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상환자에서의 초음파 유도 하지 국소 신경차단술의 유용성
The Efficacy of Ultrasound-Guided Lower Extremity Nerve Block in Trauma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JTI, v.28 no.3, 2015년, pp.87 - 90  

권성민 (연세원주의대 정형외과학교실) ,  오진록 (연세원주의대 정형외과학교실) ,  신지수 (연세원주의대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ultrasound-guided lower extremity nerve block in trauma patients. Methods: From July 2013 to April 2014, 17 patients with multiple trauma had lower extremity nerve block for immediate management of open wound in the lower extremity. We evaluated the patient s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생체징후가 안정화되기 전까지 정형외과적 수술이 지연 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미 저자는 다발성 외상 환자의 초음파 유도 상완 신경총 차단술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 한 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본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발성 외상 환자의 초음파 유도 하지 국소 신경 차단술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순 하지 외상 환자의 경우에는 어떤 마취를 주로 사용하는가? 단순 하지 외상 환자의 수술의 경우 척추 마취가 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다발성 외상 환자의 경우 환자의 생명이 우선시 되므로 정형외과적 처치가 늦어 지거나 수술방이 아닌 외상센터나 응급실의 처치실에서 단순 처치만 시행한 후 환자의 생체 징후가 안정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있다.
외상환자의 전신 마취를 바로 시행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외상팀에서 우선시 되는 것이 환자의 생명이며 정형외과적 치료는 그 뒤에 생각 되어지던 것이 사실이다. 기도 삽관에 의한 전신 마취 시 발생할 수 있는 호흡기 등 장기에 대한 합병증, 척추 마취에 의한 저혈압 등의 합병증이 외상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오염된 개방성 창상을 동반한 환자에게 변연 절제술이나 세척술을 시행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응급실이나 외상센터를 통하여 오는 외상환자의 다수는 다발성 외상 환자이며 그 중 오염된 개방성 창상을 동반한 환자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런 환자들은 최대한 빠른 시간에 변연 절제술이나 세척술을 시행하여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1) 다발성 외상환자의 특성상 정형외과적 문제뿐 아니라 외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등 다른 동반손상으로 즉각적인 전신 마취를 시행하기 어렵다. 또한 생체징후가 안정화되기 전까지 정형외과적 수술이 지연 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미 저자는 다발성 외상 환자의 초음파 유도 상완 신경총 차단술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 한 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본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발성 외상 환자의 초음파 유도 하지 국소 신경 차단술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 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Lenarz CJ, Watson JT, Moed BR, Israel H, Mullen JD, Macdonald JB. Timing of wound closure in open fractures based on cultures obtained after debridement. J Bone Joint Surg Am 2010; 92: 1921-6. 

  2. Chan Kang Ultrasound-guided regional nerve block in lower extremity. 2012 J Korean Orthop US Soc 2012; 5: 50-9. 

  3. Flaatten H, Raeder J. Spinal anaesthesia for outpatient surgery. Anaesthesia 1985; 40: 1108-11. 

  4. Curatolo M, Orlando A, Zbinden A, Venuti FS. Failure rate of epidural anaesthesia for foot ankle surgery: A comparison with other surgical procedures. Eur J Anaesthesiol 1995; 12: 363-7. 

  5. McLeod DH, Wong, DH, Claridge RJ,Merrick PM. Lateral popliteal sciatic nerve block compared with subcutaneous infiltration for analgesia following foot surgery. Can J Anaesth 1994; 41: 673-6. 

  6. McLeod DH, Wong DH, Vaghadia H, et al. Lateral popliteal sciatic nerve block compared with ankle block for analgesia following foot surgery. Can J Anaesth 1995; 42: 765-9. 

  7. Migues A, Slullitel G, Vescovo A, et al. Peripheral foot blockade versus popliteal fossa nerve block: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in 51 patients. J Foot Ankle Surg 2005; 44: 354-7. 

  8. Chan Kang, Deuk-Soo Hwang, Young-Mo Kim, Pil-Sung Kim, You-Sun Jun, Jung-Mo Hwang. Ultrasound-guided femorosciatic nerve block by orthopaedist for ankle fracture operation. J Korean Foot Ankle Soc 2010; 14: 90-6. 

  9. White PF, Issioui T, Skrivanek GD, et al. The use of a continuous popliteal sciatic nerve block after surgery involving the foot and ankle: does it improve the quality of recovery? Anesth Analg 2003; 97: 1303-9. 

  10. Ilfeld BM, Morey TE, Wang RD, Enneking FK. Continuous popliteal sciatic nerve block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at home: a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study. Anesthesiology 2002; 97: 959-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