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분뇨의 전처리 특성
Pre-treatment Characteristics of Night Soil by Microbubble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4 no.4, 2016년, pp.31 - 37  

임지영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현식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박수영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진한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하수와 연계처리 되고 있는 분뇨의 유기물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전처리기술로서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OH radical에 의한 유기물 산화 및 부유물질 저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가압식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생분뇨를 4시간의 HRT로 3개월간 연속 실험하였다.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분뇨를 부상처리할 경우 SS 제거율은 평균 71.0%이었으며, 부상분리에 의한 스컴 및 고형물질이 제거됨에 따라 $TCOD_{Cr}$, TBOD, 총질소, 총인의 제거율은 각각 평균 51.5%, 47.9%, 17.1%, 14.7%로 나타났다. OH radical에 의한 용존성 유기물질의 분해능을 검토한 결과, $SCOD_{Cr}$의 경우 평균 25.0% 제거되었고 SBOD의 경우 평균 17.1% 제거되었다. 용존성 질소와 인은 각각 평균 11.9% 및 7.4% 정도 제거됨으로써 수중에서 마이크로버블이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OH radical의 강력한 산화력에 의하여 용존성 유기물질들이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분뇨처리공정 전단부에 마이크로버블 부상조를 설치할 경우 부상분리에 의한 고형물 제거는 물론 용존성 유기물질의 산화에 의하여 후속 생물학적 처리시설의 안정적 운영에 충분한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H radicals on organic matter oxidation and suspended solids removal using microbubble as a pre-treatment technique to reduce the organic load of night soil in connection with sewag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ree months at HRT 4 hour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분뇨의 전처리기술로서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고형물 분리 및 유기물 제거효과를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뇨란? 수거식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액체성 또는 고체성 오염물질로 규정된 분뇨는 2013년부터 해양투기가 전면금지되어 육상처리를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으로 분뇨처리장에서 1차 또는 2차 처리를 거친 후 인근 하수처리장과 연계하여 처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2012년 기준 전국 190개의 분뇨처리시설 중약 77%인 146개소가 하수처리장과 연계하여 분뇨를 처리하고 있다1). 이러한 고농도의 유기성 폐수는 하수처리장 연계처리시 방류수 수질기준 준수 등에 대한 부담이 있으므로 이를 법적으로 규제하기 위하여 공공하수도시설 운영⋅관리 업무지침에는 분뇨 등을 연계 처리하는 경우,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정상 운영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총질소 및 총인의 오염부하량은 설계시 유입하수오염 부하량의 10%이내까지 전처리한 후 연계처리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2).
분뇨를 처리하기위해 하수처리장으로 연계되었을때 문제점은? 전처리된 분뇨는 위생처리장에서 1차, 2차 처리를 거쳐 하수처리장으로 연계되지만 분뇨의 특성상 유기오염물질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높아처리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3) 하수처리장으로 연계되었을 경우 분뇨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에 의해 하수처리장 호기조에서의 질산화율을 악화시킬 수있다. 이에 따라 송풍기의 가동율을 증가시켜 하수처리장의 운영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연계하는 하수처리장의 정상운영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연계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전처리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4).
분뇨의 전처리시설의 종류는? 분뇨의 전처리시설로는 협잡물과 침사물을 제거 할 수 있는 협잡물처리시설과 미세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원심분리시설, 부상분리시설, 응집시설 등이 있다. 이중 부상분리는 가벼운 입자를 보다 완전하고 짧은 시간에 분리하며 안정된 처리수를 얻을수 있다는 점에서 분뇨처리공정에서 많이 사용되고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Statistics of Sewerage, pp. 17. (2015). 

  2. Ministry of Environment, Operation & Management Guideline of Public Sewage Facilities, (2015). 

  3. Jang, J. K., Sung, J. H., Kang, Y. K. and Kim, Y. H., "The Effect of the Reaction Time Increases of Microbubbles with Catalyst on the Nitrogen Reduction of Livestock Waste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7(10), pp. 578-582. (2015). 

  4. Kim, C. G. and Shin, H. G., "Determination of Optimal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for Linked Treatment in Sewage Treatment Plant", Journal of the Organic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20(3), pp. 52-59. (2012). 

  5. Takahashi, M., Chiba, K. and Li, P., "Free-Radical Generation from Collapsing Microbubbles in the Absence of a Dynamic Stimulus",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111(6), pp. 1343-1347. (2007). 

  6. Li, P., Tsuge, H. and Itoh, K., "Oxidation of Dimethyl Sulfoxide in Aqueous Solution Using Microbubbles",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48(17), pp. 8048-8053. (2009). 

  7. Kurup, N. and Naik, P., "Microbubbles : A Novel Delivery System", As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and Health Care, 2(3), pp. 228-234. (2010). 

  8. Tabei, K., Haruyamu, S., Yamaguchi, S., Shirai, H. and Takakusagi, F., "Study of Microbubble Generation by Swirl Jet", Journal of Environment and Engineering, 2(1), pp. 172-182. (2007). 

  9. Margery, S. B.,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 4th ed., Houghton Mifflin Company, Boston, USA, (2000). 

  10. Kawahara, A., Sadatomi, M., Matsuyama, F., Matsuura, H., Tominaga, M. and Noguchi, M. "Prediction of Microbubbl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in Water and Sea Water", Experimental Thermal and Fluid Science, 33(5), pp. 883-894. (2009). 

  11. Agarwal, A., Ng, W. J. and Liu, Y. "Principle and Applications of Microbubble and Nanobubble Technology for Water Treatment", Chemosphere, 84(9), pp. 1175-1180. (2011). 

  12. Marui, T., "An Introduction to Micro/Nano-Bubbles and Their Applications", Systemics, Cybernetics and Informatics, 11(4), pp. 68-73. (2013). 

  13. Cha, H. S., "Present State and Future Prospect for Microbubble Technology", Bulletin of food technology, 22(3), pp. 544-552. (2009). 

  14. Li, P., Takahashi, M. and Chiba, K., "Enhanced Free-Radical Generation by Shrinking Microbubbles Using a Copper Catalyst", Chemosphere, 77, pp. 1157-1160. (2009). 

  15. Lim, J. Y., Kim, H. S., Park, S. Y. and Kim, J. H.,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for Microbubble Generation According to Venturi Nozzle Spec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9), pp. 6397-6402. (2015). 

  16. Kim, H. S., et.al, "Estimation of Contribution Ratio of Element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Pressurized-Dissolution Type Microbubble Generator",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Fall Season Conference, pp. 641-643. (2015). 

  17. Ministry of Environment, Standard methods for examination of water quality. (2014). 

  18. APHA(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7th ed., Washington DC, USA, (1989). 

  19. Kim, J. H., et.al, "Evaluation of Possibility of Microbubble in the A2O+MBR Process for Night Soil",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Fall Season Conference, pp. 648-651. (2015). 

  20. Lee, I. K., Lee, E. Y., Lee, H. J. and Lee, K. S., "Removal of COD and Color from Anaerobic Digestion Effluent of Livestock Wastewater by Advanced Oxidation Using Microbubbled Ozone",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22(6), pp. 617-622. (2011). 

  21. Jang, J. K., Kim, M. Y., Sung, J. H., Chang, I. S., Kim, T. Y., Kim, H. W., Kang, Y. K. and Kim, Y. H.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Microbubbles and/or Catalyst on the Sludge Reduction and Organic Matter of Livestock Waste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7(10), pp. 558-56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