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 효소 가수분해물과 분자량 분획물의 섬유아세포에 대한 주름 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s of Enzymatic Oyster Hydrolysate and Its Fractions on Human Fibroblas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1, 2015년, pp.1645 - 1652  

김현아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박시향 ((주)선마린바이오테크) ,  이수선 ((주)선마린바이오테크) ,  최영준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생물 유래 피부건강 기능성의 소재를 발굴할 목적으로 굴 단백질을 Protamex와 Neutrase로 가수분해 한 후 생성된 굴 가수분해물 펩타이드의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굴 가수분해물은 약 7.9%의 유리아미노산을 포함하며 urea, taurine, alanine, glycine 등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굴 가수분해물은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었고, 피부세포인 CCD986sk에 대한 독성은 없었다. 분획물의 수율은 1,000 Da 미만이 40%였으며, 5,000 Da 미만이 60.4%를 차지하였다. 1,000~3,000 Da인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 procollagen의 생성능 및 MMP-1 효소 저해 활성이 가장 높았다. 굴 가수분해물과 5,000 Da 미만의 분획물은 주름 개선을 위한 피부건강 기능성 소재로서 화장품 등의 제품에 응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anti-wrinkle efficacy of hydrolysate from oyster protein by Protamex and Neutrase for the purpose of finding materials to assist skin health originating from marine organisms. There were about 7.9% free amino acids in the oyster hydrolysate, and contents of urea, taurine, alan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해양생물 유래 피부건강 기능성의 소재를 발굴할 목적으로 굴 단백질의 효소 가수분해물이 주름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굴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효과를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및 2,2'- 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으며,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1)The IC50 calculated as the average value of experiments at least three tim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 생물 유래 화합물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해양생물은 다양한 생물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에 따라, 동종도 부위에 따라, 혹은 생산 시기에 따라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의 종류도 다르게 나타난다(1). 이러한 해양 생물 유래 화합물에는 해조 다당류, 미네랄, 비타민, 항산화제, 효소 및 생리활성 펩티드 등이 있으며, 그 기능적 특성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2,3). 특히 펩타이드는 영양을 공급하고, 용해 및 유화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암 효능 및 면역 증강 등의 광범위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있다(2-4).
굴은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굴은 바다에서 사는 굴과의 연체동물로 예부터 전 세계 여러 사람들이 즐겨 먹고 있는 맛이 좋고 영양가가 높은 수산식품이다(13). 굴은 고형물 함량 중 60~70%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타민 A, B1, B2, C 및 철, 칼슘, 인, 아연, 셀레늄, 구리 등의 무기질 등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14). 굴에 다량 함유된 단백질을 효소로 가수분해 하여 얻은 굴 가수분해물은 유리아미노산이 풍부하고 저분자의 펩타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15).
본 연구에서 굴 단백질의 효소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효과를 어떤 방법으로 확인하였는가? 본 연구는 해양생물 유래 피부건강 기능성의 소재를 발굴할 목적으로 굴 단백질의 효소 가수분해물이 주름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굴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효과를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및 2,2'- 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으며,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굴 가수분해물을 분자량 크기별로 분획하여 분자량의 크기에 따른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procollagen 생성능과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여 주름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neiros A, Garateix A. 2004. Bioactive peptides from marine sources: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isolation procedures. J Chromatogr B 803: 41-53. 

  2. Kim SK, Jeon YJ, Byun HG, Park PJ, Kim GH, Choi YR, Lee YS. 1999. Calcium absorption acceleration effect on phosphorylated and nonphosphorylated peptides from hoki (Johnius belengeri) frame. J Korean Fish Soc 32: 713-717. 

  3. Pomponi SA. 1999. The bioprocess-technological potential of the sea. J Biotechnol 70: 5-13. 

  4. Kim SK, Mendisa E. 2006. Bioactive compounds from marine processing byproducts-a review. Food Res Int 39: 383-393. 

  5. Kim SK, Ravichandran YD, Khan SB, Kim YT. 2008. Prospective of the cosmeceuticals derived from marine organisms. Biotechnol Bioprocess Eng 13: 511-523. 

  6. Lahl WJ, Braun SD. 1994. Enzymatic production of protein by hydrolysates for food use. Food Technol 48: 68-71. 

  7. Pihlanto-Leppala A. 2000. Bioactive peptides derived from bovine proteins: opioid and ACE-inhibitory peptides. Trends Food Sci Technol 11: 347-356. 

  8. Gibbs BF, Zougman A, Masse R, Mulligan C. 2004.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peptides from soy hydrolysate and soy-fermented food. Food Res Int 37: 123-131. 

  9. Suarez-Jimenez GM, Burgos-Hernandez A, Ezquerra-Brauer JM. 2012. Bioactive peptides and depsipeptides with anticancer potential: sources from marine animals. Mar Drugs 10: 963-986. 

  10. Hamann MT, Otto CS, Scheuer PJ. 1996. Kahalalides: Bioactive peptides from a marine mollusk Elysia rufescens and its algal diet Bryopsis sp. (1). J Org Chem 61: 6594-6600. 

  11. Wilhelm KP, Cua AB, Maibach HI. 1991. Skin aging; Effect on transepidermal water loss, stratum corneum hydration, skin surface pH, and casual sebum content. Arch Dermatol 127: 1806-1809. 

  12. Rawlings AV, Harding CR. 2004. Moisturization and skin barrier function. Dermatol Ther 17(suppl 1): 43-48. 

  13. You TJ. 1993. Source book of food. Seo-Woo, Seoul, Korea. p 60. 

  14. Choi JD, Hwang SM, Kang JY, Kim SH, Kim JG, Oh KS. 2012. Food components characteristic of oysters produced in Korea. J Agri & Life Sci 46: 105-115. 

  15. Jung IK, Kim HS, Kang KT, Choi YJ, Choi JD, Kim JS, Heu MS. 2006. Prepara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enzymatic oyster hydrolysa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19-925. 

  16. Forster M, Bolzinger MA, Fessi H, Briancon S. 2009. Topical delivery of cosmetics and drugs. Molecular aspects of percutaneous absorption and delivery. Eur J Dermatol 19: 309-323. 

  17. Robinson LR, Fitzgerald NC, Doughty DG, Dawes NC, Berge CA, Bissett DL. 2005. Topical palmitoyl pentapeptide provides improvement in photoaged human facial skin. Int J Cosmet Sci 27: 155-160. 

  18. Hur SI, Park SH, Lee SS, Choung SY, Choi YJ. 2013. Antioxidative effect of oyster hydrolysate on the serum and hepatic homogenate in SD-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940-1948. 

  19.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0. Lowry OH, Rosebrough NJ, Farr Lewis A,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56-275. 

  21. Gorouhi F, Maibach HI. 2009. Review article: Role of topical peptides in preventing or treating aged skin. Int J Cosmet Sci 31: 327-345. 

  22. Marty JP. 2002. NMF and cosmetology of cutaneous hydration. Ann Dermatol Venereol 129: 131-136. 

  23. Spier HW, Pascher G. 1956. Analytical and functional physiology of the skin surface. Hautarzt 7: 55-60. 

  24. Bornstein P, Piez KA. 1964. A biochemical study of human skin collagen and the relation between intra- and intermolecular cross-linking. J Clin Invest 43: 1813-1823. 

  25. Mendis E, Rajapakse N, Kim SK. 2005. Antioxidant properties of a radical-scavenging peptide purified from enzymatically prepared fish skin gelatin hydrolysate. J Agric Food Chem 53: 581-587. 

  26. Ma Y, Xiong YL, Zhai J, Zhu H, Dziubla T. 2010. Fractionation and evaluation of radical-scavenging peptides from in vitro digests of buckwheat protein. Food Chem 118: 582-588. 

  27. Pihlanto A. 2006. Antioxidative peptides derived from milk proteins. Int Dairy J 16: 1306-1314. 

  28. Park SH, Hong Y, Choi YJ, Choi JH, Kim BK. 2008. Antiwrinkle effects of mugwort (Artemisia vulgaris) extracts on UVB-irradiated hairless mouse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136-1141. 

  29. Krupsky M, Fine A, Berk JL, Goldstein RH. 1994. Retinoic acid-induced inhibition of type I collagen gene expression by human lung fibroblasts. Biochim Biophys Acta 1219: 335-341. 

  30. Zague V, de Freitas V, da Costa Rosa M, de Castro GA, Jaeger RG, Machado-Santelli GM. 2011. Collagen hydrolysate intake increases skin collagen expression and suppresses matrix metalloproteinase 2 activity. J Med Food 14: 618-624. 

  31. Kim YH, Chung CB, Kim JG, Ko KI, Park SH, Kim JH, Eom SY, Kim YS, Hwang YI, Kim KH. 2008. Anti-wrinkle activity of ziyuglycoside I isolated from a Sanguisorba officinalis root extract and its application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Biosci Biotechnol Biochem 72: 303-311. 

  32. Kim SR, Jung YR, An HJ, Kim DH, Jang EJ, Choi YJ, Moon KM, Park MH, Park CH, Chung KW, Bae HR, Choi YW, Kim ND, Chung HY. 2013. Anti-wrinkl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ctive garlic components and the inhibition of MMPs via NF- ${\kappa}B$ signaling. PLoS One 8: e73877. 

  33. Fields K, Falla TJ, Rodan K, Bush L. 2009. Bioactive peptides: signaling the future. J Cosmet Dermatol 8: 8-13. 

  34. Buffoni F, Pino R, Dal Pozzo A. 1995. Effect of tripeptide-copper complexes on the process of skin wound healing and on cultured fibroblasts. Arch Int Pharmacodyn Ther 330: 345-360. 

  35. Sim GS, Lee DH, Kim JH, An SK, Choe TB, Kwon TJ, Pyo HB, Lee BC. 2007. Black rice (Oryza sativa L. var. japonica) hydrolyzed peptides induce expression of hyaluronan synthase 2 gene in HaCaT keratinocytes. J Microbiol Biotechnol 17: 271-279. 

  36. Padamwar MN, Pawar AP, Daithankar AV, Mahadik KR. 2005. Silk sericin as a moisturizer: an in vivo study. J Cosmet Dermatol 4: 250-257. 

  37. Daithankar AV, Padamwar MN, Pisal SS, Paradkar AR, Mahadik KR. 2005. Moisturizing efficiency of silk protein hydrolysate: Silk fibroin. Indian J Biotechnol 4: 115-1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