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죽음준비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8 no.3, 2015년, pp.196 - 207  

김신향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 연구의 결과를 메타분석하여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2004년에서 2014년까지 발표된 석 박사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추출하여 최종 22편 연구물을 메타분석하였다. 결과: 죽음준비교육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정도 강한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조절변인의 효과크기는 연구대상은 유아 아동이 가장 높았으며 연령이 어릴수록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회기는 10~16회, 주회기는 주 2회 이상, 1회기 활동시간은 60분 이하로 실시할 때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다. 효과변인의 효과크기는 죽음관련변인군은 큰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은 죽음태도가 가장 높은 효과크기에 해당되었다. 죽음관련이외의 변인군은 중간효과크기에 해당되었으며 하위변인은 자아통합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죽음준비교육 효과 검증한 선행연구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통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보다 효과적인 개입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근거기반에 의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년기에서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서 죽음준비교육을 이들 대상별 특성에 맞는 특화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확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comprehensively analyzed domestic studies on the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order to present objective data. Methods: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2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14. Results: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dea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죽음준비교육의 다양한 배경과 변인에 의해 이뤄진 연구결과를 통합하기 위해 메타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죽음준비교육의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질적 향상을 위해 후속연구 방향과, 근거기반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통합분석 하고자 메타분석하여 죽음준비교육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실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분석을 위해 Cooper 등(24)이 제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코딩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통계학 박사 1인(메타분석 전문가)과 사회복지학교수 1인의 도움을 받아 코딩 매뉴얼과 코딩표를 개발하였다. 코딩항목은 출판연도, 연구자, 논문제목, 자료 출처, 연구대상, 총회기, 주회기, 1회기 활동시간, 종속변인, 실험집단ㆍ대조집단의 사전, 사후 사례 수, 평균, 표준편차, t를 포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가 중에서 후기 노인자살률은 몇 위인가? 그러나 죽음을 터부시하거나 죽으면 다 끝난다고 간주하거나 죽음을 절망과 두려운 것으로 착각하는 오해가 우리 사회에 확산되어 있다(4).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가 중에서 후기 노인자살률이 1위이며, 청소년 사망 원인 1위가 자살로 밝혀졌다(5). 따라서, 우리사회의 잘못된 죽음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죽음준비교육이란? 죽음준비교육은 삶과 죽음을 바르게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삶을 소중하게 바라보고 보다 의미 있게 살도록 하는 교육으로서(4) 죽음을 한층 편안하게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 삶의 준비교육이다(6). 그동안 죽음 준비교육에서는 죽음과 삶에 대한 이해, 생의 회고와 삶의 발견, 죽음을 잘 맞이하도록 하는 실제적인 방법, 죽음과정의 전반적인 문제 등 공통적인 주제로 다루어 진행되었다(7).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통합 분석하고자 메타분석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죽음준비교육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를 산출한다. 둘째, 죽음준비교육 조절변인(연구대상, 총회기, 주회기, 1회기 활동시간)의 효과크기를 산출한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효과변인(죽음관련 변인군, 죽음 관련이외의 변인군)의 효과크기를 산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Yoon MO. Effect of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on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in volunte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9;12:199-208. 

  2. Deeken A. How to face death? Oh JT, translator. Seoul:KungRee; 2002. 

  3. Kim SN, Choi SO, Lee JJ, Shin KI.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5;22: 141-53. 

  4. Oh JT. Well dying seek professional instructor training program. Saint History Institute seminar well dying Kit; 2008 Jun; Chunchenon, Korea. Chunchenon: Institute of life & Death Studies, Hallym Univs.; 2008. 

  5.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Statistics Korea; 2014. 

  6. Seo HK. Thanatology.Soeul:Gyeongchunsa;2009. 

  7. Kim BR. Effects of well-ending educ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d healthy women [dissertation]. Seoul: Catholic Univ.; 2012. Korean. 

  8. Ro SW. A study on the adolescent suicides and "death-preparing education". J Educ Develop 2010;26:5-26. 

  9. Oh JT, Kim CG.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death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J Korean Gerontol Soc 2009;29:51-69. 

  10. Kim HC, Choi SC, Chung Y. The Influence of how-to-die education on the elderly anxiety,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toward death. Med J Chosun Univ 2005;30:75-84. 

  11. Kang KA, Development and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middle-aged adul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1; 14:204-11. 

  12. Shin EJ. Influence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meaning in life, death anxiety and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among nursing students. J Oriental Neuropsychiatry 2011;22:65-74. 

  13. Chang K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death orientation and suicidal ideation - with a focus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Daegu, Korea-. Korean J Human Ecol 2012;21:423-37. 

  14. Kim EH. The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 2007. Korean. 

  15. Kwon EJ, Cho JH. The effect of education about death concepts through picture books about Buddhist samsara on children's understanding and fear of death. J Buddhist Stud 2011;28:45-78. 

  16. Durlak JA, DuPre EP. Implementation matters: a review of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implementation on program outcomes and the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Am J Community Psychol 2008;41:327-50. 

  17. Kim SH. The meta analysis of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programs of the elderly [dissertation]. Chungnam: Hoseo Univ.; 2014. Korean. 

  18. Oh SS. Application of meta-analysis and the actual. Seoul:Konkuk Univ.;2002. 

  19. Hwang SD.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meta-analysis. Seoul: Hakjisa;2014. 

  20. Kim SH, Byun SW. Analysis of the trends of research education on death. J Digital Convergence 2014;12:469-75. 

  21. Kim SH, Song YM.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for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ath anxiety. Health Soc Welfare Rev 2013; 33:190-219. 

  22. Borenstein M, Hedges LV, Higgins JPT, Rothstein HR. Introduction to meta analysis. Londres:Wiley;2009. 

  23. ChoiKH, Kook SJ. Meta-analysis using the MIX. Paju:Liberty Academy;2008. 

  24. Cooper H, National Center for the Study of Adult Learning and Literacy (U.S.),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 (U.S.). Evaluating and interpreting research syntheses in adult learning and literacy. NCSALL occasional paper. Cambridge, MA:National Center for the Study of Adult Learning and Literacy,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2007. 

  25. Law M, Stewart D, Pollock N, Letts L, Bosch J, Westmoreland M. Critical review form-quantitative studies. Ontario:McMaster Univ.;2011. 

  26. Higgins JPT, Green S, Cochrane Collaboratio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 (Version 5.1.0). [Oxford]: Cochrane Collaboration;2011. 

  27. Egger M, Davey Smith G, Schneider M, Minder C.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MJ 1997; 315:629-34. 

  28. Rosenthal R, Rosnow RL. Essentials of behavioral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2nd ed. McGraw-Hill series in psychology. New York:McGraw-Hill;1991. 

  29. Cohen J. Teaching for the 21st century. Educational leadership 2009;67:8-14. 

  30. Rothstein HR, Sutton AJ, Borenstein M. Publication bias in meta analysis: prevention, assessment, and adjustments. West Sussex:Wiley;2005. p. 1-7. 

  31. Slanghter V, Griffiths M. Death understanding and fear of death in young children. Clin Child Psychol Psychiatry 2007;12:525-35. 

  32. Seo H, Kim YB, Park MJ.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on death education. J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3;20:307-33. 

  33. Lee HJ, Lee YJ, Jo KH. A need assessment and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regarding death education in human service areas. J Welfare for the Aged 2005;30:263-86. 

  34. Jang SH. A study on adult education for death preparation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09. Korean. 

  35. Kim YS. A study about the requirement difference of deathpreparation- education pursuant to distinction of sex [dissertation]. Seoul: Ewha Women's Univ.; 2007. Korean. 

  36. Becker C. Death education and religion in schools and modern society. Korean J Religious Education 2004;19:3-22. 

  37. Kang SB. Educational discussion about death. Korea Univ. transactions on education 1997:21:1-17. 

  38. Lee CS, Shin HK, Joo HK. Influence of an education about death concepts to relieve internet game addiction, children's recognition of death and fear of death. J Korean Society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2010;14:251-72. 

  39. Lee CS, Cho M. Effect of the education about death concepts through the picture book on children. J Korean Council Children Rights 2009;13:417-37. 

  40. Cho HJ, Kim ES.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8; 163-72. 

  41. Jung EJ. Analysis of welldying program effectiveness. Asia-Pacific J Business Venturing Entrepreneurship. 2012;7:189-94. 

  42. Choi YH. Effects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quality of life, death awareness, and death anxiety of th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master's thesis]. Seoul: Dongguk Univ.; 2014. Korean. 

  43. Park JH.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death preparation program [master's thesis]. Daejeon: Mokwon Univ.; 2008.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