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간의대 천문관측기기 개발자
MANUFACTURERS OF ASTRONOMICAL INSTRUMENTS INVENTED DURING THE GANUI-DAE PROJECT IN JOSEON DYNASTY 원문보기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31 no.3, 2016년, pp.77 - 85  

민병희 (한국천문연구원) ,  이민수 (충북대학교) ,  최고은 (한국천문연구원) ,  이기원 (대구가톨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y the manufacturers of the astronomical instruments invented as part of the so-called Ganui-Dae (astronomical platform) project in the reign of King Sejong (1418-1450) of the Joseon dynasty. The main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compile the Chiljeongsan-Naepyeon, a Korean calendar, that l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세종 재위 당시에 제작된 17개의 천문관측기기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중 소규표와 신법천문도, 2기는 간의대 사업의 기간에 벗어나 있다.
  • 본 연구는 간의대기에 기록된 천체관측기기의 개발자에 대해 조사하였다. 2장에서는 간의대기에 나타난 천문관측기기를 목록화하고, 간의대 사업의 수행방식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 세종 시대 5.5년에 걸쳐 대규모 천문관측기기 제작 사업을 진행한 이유는 무엇인가? 5년간에 걸쳐 대규모 천문관측기기 제작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는 조선에 맞는 역법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한양(서울)에서 관측한 천문자료의 필요성을 세종이 인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1437년(세종 19) 4월 15일, 세종실록에는 천문관측기기의 제작에 관한 내용, 이른바 간의대기(簡儀臺記)가 기록되어 있다 (Jeon, 1994; Nam, 1995; Lee, 1996; Jeon, 1998; CCKHA, 1999; Nha, 2000; Nam, 2008).
세종 당시에 제작된 천문기기에 대한 오해는 무엇인가? 반면 세종 당시에 제작된 천문기기는 대부분 장영실(蔣英實, fl. 1423 ~ 1442)이 만든 것으로 오해되고 있다. 이는 조선후기 관찬서인 「국조역상고(國朝曆象 考)」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의 기록에 기인한 것이다(Jeon, 1994; Lee & Moon, 2004).
간의대 사업 책임자에 대한 결론은 무엇인가? 5년 동안에 적어도 12명의 관리, 학자와 기술자들이 협력하여 15기의 천문관측기기를 제작하였다. 이 사업의 전반기에 주요 책임자는 정초, 이천 등이었지만, 후반부에서는 세종 자신이 실질적인 감독을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History of Astronomy (CCKHA), 1999, Sonam Yu Gyeong-Ro's Posthumous Papers - Study on the Korean History of Astronomy, Nokdu (Seoul), pp.15-18 

  2. Jeon S. U., 1994, Time, Clock, and History, Wolgan-Sigyesa (Seoul), pp.45-122 

  3. Jeon S. U., 1998, New Perception of Korean History of Science, Yonsei University Press (Seoul), pp.413-138 

  4. Kim, S. -J., 2008, An Example of an Imaginative Approach toward Documentary Literature - Centered in the Related Records of Jang Young-Sil, Dongyang Studies in Korean Classics, 27, 5 

  5. Kim S. H., Mihn B. -H., Ahn Y. -S., & Lee Y. S., 2011, Inference on the Arrangement and Scale of the Ganuidae in the Joseon Dynasty, PKAS, 26, 115 

  6. Lee, Y. S., 1996, Structure and Instructions of Ganui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Dong Bang Hak Chi, 93, 159 

  7. Lee, Y. S. & Kim, S. H., 2002, The Astronomical Instrument, So-Ganui Invented During King Sejong Period, JASS, 19, 231 

  8. Lee E. H. & Moon, J. Y., 2004, Kukjo Yeoksanggo (Compendium of Heavenly System and Astronomical Instruments in Joseon Dynasty), Somyeong Press (Seoul), pp.117-193 

  9. Lee, M. -S., Lee Y. S., Jeon, J. H., & Kim, S. H., 2013, A Study on Ganui-Dae's External Form and Its Modeling for Restoration, JASS, 30, 299 

  10. Lee, Y. S., Kim, S. H., & Mihn, B. -H., 2016, Family of the Sun-and-Stars Time-Determining Instruments (Ilseong-jeongsi-ui) Inven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JASS, 33, 237 

  11. Mihn, B. -H., Kim, S. H., Lee, K. -W., Ahn, Y. S., & Lee, Y. S., 2011, A Development History and Structural Feature Of Sogyupyo in the Joseon Dynasty, PKAS, 26, 129 

  12. Mihn, B. -H., Lee, K. -W., Ahn, Y. S., & Lee, Y. S., 2015, Scale Marking Method on the Circumference of Circle Elements for Astronomical Instrumen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JASS, 32, 63 

  13. Mihn, B. -H., 2016, Study on the Astronomical Instruments and Calendars in Early Joseon Dynasty,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4. Nam, M. H., 1995, Korean Water-Clocks, Konkuk University Press (Seoul), pp.77-121 

  15. Nam, M. H., 2002, Jang Yeong-Shil and the Striking Clepsydra Jagyeongnoo,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pp.23-123 

  16. Nam, M. H., 2008, Ganuidae Observatory: Its Past and Present - Restoration and Ut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Cultural Heritage of Gyeongbokgung, Korean Journal of Palace Museum, 2, 84 

  17. Nha, I. S., 2000, History of Astronomy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pp.105-1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