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력발전소 가동 후 시화호 내 조간대의 면적 변화
The Intertidal Area in Lake Sihwa After Operation of the Tidal Power Plant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18 no.4, 2015년, pp.310 - 316  

김민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물연구본부) ,  구본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물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시화호 조력발전소 가동 후에 새롭게 형성된 시화호 조간대의 면적과 시기별 면적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조간대 면적 분석을 위해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하여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추출하여 14.4 cm의 root mean square (rms) 오차를 갖는 정밀한 수준의 자료를 생산하였다. 시화호 조간대의 면적은 1910년대에는 $165.1km^2$, 방조제 완공 전인 1991년에는 $115.2km^2$, 2010년의 배수갑문 운영시기에는 $5.6km^2$, 조력발전소 가동 후인 2013년에는 $20.3km^2$의 시기별 변화를 보였다. 시화호 조간대는 시화방조제가 완공된 후에 거의 소멸되었으나, 2012년에 조력발전소가 가동되면서 규칙적인 조석환경 형성과 해수 유동량 증가로 인해 그 넓이가 크게 증가되었다. 조력발전소의 가동으로 형성된 시화호 조간대는 유례를 찾기 힘든 조간대 복원의 좋은 예이며, '훼손된 생태계 복원'의 전형적인 사례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rtidal area in Lake Sihwa formed after operation of Sihwa-Lake tidal power plant and the change of the area in Lake Sihwa by period were analyzed. For computation of the intertidal area, remote sensing techniques were applied and high resolution Digital Elevation Model (DEM) was generated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소실되었던 조간대가 다시 형성된 국내의 첫 사례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드문 경우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형성된 시화호 조간대의 면적을 정밀하게 산출하는 것이며, 아울러 시화호 조성에 따른 시기별 조간대의 면적 변화를 산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화호 유역의 특성은? 과거 군자만으로 불리던 지금의 시화호 유역은 최고 9 m의 큰 조차와 지형적인 특성 때문에 넓은 조간대가 잘 발달되어 있었다. 사리포구, 마산포구, 대부도, 어도, 형도 등을 포함하는 군자만 내 해의 주변 조간대에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였으며, 경기만 내에서 수산자원이 가장 풍부한 지역이었다(Statistics Korea[2013]). 그러나 시화지구 대단위 간척종합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안산신도시 및 안산·시화공단 개발과 시화방조제 건설로 인해 군자만과 그 내부의 조간대는 소실되었다.
시화방조제 건설이 끼친 악영향은? 그러나 시화지구 대단위 간척종합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안산신도시 및 안산·시화공단 개발과 시화방조제 건설로 인해 군자만과 그 내부의 조간대는 소실되었다. 시화방조제 건설은 내부 조간대의 소실뿐만 아니라 극심한 수질악화를 유발하였고(KORDI[1999]; Park et al.[2003]), 이에 정부는 시화호의 담수화를 포기하고 배수갑문 운영을 통한 해수화를 공식적으로 발표하기에 이른다(Kahng et al.
시화호 조력발전소 가동 후, 시화호 해역에는 조간대가 새롭게 형성된 것에 대한 의의는? 시화호 조력발전소 가동 후, 시화호 해역에는 조간대가 새롭게 형성되었다. 이는 소실되었던 조간대가 다시 형성된 국내의 첫 사례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드문 경우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형성된 시화호 조간대의 면적을 정밀하게 산출하는 것이며, 아울러 시화호 조성에 따른 시기별 조간대의 면적 변화를 산출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C.H., Kajiwara, K., Tateishi, R., Yoo, H.R., 1992, "The Generation of a Digital Elevation Model in Tidal Flat Using Multitemporal Sateelite Data", Korean J. Remote Sens., Vol.8, No.2, 131-145. 

  2. Chen, L.C., Rau, J.Y., 1998, "Detection of shoreline changes for tideland areas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s", Int. J. Remote Sens, Vol.19, No.17, 3383-3397. 

  3. Choi, J.K., Oh, H.J., Koo, B.J., Ryu, J.H., Lee, S., 2011, "Crustacean habitat potential mapping in a intertidal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Ecol Model, Vol.222, 1522-1533. 

  4. Eertman, R.H.M., Kornman, B.A., Stikvoork, E., Verbeek, H., 2002, "Restoration of the Sieperda Tidal Marsh in the Scheldt Estuary, the Netherlands", Restoration Ecol., Vol.10, No.3, 438- 449. 

  5. Gray, A., Simentstad, C.A., Bottom, D.L., Cornwell, T.J., 2002, "Contrasting Functional Performance of Juvenile Salmon Habitat in Recovering Wetlands of the Salmon River Estuary, Oregon, U.S.A.", Restoration Ecol. Vol.10, No.3, 514-526. 

  6. Greidanus, H., Huising, E.J., Platschorre, Y., Van Bree, R.J.P., Halsema, D. Van, Vaessen, E.M.J., 1999, "Coastal DEMs with Cross-Track Interferometry", Proceedings of IGARSS 1999, Hamburg, Germany, CD-ROM version. 

  7. Jung, J.C., 2000, "The Effect Analysis of Water Quality Enhancement Using the Water Gate Control in Lake Sihwa", J. Korean Soc. Water Qual., Vol.16, No.1, 1-8. 

  8. Kang, D., 2001, "Energy Evaluation of the Kanghwa Intertidal", J. Korean Soc. Oceanography, Vol.36, No.2, 51-58. 

  9.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00, "Studies for Sustainable Use of Intertidal in Korea",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BSPM00072-00-1308-3, 1203 p. 

  10.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03, "Studies for Sustainable Use of Intertidal in Korea",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BSPM221-00-1610-3, 1130 p. 

  11. Na, Y.H., 2003, "study on surface change and optical reflectance of the Saemangeum intertidal by remote sensing",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pp. 118. 

  12. Neckles, H,A., Dionne, M., Burdick, D.M., Roman, C.T., Buchsbaum, R., Hutchins, E., 2002, "A Monitoring Protocol to Assess Tidal Restoration of Salt Marshes on Local and Regional Scales", Restoration Ecol. Vol.10, No.3, 556-563. 

  13. Kahng, S.H., Kim, E.H., Koo, B.J., 2005,"Sustainable Development of Reclaimed Area in Lake Shihwa by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J. Korean Wetlands Society. Vol.7, No.1, 93-106. 

  14. Koh, C.H., Ryu, J., Khim, J.S., 2010, "The Saemangeum: History and Controversy", J. Korean Soc. Mar. Environ. Eng., Vol.13, No.4, 327-334. 

  15. Koo, B.J., Kim, M., 2013, "Analysis on Topography and Exposure Duration of Siheung Intertidal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Ocean and Polar Res, Vol.35, No.4, 291-298. 

  16. KORDI, 1999, "Report on study of environmental changes and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countermeasure for Lakes Shihwa", KORDI, 363 p. 

  17.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13, "Annual report of project to improve the marine environments of the Shihwa Lak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IOST), 145-189. 

  18. Park, J.K., Kim, E.S., Cho, S.R., Kim, K.T., Park, Y.C., 2003 "Annual variation of water qualities in the Shihwa Lake", Ocean and Polar Res, Vol.25, No.4, 459-468. 

  19. Ryu, J.H., 2001, "Quantitative estimation of geomorphologic change and analysis of sediment characterization in Gomso Bay intertidal by remote sensing", Doctoral thesis,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pp. 127. 

  20. Ryu, J.H., Won, J.S., Min, K.D., 2002,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in a intertidal: A case study in Gomso Bay, Korea", Remote Sens. Environ., Vol.83, 443-457. 

  21. Statistics Korea, 2013, Statistical Data of Census of Fisheries, http://www.kosta.go.kr/. Accessed 13 Mar 2014. 

  22. Statistics Korea, 2013, Statistical data of intertidal change, http:/ /www.kosta.go.kr/. Accessed 1 Aug 2014. 

  23. Tong, C., Baustian, J.J., Graham, S.A., Mendelssohn, I.A., 2013 "Salt marsh restoration with sediment-slurry application: Effect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associated soil-plant variables", Ecol. Eng., Vol.51, 151-160. 

  24. U.S. Geological Survey, 2014, Image data of Landsat 5, 7, http:/ /glovis.usgs.gov/., Accessed 13 Mar 2014. 

  25. Wataru, N., Yoichi, N., Satoshi, N., Tetsuji, O., Tsuyoshi, I., Mitsumasa, O., 2014 "Macrobenthic succ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a man-made intertidal sandflat constructed in the diversion channel of the Ohta River Estuary", Mar. Pollut. Bull., Vol.82. No.1-2, 101-108. 

  26. Young, S.M., Ishiga, H., 2014 "Environmental change of the fluvial-estuary system in relation to Arase Dam removal of the Yatsushiro intertidal, SW Kyushu, Japan",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