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섭식·연하장애 고령자를 위한 국내외 식품가이드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od guides for eating disorders and dysphagia elderly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48 no.3, 2015년, pp.2 - 12  

이성국 (경북대학교) ,  김정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일반적으로 연하과정단계는 학자에 따라 다르게 분류하고 있으나, 모든 연령의 대상자의 연구에는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가 공통적으로 연하 단계에 포함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삼킴 과정을 구강 준비단계(oral preparatory phase), 구강단계(oral phase), 인두단계(pharyngeal phase), 식도단계(esophageal phase)의 4단계로 구분하여 소개한다(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하장애란 무엇인가? 연하장애(Dysphagia)란 음식물이 입에서 위장까지 이동하는 과정에 어려움이나 불편감을 느끼거나 식사 중 혹은 식사 후에 사래 걸림, 헛기침을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1).
본고에서 삼킴 과정을 어떻게 구분하는가? 일반적으로 연하과정단계는 학자에 따라 다르게 분류하고 있으나, 모든 연령의 대상자의 연구에는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가 공통적으로 연하 단계에 포함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삼킴 과정을 구강 준비단계(oral preparatory phase), 구강단계(oral phase), 인두단계(pharyngeal phase), 식도단계(esophageal phase)의 4단계로 구분하여 소개한다(24).
연하곤란의 치료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 연하곤란의 치료법으로 다양한 기법과 운동법이 시행되고 있다. 그 중 직접적 훈련법은 음식물을 사용하여 훈련하는 것으로, 식이의 조절, 다양한 체위변경법 등이 있으며, 간접적 훈련법은 음식물은 사용하지 않고 각종 행동적 연하기법과 자극법 등을 시행하는 것이다(3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Roy N, Stemple J, Merrill R, & Thomas L, Dysphagia in the elderly: Preliminary evidence of prvalence, risk factors, and socioemotional effects, Annals of Otology, Rhinoligy & Laryngology, 116(11): 858-865, (2007) 

  2. 김진호.한태륜, 재활의학. 서울:군자출판사, (2003) 

  3. Oh BM & Lee KJ, "Rehabilitation of Dysphagia (2nd ed)", Seoul: Pacific Publishing, (2007) 

  4. 홍원선, 한국 노인에서 주요 문제가 되는 소화기 질환. 대한소화기학회지, 42(4): 257-266, (2003) 

  5.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 통계자료실. http://www.longtermcare.co.kr, (2010) 

  6. Kawashima K, Motohashi Y, & Fujishima I, Prevalence of dysphagia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as estimated using a questionnaire for dysphagia screening, Dysphagia, 19: 266-271, (2004) 

  7. Lin LC, Wu SC, Chen HS, Wang TG, & Chen MY, Prevalence of impaired swallowing in institutionalized older people in taiwa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0(6): 1118-1123, (2002) 

  8. Ney D, Weiss J, Kind A, & Robbins J, Senescent swallowing: Impact,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Nutritional Clinical Practice, 24(3): 395-413, (2009) 

  9. Daniels SK, Ballo LA, Mahoney MC, & Foundas AL, Clinical predictors of dysphagia and aspiration risk: Outcome measures in acute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81(8): 1030-1033, (2002) 

  10. Braddom RL, Cook I, Welman M, Wallace K, & Shaw D,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Philadelphia:Saunders, 547-548, (1996) 

  11. Logemann JA, Evaluation and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 2nd ed, Texas:pro-ed, 58-61, (1998) 

  12. Chen PH, Golub JS, Hapner ER, & Johns III MM, Prevalence of perceived dysphagia and quality-of-life impairment in a geriatric population, Dysphagia, 24: 1-6, (2009) 

  13. Holland G, Jayasekeran N, Pendleton M, Horan M, Jonens M, & Hamdy S, Prevalence and symptom profiling of oropharygeal dysphagia ina community dwelling of an elderly population: a self-reporting quwstionnaire survey, Disease of the Esophagus, 24: 476-480, (2011) 

  14. Miura H, Kariyasu M, Yamasaki K, & Aria Y, Evaluation of chewing and swallowing disorders among frail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34: 422-427, (2007) 

  15. 보건복지부,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기초분석보고서(발간등록번호 11-1351000-000316-12), (2009) 

  16. 김민수, 복지회관 이용 노인의 연하장애 위험성과 연하 관련 삶의 질.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1-55, (2013) 

  17. Loeb m, McGeer A, McArthur M, Walter S, & Simor AE, Risk factors for pneumonia and other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elderly resident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59(17): 2058-2064, (1999) 

  18. Marik P, & Kaplan D, Aspiration pneumonia and dysphagia in the elderly, Chest, 124(1): 328-336, (2003) 

  19. McCormick SE, Stafford KM, Saqib G, Chroinin DN, & Power D, The efficacy of pre-thickened fluids on total fluid and nutrient consumption among extended care residents requiring thickened fluids due to risk of aspiration, age and ageing, 37(6): 714-715, (2008) 

  20. Miller N, Allcock L, Hildreth AJ, Jones D, Noble E, & Burn DJ, Swallowing problems in Parkinson disease: frequency and clinical correlate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80(9): 1047-1049, (2009) 

  21. Murray C, Improving nutrition for older people. Nursing Older People, 18(6): 18-22, (2006) 

  22. Robbins J, Gensler G, Hind J, Logemann JA, Lindblad AS, Brandt D, Miller Gardner PJ, Comparison of e interventions for liquid aspiration on pneumonia incidence: a randomized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48(7): 509-518, (2008) 

  23. Ibayashi H, Fujino Y, Pham T, & Matsuda S, Intervention study of exercise program for oral function in healthy elderly people, Tohoku Journal of Experts in Medicine, 215(3): 237-245, (2008) 

  24. Dodds WJ, Syewart ET, & Logemann JA, Physiology and radiology of the normal oral and pharyngeal phases of swallowing,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154: 953-963, (1990) 

  25. 소희영.김봉옥, 재활간호. 서울; 현문사, 148-160, (1995) 

  26. 전중선.전세일.김동아.배하석, 뇌졸중 환자에서 연하곤란의 임상적 고찰. 대한재활의학회지, 20(2): 305-311, (1996) 

  27. Takai I, Murakami M, Oonisi T, Nakayama M, Tanaka M, Otsi K, & Yamaguchi 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ysphagia among frail elderly, Japan Society of Physical Anthropology, 11(13): 35-40, (2006) 

  28. Kendall KA, Leonard RJ, & McKenzie S, Common medical condition in the elderly: Impact on pharyngeal bolus transit, Dysphagia, 19(2): 71-77, (2004) 

  29. Yokoi T, Kato M, Hayashi M, Nagai M, Mizuike C, & Nakagoshi R, Relationship between basic activities and dysphagia in frail elderly person, Ri gakuryoho Kagaku, 20(2): 165-170, (2005) 

  30. Beom JW & Han TR, Treatment of dysphagia in patients with brain disorders, J Korean Med Assoc, 56(1): 7-15, (2013) 

  31. Elmstahl S, Bulow M, Ekberg O, Petersson M, & Tegner H, Treatment of dysphagia improves nutritional conditions in stroke patients, Dysphagia, 14(2): 61-66, (1999) 

  32. Aptaker RL, Royh EJ, Reichhardt G, Duerden ME, Serum albumin level as a predictor of geriatric stroke rehabilitation outcome, Arch Phys Med Rehabil 75: 80-84, (1994) 

  33. Gayle Minard. Early enternal feeding - is it safe for ever patient?. Nutr Clin Pract, 13: 79-80, (1998) 

  34. Bisch EM, Logemann JA, Rademacker AW, Kahrilas PJ & Lazarus CL. Pharyngeal effects of bolus volume, viscosity and temperature in patients with dysphagia resulting from neurologic impairment and in normal subjec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7: 1041-49, (1994) 

  35. 北海道保健福祉部, 介護者のための.食.嚥下障害??マニュアル, (2007) 

  36. 日本介護食品協議?, 食品のご案內. http://www.udf.jp/about/table.html,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