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해 지질환경에서의 음파전달 특성 연구를 위한 KIOST-한양대 공동실험 개요
Overview of the KIOST-HYU Joint Experiment for Acoustic Propagation in Shallow Water Geological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4 no.6, 2015년, pp.411 - 422  

조성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연구센터) ,  강돈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연구센터) ,  이철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연구센터) ,  정섬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연구센터) ,  최지웅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해양음향연구실) ,  오선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천해 지질환경과 음파전달환경과 상호 연계 연구"를 목적으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한양대학교가 2013년 4 ~ 5월에 경기만 태안반도 서쪽에 위치한 천해환경에서 공동으로 수행한 지질환경 조사 및 수중음향 실험에 대한 개요를 기술하였다. 실험지역은 강한 조류와 천해의 지형학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퇴적상과 베드폼이 형성되는 해역이다. 집중적인 지질환경 특성 조사를 위해 다중음향측심기, 천부지층탐사기, 중천부지층탐사기, 그랩을 이용하여 조사해역의 지질환경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저주파수, 중주파수 대역의 음원과 수직선배열청음기를 이용하여 주파수 200 ~ 16,000 Hz 대역에서 1) 저주파수 음파전달, 2) 중주파수 해저면 반사손실, 3) 주변소음의 공간 코히런스 분석, 4) 중주파수 해저면 후방산란에 대한 연구 주제로 해상실험이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지역에서 음향실험을 실시한 동기, 음향실험 방법론과 측정된 지질자료를 기반으로 음향자료 해석과, 실험기간 동안 측정된 지질환경, 기상 해양물리 자료를 요약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 geological environment investigation and underwater acoustic measurements for the purpose of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logical Environment and Acoustic Propagation in Shallow Water", which are jointly carried out by KIOST (Korea Institute of O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천해 해양환경 조건에서 음향 특성해석의 제한 요소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해 중부 연안 해역에서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방위연구센터와 한양대학교 해양음향연구실이 2013년 4월 30일부터 5월 4일까지 천부·중천부 지층탐사와 표층퇴적물 채취 등 집중적인 지질환경특성 조사[6] 및 저주파수 대역의 음파전달 손실,[7]중주파수 대역의 잔향음, 해저면 반사손실,[8,9] 수중소음[10] 등에 대한 음향자료 획득을 목적으로 공동으로 음향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한양대학교가 2013년 4 ~ 5월 서해 경기만 지역에서 공동으로 수행한 “천해 지질 환경과 음파전달환경과의 상호연계 연구”의 일환으로 주파수 200 ~ 16,000 Hz 대역에서 저주파수 음파전달 손실, 수중소음 공간상관성, 중주파수 잔향음 및 해저면 반사손실에 대한 연구 주제로 실시한 능·수동 음향실험에 대한 개요를 기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해 경기만 지역은 어떤 지역인가? 황해 경기만 지역은 남서-북동방향의 강한 조석에 의해 다양한 해저면 형태가 발달되어 있는 지역이다. Fig.
퇴적상 분류는 어떤 방법을 사용했는가? 조사지역의 표층퇴적물은 총 15개 정점(G01 ~ G15)에서 그랩 채취기를 이용하여 채취되었으며, 입도분석, 전밀도(bulk density), 함수율 측정을 위해 최표층의 퇴적물은 현장에서 완전 밀봉된 후 실험실로 이동하여 분석되었다. 퇴적상 분류는 Folk(1974) 방법을 적용하였으며,[15] 평균입도, 분급도(sorting), 왜도(skewness), 및 첨도(kurtosis)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1). 관심해역의 표층퇴적물 퇴적상은 퇴적물 분류표에 따라서 모래자갈(sG), 자갈모래(gS), 자갈뻘(gM), 약자갈모래[(g)S], 모래(S) 그리고 뻘모래(mS)로 나타나고 있다.
지질 특성의 환경 변수의 단순화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천해에서 해저면 음파전달 특성 파악을 위해 사용되는 지질 특성은 다양성을 고려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퇴적물 특성, 형태 및 지층 구조를 단순화하여 적용하고 있다.[1] 이러한 환경 변수의 단순화는 천해에서의 음파 전달 특성 해석과 측정 데이터에 대한 이론적 검증을 제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 Katsnelson, V. Petnikov, and J. Lynch, Fundamentals of Shallow Water Acoustics (Springer, New York, 2012), pp. 51-70. 

  2. M. D. Richardson, K. B. Briggs, L. D. Bibee, P. A. Jumars, W. B. Sawyer, D. B. Albert, R. H. Bennett, T. K. Berger, M. J. Buckingham, N. P. Chotiros, P. H. Dahl, N. T. Dewitt, P. Fleischer, R. Flood, C. F. Greenlaw, D. V. Holliday, M. H. Hulbert, M. P. Hutnak, P. D. Jackson, J. S. Jaffe, H. P. Johnson, D. L. Lavoie, A. P. Lyons, C. S. Martens, D. E. McGehee, K. D. Moore, T. H. Orsi, J. N. Piper, R. I. Ray, A. H. Reed, R. F. L. Self, J. L. Schmidt, S. G. Schock, F. Simonet, R. D. Stoll, D. Tang, D. E. Thistle, E. I. Thorsos, D. J. Walter, and R. A. Wheatcroft, "Overview of SAX99: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EEE J. Oceanic Eng. 26, 26-53 (2001). 

  3. E. I. Thorsos, K. L. Williams, N. P. Chotiros, J. T. Christoff, K. W. Commander, C. F. Greenlaw, D. V. Holliday, D. R. Jackson, J. L. Lopes, D. E. McGehee, J. E. Piper, M. D. Richardson, and D. Tang, "An Overview of SAX99: Acoustic Measurements," IEEE J. Oceanic Eng. 26, 4-25 (2001). 

  4. P. H. Dahl, R. Zhang, J. H. Miller, L. R. Bartek, Z. Peng, S. R. Ramp, J.-X. Zhou, C.-S. Chiu, J. F. Lynch, J. A. Simmen, and R. C. Spindel, "Overview of Results from the Asian Seas International Acoustics Experiment in the East China Sea," IEEE J. Oceanic Eng. 29, 920-928 (2004). 

  5. D. Tang, J. N. Moum, J. F. Lynch, P. Abbot, R. Chapman, P. H. Dahl, T. F. Duda, G. Gawarkiewicz, S. Glenn, J. A. Goff, H. Graber, J. Kemp, A. Maffei, J. D. Nash, and A. Newhall, "Shallow Water '06 : A joint Acoustic Propagation/Nonlinear Internal Wave Physics Experiment," Oceanography 20, 156-167 (2007). 

  6. C.-K. Lee and S.-K. Jung,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logical Environment and Acoustic Propagation in Shallow Water" (in Korean), J. Acoust. Soc. Kr. Suppl. 2(s) 33, 357-359 (2014). 

  7. S. Cho, S. Oh, D. Kang, S.-K. Jung, and J. W. Choi, "Variability of Underwater Sound Propagation due to the Sand Waves" (in Korean), J. Acoust. Soc. Kr. Suppl. 2(s) 33, 367-368 (2014). 

  8. W. Son, S. Kim, J. W. Choi, S. Oh, and S.-K. Jung, "Measurements of Bottom Scattering in Shallow Water," (in Korean), J. Acoust. Soc. Kr. Suppl. 2(s) 33, 362-364 (2014). 

  9. Y. G. Yoon, C. Lee, J. W. Choi, S. Cho, and S.-K. Jung, "Mid-frequency Bottom Loss Measurements," (in Korean), J. Acoust. Soc. Kr. Suppl. 2(s) 33, 365-366 (2014). 

  10. H. Kwon, J. Kim, J. W. Choi, S. Cho, D. Kang, and S.-K. Jung, "Measurements of Spatial Coherence Analysis of Ambient Noise Measured at Yellow Sea," (in Korean), J. Acoust. Soc. Kr. Suppl. 2(s) 33, 360-361 (2014). 

  11. H. J. Lee and S. H. Yoon, "Development of stratigraphy and sediment distribution in the northeastern Yellow Sea during Holocene sea-level rise," J. Sediment Res. 67, 341-349 (1997). 

  12. Y. S. Chu, Sediment dynamics and maintenance processes of linear tidal sand body; Jangan sandbank in the central west coast of Korea,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 2000). 

  13. B.-C. Kum and D.-H. Shin, "Dune Migration on an Offshore Sand Ridge in the Southern Gyeonggi Bay, Korea," Ocean and Polar Res. 35, 51-61 (2013). 

  14.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GIS for Ocean Research, http://mgis.kiost.ac/, 2012. 

  15. R. L. Folk,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 Austin, 1974), pp 15-48. 

  16. W. J. Pierson and L. Moskowitz, "A Proposed Spectral Form for Fully Developed Wind Seas Based on the Similarity Theory of S. A. Kitaigorodskii," J. Geophys. Res. 69, 5181-5190 (1964). 

  17. Y. G. Yoon, C. Lee, J. W. Choi, S. Cho, S. Oh, and S.-K. Jung, " Measurements of Mid-frequency Bottom Loss in Coastal Water of the Yellow Sea," (in Korean), J. Acoust. Soc. Kr. 34, 423-431 (2015). 

  18. H. Kwon, J. Kim, J. W. Choi, D. Kang, S. Cho, S.-K. Jung, and K. Park, "Spatial Coherence Analysis of Ambient Noise Measured at the Yellow Sea," (in Korean), J. Acoust. Soc. Kr. 34, 432-443 (2015). 

  19. W. Son, S.-U. Son, J. W. Choi, S. Oh, and S.-K. Jung, " Measurements of Bottom Backscattering Strengths in Coastal Water of the Yellow Sea," (in Korean), J. Acoust. Soc. Kr. 34, 444-454 (2015). 

  20. General description of the BELLHOP ray tracing program, http://oalib.hlsresearch.com/Rays/, 2008. 

  21. D. R. Jackson and M. D. Richardson, High-Frequency Seafloor Acoustics, (Springer, New York, 2006), pp 323-3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