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단위 강수량의 누적 패턴을 이용한 가뭄지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rought Index Based on Accumulative Pattern of Daily Rainfal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1, 2016년, pp.41 - 49  

권민성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  박동혁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전경수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  김태웅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일강수량의 누적 패턴을 고려하여 새로운 가뭄지수(RADI)를 개발하였다. RADI는 누적 강수량의 장기간의 평균과 특정 기간에 관측된 누적 강수량을 비교하여 일단위로 가뭄지수를 간단히 산정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가뭄기간 동안의 RADI의 시 공간적 변동성과 재현 주기를 살펴봄으로써 장 단기 가뭄의 감시에 대한 RADI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SPI의 경우, 장 단기 가뭄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지속기간을 가지는 SPI를 사용해야 하지만, RADI는 하나의 지수로 단기 및 장기가뭄을 표현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다. RADI의 전국 평균값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에서 20년 주기로 가뭄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RADI의 발생확률 및 통계 분석을 통해 5단계의 가뭄 등급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가뭄 예보와 대응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d a new drought index considering the accumulative pattern of daily rainfall, i.e., Rainfall Accumulation Drought Index (RADI). The RADI can be easily calculated at daily scale by comparing the long-term averaged cumulative rainfall to the observed cumulative rainfall for a speci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가뭄지수는 평년대비 강수량의 부족량을 나타내는 지표라는 기본 가정에서 출발하여, 누적 강수량의 장기간의 패턴을 고려하여 누적 관측 강수량을 표준화하여 새로운 가뭄지수인 RADI (Rainfall Accumulation Drought Index)를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RADI는 일단위로 계산이 가능하고, 단기 및 장기가뭄을 모두 확인할 수 있어, 기상학적 가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ADI가 기상학적 가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대안이라고 판단하는 이유는?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가뭄지수는 평년대비 강수량의 부족량을 나타내는 지표라는 기본 가정에서 출발하여, 누적 강수량의 장기간의 패턴을 고려하여 누적 관측 강수량을 표준화하여 새로운 가뭄지수인 RADI (Rainfall Accumulation Drought Index)를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RADI 는 일단위로 계산이 가능하고, 단기 및 장기가뭄을 모두 확인할 수 있어, 기상학적 가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해를 거듭해 발생하는 연속적인 가뭄에 대한 가뭄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특히 최근 30년간 전국 평균 RADI의 시계열을 통해 최근 우리나라의 가뭄 발생의 특별한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88~1990년의 해를 넘기는 가뭄 발생 후, 3년 뒤인 1992년, 그리고 2년 뒤인 1994년과 1995년 2년 연속으로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5년 뒤인 2000년 2001년 연속으로 가뭄이 발생하였다. 위와 같은 첫 번째 패턴이 2008~2009년 해를 넘기는 가뭄으로 다시 시작되었고, 다시 3년 뒤인 2012년, 그리고 2년 뒤에 2014년 2015년에 연속으로 가뭄이 발생했다. 즉, Fig.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20년 주기로 일정한 패턴의 가뭄이 발생 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패턴으로 가뭄이 발생한다면, 1994~1995년, 2000~2001년, 2014~2015년과 같이 연속적인 가뭄이 수년 내에 또 다시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가뭄 대책은 단기적인 가뭄뿐만 아니라, 해를 거듭해 발생하는 연속적인 가뭄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뭄지 수는 어떻게 산정되는가? 다양한 사회적 영향을 불러오는 가뭄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어 왔다. 가뭄지 수는 연구의 대상 및 목적에 따라 강수량, 증발산량, 유출량, 토양수분, 물공급 능력 등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관점으로 산정 하게 된다. 가뭄의 정의와 분류 또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데 Wilhite and Glantz (1985)는 가뭄을 기상학적 가뭄,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 D.-H., Sohn, K.-H., Kim, H.-K., Lee, J.-H., Lee, D.-R., Ahn, J.-H., and Kim, T.-W. (2013). "Standardization and evaluation of PDSI calculation method for Korean drought management agencies." Atmosphere, Vol. 23, No. 4, pp. 539-547. 

  2. Changnon, S.A. (1987). Detecting drought conditions in Illinois, Vol. 169, Illinois State Water Survey. 

  3. Energy Economy (2015). "KMA, Provided wrong DDIs last 7 years." July 14. 

  4.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4). Press release of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 (May, June, July, and August). 

  5.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5). Press release of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 (May, June, and July). 

  6.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C) (2012). White paper on drought 2012. 

  7.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Proceedings of the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Boston, MA, USA, Vol. 17, No. 22, pp. 179-183. 

  8. Meyer, S.J., Hubbard, K.G., and Wilhite, D.A. (1993). "A cropspecific drought index for corn: I.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Agronomy Journal, Vol. 85, No. 2, pp. 388-395. 

  9. 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 (MOCT) (2002). Research report on drought records in 2001. 

  10. Narasimhan, B., and Srinivasan, R. (200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oil moisture deficit index (SMDI) and evapotranspiration deficit index (ETDI) for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33, No. 1, pp. 69-88. 

  11.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Vol. 30). Washington, DC, USA: US Department of Commerce, Weather Bureau. 

  12. Palmer, W.C. (1968). "Keeping track of crop moisture conditions, nationwide: The new crop moisture index." Weatherwise, Vol. 21, No. 4, pp. 156-161. 

  13. Shafer, B.A., and Dezman, L.E. (1982). "Development of a 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 to assess the severity of drought conditions in snowpack runoff areas." Proceedings of the Western Snow Conference, Fort Collins, CO, Vol. 50, pp. 164-175. 

  14. Shim, K.O., and Moon, S.Y. (2009). A study on the extreme drought countermeasures by climate change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15. Stahl, K. (2001). Hydrological drought - a study across Europe, Ph.D. Dissertation, Universitatsbibliothek Freiburg. 

  16. Tallaksen, L.A., and van Lanen, H.A.J. (2004). Hydrological drought: Processes and estimation methods for streamflow and groundwater, Elsevier, The Netherlands. 

  17. Tsakiris, G., and Vangelis, H. (2005). "Establishing a drought index incorporating evapotranspiration." European Water, Vol. 9, No. 10, pp. 3-11. 

  18. Vicente-Serrano, S.M., Begueria, S., and Lopez-Moreno, J.I. (2010). "A multiscalar drought index sensitive to global warm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Journal of Climate, Vol. 23, No. 7, pp. 1696-1718. 

  19. Weghorst, K. (1996). "The reclamation drought index: guidelin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North American Water and Environment Congress & Destructive Water, ASCE, pp. 637-642. 

  20. Wilhite, D.A., and Glantz, M.H. (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the role of definitions." Water International, Vol. 10, No. 3, pp. 111-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