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지역의 고도에 따른 증발산량 및 용수량 특성 평가
Altitudinal Pattern of Evapotranspiration and Water Need for Upland Crops in Jeju Islan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11, 2015년, pp.915 - 923  

김철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역 물수지 방법을 기반으로 제주도 지역에 적합한 용수량 산정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4개 하천유역에 대해 지역 및 고도에 따른 증발산량, 용수량 특성을 평가하였다. SWAT-K 유역모형을 적용하여 1992~2013년 기간에 대해 잠재증발산량과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고, 이로부터 유역의 순물소모량을 추정하였다. 고도증가에 따라 잠재증발산량은 선형으로 감소하는 반면, 실제증발산량은 강수량에 의한 토양내 가용수분의 증가로 인해 약 400m 고도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 고도에서는 식생, 가용수분의 감소, 저온현상 등으로 인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에 따른 순물소모량은 강정천유역을 제외한 3개 유역에서 고도증가에 따라 순물소모량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도 200m 이하 작물경작지에서의 순물소모량은 연간 559~680m로 분석되었다. 추정된 용수량을 실제 관정 이용량과 비교한 결과, 여름철(6~8월) 양수량은 급수관행으로 인해 크게 증가하는데 비해, 작물경작에 따른 순물소모량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서는 향후 더 많은 관정 이용량과 추가적인 대상지역을 반영하여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ethod of estimating irrigation water need based on water balance and net water consumption concept is proposed, and applied to four watersheds in order to assess the regional and altitudinal characteristics of evapotranspiration and water need for upland crops in Jeju Island. Potential and actu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관리 및 계획의 입장에서 연간 물 사용량이 가장 많은 작물을 가정하여 용수량을 산정하였기 때문에, 이 조건과 유사한 시설재배(하우스감귤) 급수를 위한 관정을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역 물수지 방법을 기반으로 제주도 지역에 적합한 순물소모량 개념의 농업용수 수요량 추정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수요량 추정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수문요소인 증발산량의 지역적 특성을 함께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에 적합한 용수량 산정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 및 고도에 따른 증발산량, 용수량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순물소모량을 산정하는 Eq. (5)에서 자연상태의 실제증발산량은 초원을 가정하기도 하는데(MOC, 1977), 본 연구에서는 잔디를 가정하여 적용하였다. 소비수량 및 순물소모량 산정을 위한 대표작물로서는 2010년을 기준(JSSGP, 2013b)으로 제주도 내 약 36%의 재배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감귤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용수량은 실제 경작지에서의 물 사용량을 산정한 것이 아니라, 수자원 관리 및 계획의 관점에서 연간 물소모량이 가장 많은 작물을 가정하여 산정한 것이다. 또한, 기존 필요수량 개념의 수요량처럼 관개시설의 용량이나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최대치 개념도 아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지역에 위치한 4개 기상대의 연평균 강수량은? 제주도는 중심에 위치한 한라산(해발고도 1,950 m)의 영향으로 지역별·고도별 다양한 식생형태 및 기후특성을 가지고 있다. 해안지역에 위치한 4개 기상대(제주, 서귀포, 성산, 고산)의 연평균 강수량은 1,143 mm(고산)∼1,967mm(성산)의 범위를 보이며, 연평균 강수량을 기준으로 동부지역이 서부지역보다 1.7배 많고, 고도에 따라서도 표고 100 m 당 69∼235 mm씩 크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JSSGP, 2013b).
농업용수 수요량 추정에 사용되는 방법은? 농업용수 수요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사용수량을 직접 계측하는 방법, 대표작물의 단위수량으로 추정하는 방법, 증발산 이론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농업지역에서의 계측자료가 충분하지 못하고, 자연조건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농업용수의 특성상 증발산 이론에 의한 수요량 추정기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필요수량 개념의 접근법이 과거로부터 많이 활용되어 왔다(KOWACO and KRC, 2009).
제주도가 지역별·고도별 다양한 식생형태 및 기후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무엇의 영향 때문인가? 제주도는 중심에 위치한 한라산(해발고도 1,950 m)의 영향으로 지역별·고도별 다양한 식생형태 및 기후특성을 가지고 있다. 해안지역에 위치한 4개 기상대(제주, 서귀포, 성산, 고산)의 연평균 강수량은 1,143 mm(고산)∼1,967mm(성산)의 범위를 보이며, 연평균 강수량을 기준으로 동부지역이 서부지역보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len, R.G., Pere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aly. 

  2. Arnold, J.G., Allen, P.M., and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142, pp. 47-69. 

  3. Choi, G. (2011). "Variability of temperature lapse rate with height and aspect over Halla mountai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Vol. 6, No. 3, pp. 171-186. 

  4. Chung, I.M., Lee, J., Kim, J.T., Na, H., and Kim, N.W. (2011). "Development of threshold runoff simulation method for runoff analysis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20, No. 10, pp. 1347-1355. 

  5. Goulden, M.L., Anderson, R.G., Bales, R.C., Kelly, A.E., Meadows, M., and Winston, G.C. (2012). "Evapotranspiration along an elevation gradient in California's Sierra Nevad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7, G03028, doi:10.1029/2012JG002027. 

  6.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GP) (2011). The 51st Jeju statistical yearbook. 

  7.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GP) (2013a). Th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plan for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3-2022). 

  8.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GP) (2013b). The water management comprehensive plan for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3-2022). 

  9. Kim, N.W., Chung, I.M., and Na, H. (2013). "A method of simulating ephemeral stream runoff characteristics in Cheonmi-cheon watershed,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2, No. 5, pp. 523-531. 

  10. Kim, N.W., Um, M.J., Chung, I.M., and Heo, J.H. (2012). "Estimating the total precipitation amount with simulated precipitation for ungauged stations in Jeju Islan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9, pp. 875-885. 

  11.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2007). Development of analysing system for sustainable water hydrological components. Sustainable Water Resources Research Program of 21st Century Frontier R&D Program,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12.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2011). Jeju Water Circulation Interpretation and Water Resource Management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surface-groundwater hydrologic analysis technique in Jeju Island.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13.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WACO) (1990). The long-term comprehensive plan for water resources (1991-2000). 

  14.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WACO) (1993). Outlook for 21st century water resources. 

  15.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WACO), and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09). Report on estimation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and assessment of water supply. 

  16. Lee, B.Y., Yang, S.K., Kwon, K.H., and Kim, J.B. (2012). "The effect of evapotranspiration by altitude and observation of lysimeter."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21, No. 6, pp. 749-755. 

  17. Ministry of Construction (MOC) (1977). Technical report on the Nakdong-gang estuary. 

  18. 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 (MOCT),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WACO) (1996). Basic survey on the exploitable place and regional distribution plan of water resources. 

  19.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and Jeju Regional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JRMA) (2010).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VI: Climate change of Jeju. 

  20. Park, W.B., Ko, G.W., Kim, B.S., and Moon, D.C. (2007). "Calculation of pumping rate from agricultural wells and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abstraction." Proceedings of the 12th Academic Seminar for World Water Day, pp. 87-118. 

  21. Pidwirny, M. (2006). Actual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Fundamentals of Physical Geography, 2nd Edition, Date Viewed, http://www.physicalgeography.net/fundamentals/8j.html 

  22. Zhang, Y., Liu, C., Tang, Y., and Yang, Y. (2007). "Trends in pan evaporation and reference and actual evapotranspiration across the Tibetan Plateau."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2, D12110, doi:10.1029/2006JD0081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