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안지역 비피압 충적 대수층에서의 흐름 및 분산(수치모형의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the Flow and Dispersion in the Coastal Unconfined Aquife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Numerical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1, 2016년, pp.61 - 72  

김상준 (가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얕은 비피압 충적층이 대부분인 우리나라 해안지역 대수층에서의 흐름과 분산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선형 Boussinesq 방정식에 대한 FDM 수치해석 모형을 개발하고, 이와 관련한 분석, 검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과정에서 비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복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치모형은 자유 지하수면과 바닥의 굴곡을 고려하는 평면 2차원 모형이므로, 결국 3차원 형태를 나타낸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흐름방정식의 경우 Lee (1989)가 제시한 급상승 혹은 급하강의 경계조건을 갖는 1차원 부정류 해석해와 비교하여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분산방정식의 mass balance 산출 결과는 10% 내외의 오차범위를 나타내었다. 개발된 모형은 비피압 대수층에서의 흐름 및 분산에 대한 평가 및 설계에 이용될 수 있다. 지하댐이 설치되어 있는 쌍천 하구역에서 본 모형을 적용하여 역해석에 의하여 관련 매개변수를 도출한 결과 투수계수는 90m/day, 종분산지수는 15 m로 산출되었다. 도출된 매개변수를 대상지역에 적용하여 갈수기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양수정은 7호 양수정을 제외하고는 서로 영향권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수층을 통한 해안유출량은 $3700m^3/day$로 산출되었다. 또한 지하댐이 없을 경우 양수정의 염소이온($cl^-$) 농도는 1000 mg/L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하댐의 역할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the aquifers at the coastal areas are mostly shallow alluvial unconfined aquifers. To simulate the flow and dispersion in unconfined aquifer, a FDM model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nonlinear Boussinesq equation. Related analysis and verification have been executed. The iteration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형에 대한 검증는 해석해(Lee, 1989)와 비교하거나 mass balance 검토 등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고, 관측 자료를 이용한 역해석에 의하여 연구 대상지역의 매개변수(parameter)를 산출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산출된 매개변수를 이용한 해석에 의하여 양수정의 거동와 지하댐의 효용성 등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고자 한다.
  • 특히 해안지역 지하수의 경우에는 해수침투의 위험도 상존하므로 이와 관련한 정확한 분석 및 관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것으로서, 해안지역 대수층에서 흐름 및 분산에 관한 수치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그런데 국토의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 해안지역 대수층은 대부분 노년기 충적층의 형태로서, 평균 두께가 10 m 내외의 비피압(unconfined) 대수층인 경우가 많다.
  • 4 km⨯1 km)으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지역을 비피압 대수층으로 간주하고, 흐름 및 분산에 대한 수치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Grid는 70개⨯50개(dx=dy=20 m)로 하며 Fig.

가설 설정

  • Eq. (1)은 유체가 비압축성이며, 일정한 밀도와 점성을 가지고 있고, 매질은 비균질(heterogeneous), 등방성(isotrophic)이며, 흐름은 Darcy 법칙과 Dupuit 가정을 따르는 2차원 포화흐름을 가정하고 있다. 여기서 비산출율 Sy는 포화된 대수층의 물이 중력에 의해 배수되는 부피의 전체 부피에 대한 비를 의미하며, 매질이 거친 모래나 자갈인 경우 0.
  • 4 km의 규모이며, 역해석에 의하여 투수계수나 분산계수 등 관련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분산계수는 분산지수와 지하수 평균속도에 대한 선형함수로 가정하였으며, 관측 자료는 변별력이 높게 나타난 갈수기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역해석으로 산출된 결과, 연구 대상지역의 투수계수는 90 m/day, 종분산지수는 15 m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자원의 이용에 있어서 지하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 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수자원의 이용에 있어서 지하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10%로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데, 이는 수량과 수질 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있는 지하수의 특성 때문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그러나 지하수의 이용이 점차 증대되면서 지하수 고갈이나 오염 문제, 해안에서의 염수침입 등 부정적인 면 또한 커지고 있다.
지하수의 이용이 점차 늘어나면서 생기는 부정적인 면은? 우리나라의 경우, 수자원의 이용에 있어서 지하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10%로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데, 이는 수량과 수질 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있는 지하수의 특성 때문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그러나 지하수의 이용이 점차 증대되면서 지하수 고갈이나 오염 문제, 해안에서의 염수침입 등 부정적인 면 또한 커지고 있다. 지하수는 근본적으로 지표수로부터의 보충에 의하여 비롯되는 것이므로, 대수층의 상태에 따라서 적정한 양을 사용하여야 한다.
대수층 형태가 비피압인 경우에 대하여 주제를 한정시킨 이유는?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것으로서, 해안지역 대수층에서 흐름 및 분산에 관한 수치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그런데 국토의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 해안지역 대수층은 대부분 노년기 충적층의 형태로서, 평균 두께가 10 m 내외의 비피압(unconfined) 대수층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수층 형태가 비피압인 경우에 대하여 주제를 한정하기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dient, P.B., Rifai, H.S., and Newell, C.J. (1994). Groundwater contamination (Transport and remediation).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pp. 119-128. 

  2. Charbeneau, R.J. (2000). Groundwater hydraulics and pollutant transport.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pp. 48-55. 

  3. Cupola, F., Tanda, M.G., and Zanini, A. (2015). "Laboratory estimation of dispersivity coefficient"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Vol. 25, pp. 74-81. 

  4. Gelhar, L.W., Montoglou, A., Welty, C., and Rehfeldt, K.R. (1985). "A review of field-scale physical solute transport processes in saturated and unsaturated porous media." Final Proj. Rep. EPRI EA-4190,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Palo Alto, CA. 

  5. Hong, S.H., Han, S.Y., and Park, N.S. (2003). "Assessment of potential groundwater development in coastal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3, No. 3B, pp. 201-207. 

  6. Jiang, Q., and Tang, Y.I. (2015). "A general approximate method for the groundwater response problem caused by water level vari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529. vol. 1, pp. 398-409. 

  7. Jung, J.S., Kim, M..H., and Bang, K.M. (2002). "Analysis of stream-aquifer using nonlinear Boussinesq equatio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1, No. 1, pp. 57-61. 

  8. Kim, J.W., Lim K.N., Park H.J., and Rhee B.K. (2013). "Analyzing the effect of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using groundwater model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Vol. 18(3), pp. 11-23. 

  9. Kim, M.H., Ceon, I.K., and Jung, J.S. (2002). "An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in the multi-aquifer system." Journal of KoSSGE, Vol. 7, No. 4, pp. 10-16. 

  10. Kim, N.W., Na, H., and Chung, I.M. (2011). "Integrated surfacegroundwater hydrologic analysis for evaluating effectiveness of groundwater dam in Ssangcheon watershed." Econ. Environment. Geology, Vol. 44, No. 6, pp. 525-532. 

  11. Knight, J.H. (2005). "Improving the Dupuit-Forchheimer groundwater free surface approximation"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28, No. 10, pp. 1048-1056. 

  12. Lee, J.K. (1989). "Unsteady groundwater flow in aquif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22, No. 2, pp. 233-239. 

  13. Lee, K.S. (2015). Numerical methods for engineers. Sehwa Publisher. 

  14. McDonald, M.G., and Harbaugh, A.W. (1991). MODFLOW: A Modular three 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flow model. IGWMC Groundwater modeling Software, International Ground Water Modeling Center. 

  15.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 (2002). Report for Plan of the development of groundwater dam. GW Project No. 2002-1a. 

  16.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7). Application of sustainabl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technology by using groundwater dam. 21st Century Frontier R&D Program Report No. 3-6-2. 

  17. Pinder, G.F. and Gray, W.G. (1997). Finite element simulation in surface and subsurface hydrology. Academic Press. 

  18. Qu, W., Li, H., Wan, L., Wang, S., and Jiang, X. (2014). "Numerical simulation of steady-state salinity distribution and submarine griundwater discharges in homogeneous anisotropic coastal aquifer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74, pp. 318-328. 

  19. Sun, N.Z. (Translation by Fan, P., and Shi, D.) (1996). Mathematical modelling of groundwater pollution. Springer-Verlag New York Inc., and Geological Publishing House. pp. 34-46. 

  20. Teloglou, I.S., and Bansal, R.K. (2012). "Transient solution for stream-unconfined aquifer interaction due to time varing stream head and in the presence of leakage." Journal of Hydrology, Vol. 428/429, pp. 68-79. 

  21. Todd, D.K. (1954). "Unsteady flow in porous media by means of Hele-Shaw viscous fluid model" Trans., AGU, Vol. 35, No. 6, Dec. 

  22. Wang, H.F., and Anderson, M.P. (1982). Introduction to groundwater modelling. W.H. Freeman and Company. 

  23. Xu, M., and Eckstein, Y., 1995, "Use of weighted least-squares method in evalu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dispersivity and field scale." Groundwater, Vol. 33, No. 6, pp. 905-908. 

  24. Yang, J.S., Lim, C.H., Park, J.H., Park, C.K., and Jeong, G.C. (200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cipitation considering infiltration and groundwater level in Ssangchun watershed."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Vol. 15, No. 3, pp. 303-307. 

  25. Yun, S.H., Park, J.H., and Park, C.K. (2004). "A study for reducing sea water intrusion in the groundwater dam oper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7, No. 2, pp. 97-10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