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학습 상담을 위한 진단 검사지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he Diagnostic Worksheet for Mathematics Academic Counsel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9 no.4, 2015년, pp.723 - 743  

고호경 (아주대학교) ,  양길석 (가톨릭대학교) ,  이환철 (한국과학창의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학학습 상담 시 활용할 사전 진단 검사지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을 진단하기 위한 발문들을 도출해 내어 검사지를 구성하고, 이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실시하여 초등 5~6학년용과 중등 1~2학년용의 진단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검사지는 총 3부로 나누어, 1부 수학학습심리, 2부 수학학습 방법, 3부 수학학습 개인 성향으로 구성하였다. 수학학습심리는 '수학학습능력 자신감', '수학불안', '수학학습 태도' 요인으로, 수학학습 방법은 '수학학습 자기관리'와 '수학학습 전략' 요인으로, 수학학습 개인 성향은 '수학학습 습관'과 '수학학습 관리 방법', '동기', '성향'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진단 검사지는 학생들의 수학학습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preliminary diagnostic worksheet for use in consultations for learning mathematic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worksheet was constructed with questions designed to assess the students. Through standardization, diagnostic work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본 연구 산출물인 진단 검사지는 학생들의 수학학습 상담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그러나 학생이 주 대상이라 할지라도 수학학습 상담의 대상은 학생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 이와 같이 학습자에게 필요한 상담을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수학클리닉에는 상담을 받는 학생들을 보다 객관적으로 진단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하기 전에 학생에 대한 상태를 사전에 진단하기 위한 일반적인 발문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실시한 2년간의 수학클리닉에서 상담사들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상담 기록과 상담 사례들을 토대로 질문지에 필요한 발문들을 추출하였다. 상담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발문들을 전사하여 기술하고 비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관련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상담사들의 상담 발문들의 횡적 양상과 정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의 성공을 위한 행동 관련 요인으로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도구와 기법, 전략 등에 대한 인지 상태를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개념들을 토대로 수학불안을 부정적 정서의 일부로서 일상 혹은 수학 학업과 관련된 상황에서 수를 다루거나 수학 문제를 풀 때 지장을 줄 정도의 긴장감을 느끼는 것, 수학문제를 풀도록 요구 받는 상황에서 일어나는 신체적 증상, 불안, 무력감,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는 것을 의미한다.
  • 따라서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실시하는 수학클리닉 개념 안에는 학생 학습 활동의 지지에 있어서 수학 학습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과제의 특성을 인지시켜주고, 본인이 가지고 있는 불필요한 학습 방법이나 양식 등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학습법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하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일련의 과정 안에 학생들에게 학습목표를 유지(왜 수학을 공부해야하는가, 무엇을 위해 하는가, 어느 정도 해야 하는가 등등)시키면서 불안 갈등을 줄이고 좌절을 통제하는 등의 개념이 내재되어 있어서 궁극적으로는 수학에 대한 부정적 경험으로 인한 부정적 정서(혹은 수학 불안), 자신감 결여, 즐거움을 상실한 학생들에게 동기를 유발하고 수학에 흥미를 갖게 하거나, 능동적 학습 참여를 북돋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 셋째, 본 연구는 수학에 대한 자신감, 수학에 대한 불안감, 수학학습 태도에서의 요인 분석을 통해 수학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는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적 영역의 함양의 목적 중 하나는 수학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켜서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자 하는 의도를 배제할 수 없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학생들을 진단하기 위한 발문들을 도출해 내고, 표준화 작업을 실시하여 수학학습 클리닉 상담 시 필요한 진단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산출된 수학학습 상담을 위한 진단 검사지의 개괄적인 개발과정은 다음과 같다;
  • Charles & Lester(1982) 역시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식이나 경험만으로는 부족하며, 문제해결자의 충분한 동기가 요구되며, 스트레스와 불안 정도가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생 개인에게 효율적인 수학학습을 위해 필요한 심리적 요인과 성공적인 문제해결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학습방법 요인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지 문항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실제로 수학학습 상담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주로 활용되는 발문들을 토대로 검사지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의 기본 척도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와 같은 수학교육선진화 기반조성의 일환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수학클리닉1)’을 운영하고 이에 대한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클리닉이란? 이와 같은 수학교육선진화 기반조성의 일환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수학클리닉1)’을 운영하고 이에 대한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하고자 하였다. 여기서의 수학클리닉이란 수학학습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이나 기피 현상, 곤란함이 무엇인지 스스로 드러내게 하고 이를 통해 긍정적인 마음으로 다시 수학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취지의 학습 상담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학학습 상담은 정의적 영역(예, 수학에 대한 자신감, 수학의 유용성, 수학에 대한 불안감, 수학학습 태도나 방법)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는 것과 인지적 영역(예, 수학학습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을 두어 수학의 기초적인 내용이나 수학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에서의 향상을 도모하여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학학습 상담은 어떤 목적이 있을 수 있는가? 여기서의 수학클리닉이란 수학학습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이나 기피 현상, 곤란함이 무엇인지 스스로 드러내게 하고 이를 통해 긍정적인 마음으로 다시 수학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취지의 학습 상담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학학습 상담은 정의적 영역(예, 수학에 대한 자신감, 수학의 유용성, 수학에 대한 불안감, 수학학습 태도나 방법)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는 것과 인지적 영역(예, 수학학습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을 두어 수학의 기초적인 내용이나 수학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에서의 향상을 도모하여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진행되었던 수학클리닉은 직접적인 수학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수학 내용과 관련된 정의적인 측면에서의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로 진행되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2012년 3월에 ‘수학교육의 해’로 선포하면서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발전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어떤 의지를 내포하는 것인가? 교육과학기술부(2012)는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였으며, 2012년 3월에 ‘수학교육의 해’로 선포하면서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발전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이는 수학교육을 미래 사회에 대비하여 사고력과 창의력을 키우는 수학교육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의도 외에도 수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는 의지도 함께 내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학교육선진화 기반조성의 일환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수학클리닉1)’을 운영하고 이에 대한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고호경 김동원 이환철 최태영(2014). 근거이론적 접근에 따른 수학학습 상담 발문 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73-92. Ko, H. K,. Kim, D. W,, Lee, H. C., & Choi, T. Y. (2014). A study on categories of questions when holding counselling on learning math in regards to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e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7(1) 73-92.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2012.1.10 홍보담당관실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2012). National Mathematics Education Advance Plan. 2012.1.10 

  3. 권혁진 김민경 이은영(2006). 학습 부진아 수학 클리닉 운영 사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1), 19-40. Kwean, H. J., Kim, M. K., & Lee, E. Y. (2006). Math Clinic for the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9(1), 19-40. 

  4. 김경아 (2010).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학흥미 및 태도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im, K. A. (2010). Relationship among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Mathematical interests and attitud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 

  5. 김경옥, 류성림 (2009).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WQA) 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11(4), 665-683. Kim, K. O. & Ryu, S. R. (2009). The effects of the situation-bas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y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School Mathematics, 11(4), 665-683. 

  6. 김부미.김수진(2012). 수학 학습 성취 귀인에 대한 측정 도구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9(4), 509-530. Kim, B. M. & Kim, S. J. (2012). Instrument Development for Mathematical Achievement Attribu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49(4), 509-530. 

  7. 오후진.이종배 (2000). 수학학습에 대한 불안 요인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 3(1), 47-56. Oh, H. J. & Lee, J. B. (2000). A Study of Anxiety Factor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3(1), 47-56. 

  8. 이현희.김은정.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946. Lee, H. H., Kim, E. J., & Lee, M. K. (2003). A Validation Study of Kore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The PANAS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4), 935-946. 

  9. 임병노 (2011).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정서'척도 개발연구. 교육방법연구, 23(4), 827-853. Lim, B. R. (2011). Development of a 'Learning Affection' Scale for the Self-directed Learner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3(4), 827-853. 

  10. 주영주.이종희.김선희 (2011). 수학교과에서 남녀 집단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 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영향력 차이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5(4), 1019-1041. Ju, Y. J., Lee, J. H., Kim, S. H. (2011). A Comparison Stud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External Motivation, and Mathematics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5(4), 1019-1041. 

  11. 최승용 (2012). 수학적 자기효능감 및 수학불안과 수학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Choi, S. Y. (2012). The relationships pf Mathematics Self-Efficacy,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12. 최인선(1999). 인문계, 실업계 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비교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Choi, I. S. (1999). The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Between senior high school and vocational highschoo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3. 최진승 (1988). 일반불안, 시험불안, 학업불안, 수학 불안과 학업성적과의 공접 및 인과관계분석.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Choi, J. S. (1988). Correlational an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test, academic, and mathematics anxieties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4. 하정.김양희.황도연.정혜윤.김은덕 (2009).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47-65. Ha, J. H., Kim, Y. H., Whang, D. Y., Chung, H. Y., & Kim, E. D. (2009). A Study on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1), 47-65. 

  15. Aiken, L. R.(1970). Attitude toward Mathematic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0, 551-596. 

  16.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7. Barry, L. M. & Messer, J. J. (2003). A practical application of self-management for students diagnosed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5(4), 238-248. 

  18. Byrd, P. G. (1982). A descriptive study of mathematics anxiety: it's nature and antecedents,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19. Charles, R., & Lester, F. (1982). Teaching problem solving: What, why and how. Palo Alto, CA: Dale Seymour Publications 

  20. Charles. R., Lester, F. & O'Daffer, D. (1994). How to Evaluate Progress in Problem Solving. Virgini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1. Collins, J. I. (1982). Self-efficacy and ability in achievement behavior.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York City. 

  22. Fennema, E, & Sherman, J. A. (1976). Fennema-Sherman mathematics attitude scales: Instruments designed to measure attitudes towardthe learning of mathematics by females and mal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7(5). 324-326. 

  23. Gall, M., Gall, ]., Jacobsen, D. and Bullock, T. (1990) Tools for Learning', Alexandria, Virgin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4. Hackett, G., & Betz, N. E. (1989). An exploration of the mathematics self-efficacy/mathematics performance correspondenc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3), 261-273. 

  25. Handler, J. R. (1990). Math anxiety in adult learning. Adult Learning, 1, 20-23. 

  26. Ko, H., Yi, H.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Student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2(6), 509-521 

  27. Morris, J. (1981) Mathematics Anxiety: Teaching to Avoid it. Mathematics Teacher, 74, 413-417. 

  28. Pajares, F., & Miller, M. D. (1994). Role of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belief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path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 193-203. 

  29. Sandman, R.(1974). The mathematics attitude inventory: Instruments and user's mannual.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1(2), 149-149. 

  30. Schunk, D. H. (1981). Modeling and attributional feedback effects on children's achievement: A self-efficacy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 93-105. 

  31. Schunk, D. H. (1989).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behavior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 173-208. 

  32. Schunk, D. H. & Hanson, A. R. (1985). Peer models: Influence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behavior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 313-322. 

  33. Schunk, D. H., Hanson, A. R., & Cox, P. D. (1987). Peer model attributes and children's achievement behavior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9, 54-61. 

  34. Schunk, D. H., Pintrich, P. R., & Meece, J. L. (2013). 학습 동기. (신종호 외 역, 원제는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서울: 학지사 

  35.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rlando, FL: Academic Press. 

  36.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37. Tobias, S., & Weissbrod, C. (1980). Anxiety and mathematics: An update. Harvard Educational Review, 50(1), 63-70. 

  38.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39. Weiner, B. (1986). An Attributional Theory of Motivation and Emotion, Springer Verlag, New York 

  40. Zimmerman, B. J. (1995). Self-efficacy and eduacaitonal development. In A. Bandura (Ed.),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pp. 202-23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