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ion (Allium cepa) is one of the flavonoids-rich materials in human diet and onion peel, which is the onion by-products, contains over 20 times more quercetin than the flesh.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onion peel hot water extract (OPHWE), the cell viability, nitr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mitochondria로부터 cytochrome C, apoptosis inducing factor를 방출시켜 세포 자연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PHWE의 항염증 효과를 검토하고자, RAW 264.7 cell에 염증 유발물질인 LPS와 함께 OPHWE를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여 NO의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파 부산물의 유효 활용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써, 양파껍질 열수추출 (OPHWE)의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고 그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활성화된 대식세포주 RAW 264.7 cell을 이용한 in vitro type 실험 및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type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 Croton oil에 의한 귀부종 실험은 급성염증에 대한 시료의 항염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대표적인 실험 모델이며, 본 연구에서 positive control으로 사용된 prednisolone은 croton oil 유도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corticosteroid 합성 항염증제이다 [33]. 본 연구에서는 OPHWE의 항염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OPHWE를 10, 50, 2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경구투여한 후 croton oil을 적용하여 급성부종을 일으켜, 국소적 염증세포의 침윤과 피부조직의 부종에 대한 OPHWE의 억제 효과를 prednisolone과 비교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Fig.
  • 본 연구에서는 양파 껍질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및 in vivo type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양파 껍질 열수추출물 (OPHWE)이 세포독성을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MTT assay를 진행한 결과, 모든 첨가 농도에서 대식세포 증식능이 control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파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flavonoid계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양파 (Allium cepa)는 백합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으로, 전 세계적으로 식품의 향신 조미료 외에 약재로도 널리 애용되어, 예로부터 해열, 구충, 해독 및 종양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13]. 양파의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성분인 flavonoid계 성분에는 quercetin, quercitrin, rutin 등이 있는데, 특히 국내에서 재배되는 yellow onion은 quercetin의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 양파의 quercetin은 유방암 억제, LDL 산화 억제 등의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quercetin은 양파의 중심부 보다는 껍질 부분으로 갈수록 함량이 높아져, 양파 과육 및 양파즙에는 0.
생체 유지를 위한 염증 반응의 조절이 최근 더 많은 주목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cytokine 및 NO가 병리적으로 과도하게 생성될 시 유전자 변이나 조직 및 신경 손상을 유발하여 숙주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0]. 최근 환경오염이나 스트레스의 증가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염증 매개인자가 과도하게 발생됨으로써 급성 패혈성 쇼크를 비롯한 만성 염증 및 면역과민반응으로 발전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암,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여러 질병의 발병률이 증가 추세에 있다 [1,11]. 따라서 염증 반응의 조절은 생체 유지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염증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NO, cytokine과 같은 매개물질의 생성 억제효과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12].
양파는 무엇인가? 양파 (Allium cepa)는 백합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으로, 전 세계적으로 식품의 향신 조미료 외에 약재로도 널리 애용되어, 예로부터 해열, 구충, 해독 및 종양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13]. 양파의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성분인 flavonoid계 성분에는 quercetin, quercitrin, rutin 등이 있는데, 특히 국내에서 재배되는 yellow onion은 quercetin의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Ferero-Miliani, L., O. H. Nielsen, P. S. Andersen, and S. E. Girardin (2007) Chronic inflammation: importance of NOD2 and NALP3 in interleukin-1beta generation. Clin. Exp. Immunol. 147: 227-235. 

  2. Medzhitov, R (2008) Origin and physiological roles of inflammation. Nature 454: 428-435. 

  3. Davies, P., P. J. Bailey, M. M. Goldenberg, and A. W. Ford-Hutchinson (1984) The role of arachidonic acid oxygenation products in pain and inflammation. Annu, Rev. Immunol. 2: 335-357. 

  4. Pestka, J. and H. R. Zhou. (2006) Toll-like receptor priming sensitizes macrophages to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 induction by deoxynivalenol and other toxicants. Toxicol. Sci. 92: 445-455. 

  5. Baldwin, A. S. Jr. (1996) The NF-kappa B and I kappa B proteins: new discoveries and insights. Annu. Rev. Immunol. 14: 649-683. 

  6. Giuliani, C., G. Napolitano, I. Bucci, V. Montani, and F. Monaco (2001) NF- ${\kappa}B$ transcription factor: role in the pathogenesis of inflammatory, autoimmune, and neoplastic diseases and therapy implications. Clin. Ter. 152: 249-253. 

  7. Ding, X., Y, Hiraku, N. Ma, T. Kato, K. Saito, M. Nagahama, R. Semba, K. Kuribayashi, and S. Kawanishi (2005)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dependent DNA damage in mouse model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ancer Sci. 96: 157-163. 

  8. Majdalawieh, A and H. S. Ro (2010) Regulation of IκBα function and NF- ${\kappa}B$ signaling: AEBP1 is a novel proinflammatory mediator in macrophages. Mediators Inflamm. 2010: 1-27. 

  9. Tak, P. P and G. S. Firestein (2001) NF- ${\kappa}B$ : A key role in inflammatory diseases. J. Clin. Invest. 107: 7-11. 

  10. Hippeli, S and E. F. Elastner (1999) Inhibition of biochemical model reactions for inflammatory processes by plant extracts; a review on recent developments. Free Radic. Res. 31: 81-87. 

  11. Iwalewa, E. O., L. J. McGaw, V. Naidoo, and J. N. Eloff (2007) Inflammation: the foundation of diseases and disorders. A review of phytomedicines of south African origin used to treat pain and inflammatory conditions. Afr. J. Biotechnol. 6: 2868-2885. 

  12. Yoon, Y. I., M. Y. Chung, J. S. Hwang, T. W. Goo, M. Y. Ahn, Y. B. Lee, M. S. Han, and E. Y. Yun (2014) Anti-inflammatory effect of Oxya chinensis sinuosa ethanol extract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J. Life Sci. 24: 370-376. 

  13. Sheo, H. J. and D. L. Jung (1993) Effects of onion juice on toxicity of lead in rat. J. Korean Soc. Food Nutr. 22: 138-143. 

  14. Lakhanpal,, P. and D. K. Rai (2007) Quercetin: a versatile flavonoid. I. J. M. U. 2: 22-37. 

  15. Bang, H. A. and J. S. Cho (1998) Antioxidant effects on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onion peel and onion flesh. J. Korean Diet. Assoc. 4: 14-19. 

  16. Jeon, S. Y., J. H. Baek, Jeong, E. J. and Y. J. Cha (2012) Potential of onion peel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functional foods. J. Life Sci. 22: 1207-1213. 

  17. Son, J. Y., H. S. Son, and W. D. Cho (1998) Antioxidant effect of onion skin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14: 16-20. 

  18. Ra, K. S., S. H. Chung, H. J. Suh, J. Y. Son, and H. K. Lee (1998) Inhibitor of xanthine oxidase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97-701. 

  19. Lee, H. J., K. H. Lee, Y. J. Cha, E. Park, and M. J. Shin (2010) Effects of onion peel extracts on blood circulation in male smok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90-1799. 

  20. Eloff, J. N. (1998) Which extractant should be used for the screening and isolation of antimicrobial components from plants? J. Ethnopharmacol. 60: 1-8. 

  21. Park, Y. M., J. H. Won, K. J. Yun, J. H. Ryu, Y. N. Han, S. K. Choi, and K. T. Lee (2006) Preventive effect of Ginkgo biloba extract (GBB) on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via suppression nuclear factor- ${\kappa}B$ in RAW 264.7 cells. Biol. Pharm. Bull. 29: 985-990. 

  22. Lee, S. T., Y. R. Jeong, M. H. Ha, S. H. Kim, and M. W. Byun (2000) Induction of nitric oxide and TNF- $\alpha$ by herbal plant extract in mouse macroph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42-348. 

  2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ttp://www.mfds.go.kr/index. do?x15&searchkeytitle:contents&mid1161&searchwordμ¹º½ &y1&pageNo1&seq6218&cmdv (2012). 

  24. Yoon, S. B., H. S. Han, and Y. J. Lee (2011) Effect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 on the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RAW 264.7 cells induced by LPS. Korean J. Herbol. 26: 75-81. 

  25. Lee, Y. H. and E. M. Lim (2013) Anti-inflammatory effect of Ligustri lucidi fructus water extract in RAW 264.7 cells by LPS. J. Korean Obstet. Gynecol. 26: 66-81. 

  26. Ippouchi, K., H. Itou, K. Azuma, and H. Higashio (2002) Effect of naturally occurring organosulfur compound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macrophages. Life Sci. 71: 411-419. 

  27. Park, C. M., J. Y. Park, K. H. Noh, J. H. Shin, and Y. S. Song (2011) Taraxacum officinale Weber extracts inhibit LPS-induced oxidative stres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via the NF- ${\kappa}B$ modulation in RAW 264.7 cells. J. Ethnopharmacol. 133: 834-842. 

  28. Lee, A. K., S. H. Sung, Y. C. Kim, and S. G. Kim (2003) Inhibition of lipopolysaccharide-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TNF- $\alpha$ and COX-2 expression by sauchinone effects on I-κBα phosphorylation, C/EBP and AP-1 activation. Br. J. Pharmacol. 139: 11-20. 

  29. Perez-Vizcaino, F. and J. Duarte (2010) Flavonols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l. Aspects Med. 31:478-494. 

  30. Lee, H. A., S. J. Han, S. H. Hong, and O. J. Kim (2014) Effects of onion peel water extract on the blood lipid profiles in mice fed a high-fat diet. Korean J. Med. Crop. Sci. 22: 203-209. 

  31. Cho, S. Y., S. J. Park, M. J. Kwon, T. S. Jeong, S. H. Bok, W. Y. Choi, W. I. Jeong, S. Y. Ryu, S. H. Do, C. S. Lee, J. C. Song, and K. S. Jeong (2003) Quercetin suppresses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through MAP kinases and NF- ${\kappa}B$ pathway in lipopolysaccharide- stimulated macrophage. Mol. Cell Biochem. 243: 153-160. 

  32. Anandakumar, S., J. A. Joseph, B. Bethapudi, A. Agarwal, and E. B. Jeong (2014)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extract on acute and chronic inflammation mod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612-617. 

  33. Towbin, H., W. Pignat, and I. Wiesenberg (1995) Time-dependent cytokine production in the croton oil-induced mouse ear oedema and inhibition by prednisolone. Inflamm. Res. 44: 160-161. 

  34. Kim, J. H., Y. J. Park, N. S. Jo, D. K. Kim, S. H. Kim, and T. Y. Shin (2014) Acute oral toxicity of the bark of Diospyros kaki in mice. Korean J. Pharmacogn. 45: 181-185. 

  35. Organiza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1) OECD guideline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revised graft guideline 4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