxidants and asthma in adults: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Am. J. Resp. Crit. Care 164: 1823-1828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