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전증 아동 어머니의 뇌전증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불안
Knowledge, Attitude and Anxiet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Epilepsy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1, 2016년, pp.54 - 60  

박소연 (부산대학교병원) ,  주현옥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levels and correlations of epilepsy specific knowledge, attitude and anxiet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epilepsy. Methods: Participants were 176 mothers of children with epilepsy living in B and Y c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뇌전증 아동 어머니의 뇌전증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불안 정도를 조사한다.
  • 본 연구는 뇌전증 아동 어머니의 뇌전증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불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전증으로 진단받은 아동 어머니의 뇌전증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불안 정도를 확인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 및 변수 간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뇌전증 아동 어머니의 뇌전증에 대한 지식수준은 낮은 편이었으며, 뇌전증에 태도는 약간 긍정적이었고, 뇌전증에 대한 불안 정도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편이었다.
  • 뇌전증 아동은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하면서, 질병에 대한 적절한 관리를 통해 경련 발생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유병기간이 24개월 이내인 뇌전증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뇌전증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불안 등을 조사하고, 변수 간의 상관성을 밝혀 뇌전증 아동 및 어머니를 위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전증으로 진단받은 지 24개월 이내의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뇌전증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불안 정도와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뇌전증에 대한 지식부족과 오해는 부모의 불안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들도 있다[13]. 이에 본 연구는 뇌전증 아동의 최소 약물 치료기간이 2-3년인 점과 유병기간이 짧을수록 질병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부족하다는 선행연구를 고려하여, 뇌전증 유병기간이 24개월이내인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뇌전증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불안 정도를 파악하여, 어머니들이 뇌전증 아동을 관리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전증이란? 뇌전증은 다양한 원인과 발병과정을 통해 경련이나 의식 장애 등과 같은 발작(Seizure)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WHO[1]의 보고에 따르면 인구 1,000명당 4-10명이 이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 10만 명당 50-70명이 유병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뇌전증 인구 중 절반이 아동기에 발병하는 원인은? WHO[1]의 보고에 따르면 인구 1,000명당 4-10명이 이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 10만 명당 50-70명이 유병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누적 발생률과 유병률을 통해 뇌전증을 가진 인구의 절반이 아동기에 발병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아동의 경우 뇌발달이 빠르고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상받기 쉬운 뇌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2].
뇌전증 아동 어머니가 겪는 어려움은? 뇌전증 아동의 경우, 어머니가 양육의 일차 책임자인 동시에 약물 복용과 질병에 대해 관리하기 때문에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아동이 경련하는 모습을 직접 목격한 어머니는 불안감과 공포를 느끼며, 경련이 언제 다시 발생할지 모른다는 불확실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한다[7]. 그뿐만 아니라 뇌전증이라는 질병 자체에 적응 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이로 인해 양육의 부담과 스트레스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World Health Organization. Epilepsy [Internet]. Media centre fact sheet; 2015 [cited 2016 January 14].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999/en/. 

  2. Hong SB, Joo EY. Epilepsy surgery I.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6;49(3):253-271. http://dx.doi.org/10.5124/jkma.2006. 49.3.253 

  3. Austin JK, MacLeod J, Dunn DW, Shen J, Perkins SM. Measuring stigma in children with epilepsy and their parents: instrument development and testing. Epilepsy & Behavior. 2004;5(4):472-482. http://dx.doi.org/10.1016/j.yebeh.2004.04.008 

  4. Kim N. A structural model for medication adherence in epilepsy patients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2. p. 1-107. 

  5. Shin YH. Children with epilepsy: Quality of life and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2):225-232. 

  6. Goldstein LH, McAlpine M, Deale A, Toone BK, Mellers JD. Cognitive behaviour therapy with adults with intractable epilepsy and psychiatric co-morbidity: Preliminary observations on changes in psychological state and seizure frequenc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003;41(4):447-460. http://dx.doi.org/10.1016/s0005-7967(02)00025-6 

  7. Park K, Kam S, Hah JO, Park KS, Kang YS, Kim SW. Uncertainty, stress and anxiety of mothers about disease of chi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0;4(2):219-231. 

  8. Park SB,, Yoo HI, Jeon JW, Choi SH, Wang HR, Kim KW, et al.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sense of competence in children with seizure disorder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7;46(6):596-602. 

  9. Shore CP, Buelow JM, Austin JK, Johnson CS. Continuing psychosocial care needs in children with new-onset epilepsy and their parents. The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09;41(5):244-250. http://dx.doi.org/10.1097/JNN.0b013e3181b2c721 

  10. Bautista RE, Erwin PA. Analyzing depression coping strategies of patients with epilepsy: A preliminary study. Seizure. 2013:22(9):686-691. http://dx.doi.org/10.1016/j.seizure.2013.05.004 

  11. Kim JY. The effect of a social support intervention on uncertainty, coping, and quality of life in mothers an epileptic child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7. p. 1-84. 

  12. Cho SM, Kwon SH, Kim DK, Kim JS, Kim JK, Moon HK, et al. The experience of the 1st Daegu-Gyeongbuk multicenter epilepsy camp for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epilepsy. Journal of Korea Child Neurology Society. 2009;52(5):549-556. 

  13. Austin JK, Shore CP, Dunn DW, Johnson CS, Buelow JM, Perkins SM. Development of the parent response to child illness (PRCI) scale. Epilepsy & Behavior. 2008;13(4):662-669. http://dx.doi.org/ 10.1016/j.yebeh.2008.07.017 

  14. Pfafflin M, Petermann F, Rau J, May TW. The psycho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with epilepsy and their parents (FAMOSES): Results of a controlled pilot study and a survey of parent satisfaction over a five-year period. Epilepsy & Behavior. 2012;25(1):11-16. http://dx.doi.org/10.1016/j.yebeh.2012.06.012 

  15. Aytch SL, Hammond R. White C. Seizure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 exploratory study of family experiences and needs for information and support. The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01;33(5):278-285. http://dx.doi.org/10.1097/01376517-200110000-00008 

  16. Kim BY. Mothers' stress in families with epileptic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02;14:37-63. 

  17. Gazibara T, JNikolovski J, Lakic A, Pekmezovic T, Kisic-Tepavcevic D. Par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s children with epilepsy in Belgrade (Serbia). Epilepsy & Behavior. 2014;41:210-216. http://dx.doi.org/10.1016/j.yebeh.2014.09.062 

  18. Choi H, Park J, Koh SH, Kim HY, Lee KY, Lee YJ,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care-giver burden of pediatric epilepsy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6;24(2):117-124. 

  19. Bagheri-Galeh S, Kolahi AA, Kolahi AA. Frequency of worry and anxiety in epileptic children's mothers. Qom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Journal. 2013;6(4):36-43. 

  20. Elliott JO, Charyton C, Lu B, Moore JL. Serious psychological distress and health outcomes for persons with epilepsy in poverty. Seizure. 2009;18(5):332-338. http://dx.doi.org/10.1016/j.seizure.2008.11.003 

  21. Cengel-Kultur SE, Ulay HT, Erdag G. Ways of coping with epilepsy and related factors in adolescence. The Turkey Journal of Pediatrics. 2009;51(3):238-247. 

  22. Duffy LV. Parental coping and childhood epilepsy: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The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11;43(1):29-35. http://dx.doi.org/10.1097/JNN.0b013e3182029846 

  23. Austin JK, McNelis AM, Shore CP, Dunn DW, Musick B. A feasibility study of a family seizure management program: 'Be seizure smart'.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02;34(1):30-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