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악취 배출구의 합리적인 배출규제를 위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for Reasonable Emission Regulation of Odor Exhaust Stack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1, 2016년, pp.155 - 161  

박정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형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ield experiment, odor simulator, and dispersion modeling were used to evaluate the odor impact from J sewage sludge treatment facility. The height and flow rate of exhaust stack at this facility were 22.3 m and $100Nm^3/min$. The mean odor concentrations of the wet scrub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악취배출구에 대한 합리적인 규제기준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사례로 A 하수슬러지 탄화시설의 배출구를 대상으로 복합악취 현장조사, 취기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적정 배출량 산정 그리고 대기확산 모델인 SCREEN3 모델을 이용하여 이격거리별 피해영향 평가등 악취영향 평가를 실시하였다. 향후 연구 결과는 악취배출구로 인한 주변지역에 미치는 피해영향의 최소화 및 합리적인 규제기준의 수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악취배출구에 대한 합리적인 규제기준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사례로 A 하수슬러지 탄화시설의 배출구를 대상으로 복합악취 현장조사, 취기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적정 배출량 산정 그리고 대기확산 모델인 SCREEN3 모델을 이용하여 이격거리별 피해영향 평가등 악취영향 평가를 실시하였다. 향후 연구 결과는 악취배출구로 인한 주변지역에 미치는 피해영향의 최소화 및 합리적인 규제기준의 수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악취방지에서 적용한 농도 규제기준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그러나 국내 악취방지법에서는 악취 배출원을 배출구 및 부지경계선으로 구분하고 공업 또는 기타 지역에 따른 각각의 농도 규제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에 농도기준의 배출허용기준은 만족하지만 배출유량이 클 경우 발생원 주변지역에서 악취 피해가 발생될 수있는 등 현행 발생원 중심의 농도 규제방식에 따른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Yun and Koo, 2013). 또한, 악취방지시설의 선정 및 설계는 통상 배출구의 배출허용 농도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검토되나, 배출유량이 적을 경우 상대적으로 배출구에 대한 과도한 농도 규제기준으로 인한 비합리적인 악취관리 규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악취 배출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악취 배출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2005년 악취방지법의 제정·시행을 하고 있으나, 악취 민원의 발생건수 및 피민원업소수는 2005년도 4,302건, 2,046개소에서 2013년도 13,103건, 6,024개소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MOE, 2015). 특히, 최근 런던협약‘96의정서’발효와 함께 유기성폐기물의 해양투기가 2012년부터 전면 금지됨에 따라 소각, 탄화, 건조, 고화시설 등 육상처리 및 재활용시설 등 악취 배출시설의 증가와 더불어 악취 민원의 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NIER, 2013a).
악취의 피해정도는 무엇의 영향을 받는가? 악취는 각종 배출원에서 기체 상태로 배출된 후 대기확산 과정을 통해 주변지역으로 희석되면서 부지경계선 또는 최대농도착지지점을 중심으로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주는 감각공해의 피해영향이 나타나게 되며, 피해영향 정도는 배출원의 총배출량(농도×배출유량)에 따라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n, A. Y., Choi, S. W., 2006, Evaluation of malodor emissions using the ISCST3 in industrial complex area, J. Korean Soc. Odor Res. Eng., 5(1), 19-25. 

  2. Cha, Y. S., Lee, J. Y., Kim, Y. D., Kim, U. S., Lee, J. H., Shin, D. Y., Chen, J. H., Park, Y. M., Kim, G. B., Eom, S. W., 2013, Odor actual condition investigation around sewage sludge dry plant,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Conferences, 205-206. 

  3. Hwang, G. W., 2014, A study on the reduction of odor using chemical scrubbers for a sewage sludge drying facility, Master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4. Jeong, S. J., Kim, K. J., 2013, A study on odor impact range around waste incineration facility using regulation of odor concentration and frequency, J. Korean Soc. Odor Res. Eng., 12(3), 125-133. 

  5. Kim, Y., Lee, Y., 2008, Health impact assessment on construction of landfill site Focused on human risk assessment due to inhalation exposure to landfill gas, KEI Environmental policy Research, 7(1), 1-29. 

  6. Ministry of Environment(MOE), Environmental Statistics, 2015, http://stat.me.go.kr. 

  7.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of Japan, 2015a, http://www.env.go.jp/air/akushu/low-gaiyo.html. 

  8.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of Japan, 2015b, http://www.env.go.jp/air/akushu/simulator/index.html. 

  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2013a, A study on utilization and effective energy recovery of waste resources(II)-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for each treatment of sewage sludge, NIER-RP2013-212. 

  1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2013b, Improvement of permissible limit for odor emission and it's measure, Final report. 

  11. Suh, Y. S., Lee, J. G., 2006,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Cs and odors compounds from a sewage sludge drying facility,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Conferences, 76-80. 

  12. Yun, H. Y., Koo, Y. S., 2013, A study on the needs to improve effluent quality standard of odor using dispersion model, J. Korean Soc. Odor Res. Eng., 12(2), 83-90. 

  13.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US EPA), 1995, SCREEN3 Model User's Guide, EPA-454/B-95-004, US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