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체산자(砌山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hesanja(Qìshānzǐ, The Looping stitch) of Joseon Dynast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7, 2016년, pp.89 - 108  

양수정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trace the examples of 'Chesanja' from the texts and artifacts, but also to restore the terminology of the lost traditional Joseon embroidery technique. 'Chesanja' came on Mongolia and Yuan period affected embroidery techniques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박통사(朴通事)』에서 등장하는 「체산자(砌山子)」라는 용어를 통해서 ‘구야’에 대한 한어(韓語)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그렇다면 『박통사언해』(1677)에서 보인 체산자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는 동시대의 다른 기록을 통해서 17세기 중반에 사용되던 용례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다음 [Table 6]는 인선왕후(仁宣王后, 1618~1674)의 언간(諺簡)(1659)의 내용이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박통사(朴通事)』에서 등장하는 「체산자(砌山子)」라는 용어를 통해서 ‘구야’에 대한 한어(韓語)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된 용례를 당시 문헌 기록에서 살펴보고 조선후기까지 유전되던 체산자의 실제를 추정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자수기법의 전통용어의 발굴에 대한 타당성과 전승적 의의를 재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Yang, 2016) 특히 정조연간(正祖年間, 1776~1800)이래 왕실에서 신하에게 하사된 자수품으로 수침이 여러 차례 있었다.10) 물론 이들은 민씨가문 전세품인 베개의 경우로 볼 때 가장자리는 체산자로 장식되어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체산자가 18세기에 들어서면 사가(史家)에서는 차차 그 활용이 줄어든 반면 왕실에서는 존속하던 기법이었으며 수침을 하사받은 신하들은 실용하기보다는 감상과 보장용(寶藏用)으로 다루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산자는 무엇인가? ‘체산자’는 실을 엮어서 山 모양을 만드는 장식 기법으로 고려후기에 등장하여 조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수용품에 적용된 기법이다. 13~14세기 중세 북방민족의 자수 기법으로서 새로운 유행을 선도했던 체산자는 조선에 들어서 더욱 그진가를 발휘했으며 특히 15~16세기의 특징적인 장식 기법으로 자리잡았다.
체산자는 원명시대에서 어디에 널리 활용되었는가? 체산자는 원명시대에서 실용품과 불교용품에 널리 활용되어 왔는데 조선의 경우에는 왕실과 지배층의 숭불과 배불의 사이에서 효용(效用)되다가 16~17세기에 이르면 베개와 같은 일상용품에까지 활발히 적용되었다. 체산자는 15세기에 이르면 ‘砌山子’를 ‘치산ᄌᆞ’로 부르고 16세기에는 ‘치산ᄌᆞ’를‘귀여☆’으로도 함께 칭하기 시작했으며 17세기에는 ‘귀여☆’이라 쓰고 ‘귀여★’로 칭한 듯하며 18세기 중반에는 ‘砌山子’와 ‘귀여☆’이라는 용어가 역서본에서 사라지게 된다.
체산자는 19~20세기에 들어 이름과 사용 대상에 있어 어떤 변화를 겪었나? 특히 17세기 중반 「박통사언해」에서 체산자의 언해인 ‘귀여★’이라는 정확한 용어가 이어지고 자수에 활용된다는 용례의 제시와 더불어 인선왕후의 어서(1656년 무렵)에서 ‘귀여’의 등장은 이후 이 기법이 어떻게 사용되어 가는지를 보여줌으로서 자수사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19~20세기 이르면 ‘구야(고야)’라는 이름으로 구전되며 왕실의 기법으로 존속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체산자의 희소성은 특징있는 장식성으로 인해 권문가의 기복문양기법으로서 그 명맥을 이어 왔으며 조선 자수기법의 특색 중 하나로 손꼽아 지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Auctiondan, (ed.) (2013), 13th Auctiondan, Auctiondan (ed). 

  2. Bae, S, H, (2005), Analysis of Buried-Fabrics from the Tomb of Yeon-An Kim Clan [연안김씨 묘 출토직물보존처리]. In Gyeonggi Provincial Museum (ed.), The Excavated Costumes of Yeon-An Kim Clan, a Wife of Mong-Nam (1534-1574), who Belongs to Nam-yang Hong clan[연안김씨 묘 출토복식-양평 출토 홍몽남 배위](p.121), Seoul: Gyeonggi Provincial Museum. 

  3. Baekheonseonsaengjip [白軒先生集] (1700). 

  4. Baktongsa[朴通事 上]. Retrieved from http://dl.nanet.go.kr/OpenFlashViewer.do. 

  5. Baktongsaeonhae [朴通事諺解]. Seoul, Republic of Korea:Seoul National University Kyujanggak. (Original work published 2004(a)). 

  6. Baktongsa-sinseok and Baktongsa-sinseok-eonhae [朴通事新釋. 朴通事新釋諺解]. Seoul, Republic of Korea: SNU Kyujanggak. (Original work published 2004(b)). 

  7. Ban, Y, P, Jegyeongsesigiseung(帝京歲時紀勝), JunggukdaesesigiII,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NFM. (Original work published 2006). pp. 173-174. 

  8. Bulseoldaebobumoeunjunggyeong[佛說父母恩重經]. Retrieved from http://viewer.nl.go.kr:8080/viewer/viewer.jsp. 

  9. Cheongju National Museum (ed). (2011) Hangeul Letters on Royal Family of the Joseon Dynasty-Sukmyeong-sinhancheop [조선왕실의 한글편지-淑明宸翰帖], 92-93. 

  10. Cho, H, S. (2003)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Fabrics from Papyeung-Yoon's Tomb [파평윤씨 모자 출토 직물에 관한 연구]. In Korea University Museum (ed), Papers of a Mummified Pregnant Woman of Papyung Yoon's Family. [파평윤씨 모자 미라 종합 연구 논문집](p.178). Korea University Museum. 

  11. Cho, H, S. (2005). Characteristics of Excavated Fabrics of Yeon-An Kim Clan. [연안김씨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In Gyeonggi Provincial Museum (ed.), The Excavated Costumes of Yeon-An Kim Clan, a Wife of Mong-Nam (1534-1574), who Belongs to Nam-yang Hong clan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양평 출토 홍몽남 배위](pp.152-158), Seoul:Gyeonggi Provincial Museum. 

  12. Cho, H, S. (2006).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Fabrics from a Mummified Pregnant Woman of Papyung Yoon's Family Tomb [파평윤씨묘 출토직물의 제작특성연구 복식].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1), p. 33. 

  13. Choi S, J. (2011). The translation of Nobakjipram(老朴集覽) (G, Jeong. & O, J, Yang Trans.) Paju: Taehaksa (Original work published 1517). 244-245. 

  14. Choi S, J. (2012),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Baktongsaeonhae(譯註朴通事諺解) (J, Y, Choi, J, W, Yoo & X, Wang. Trans.) Seoul:Hakgobang (Original work published 1677). 6, 103-104. 

  15. Choi M, R. (2014). A study on the engravings of the Bulseol-daebo-bumo-eunjung-gyeong of the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135. Retrieved from http://www.riss.kr.oca.korea.ac.kr/search/download/FullTextDownload.do?control_no50edcc25a7a82b49ffe0bdc3ef48d419&p_mat_typebe54d9b8bc7cdb09&p_submat_typef1a8c7a1de0e08b8&fulltext_kinda8cb3aaead67ab5b&t_gubunundefined&DDODFlag&redirectURL%2Fsearch%2Fdownload%2FFullTextDownload.do&loginFlag1&url_typed7345961987b50bf&query%EB%B6%80%EB%AA%A8%EC%9D%80%EC%A4%91%EA%B2%BD&content_page. 

  16. Dan, G, G. (2005), The Taste of Brushwork and Ink with The Art of Textile and Embroidery [筆墨趣味與織繡藝術], Textile, Embroidery, calligraphy and painting 織繡書畵, Shanghaishiji chubanyouxiangongsi, 23. 

  17. Donghwanbongsa [東還封事] (1574). 

  18. Geumongseonsaengmunjip [錦翁先生文集] (n.d.). 

  19. Gyeong MogungAkgijoseongcheong-uigwe [景慕宮樂器造成廳儀軌] (1777). 

  20. Gold buckle[금제띠고리]. Retrieved from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487#. 

  21. Gosanseonsaengmunjip [鼓山先生文集] (1883). 

  22. Gwanamjeonseo [冠巖全書] (n.d.). 

  23. Gyeonggi Provincial Museum (ed). (2004). The facination of korea embroidery. 

  24. Gyeongsanjip [經山集] (1895). 

  25. HagokseonsaengChoCheongi [荷谷先生朝天記] (1707). 

  26. Hakgokjip [鶴谷集] (1706). 

  27. Hong, S, M(洪錫謨, 1781-1857) Sinyeokdongguksesigi [新譯東國歲時記], (D, R, Cho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HongSinmunhwa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9). 45. 

  28. Huh, Dong-hwa. (2001). Voyage to the world of Korean embroidery, Seoul: The Museum of Korea Embroidery. 

  29. Inchon Metropolitan City Museum (ed), (2011). Study on the Excavated Costumes of Lime-soiled mixture tomb from Seok-nam-dong, Incheon. pp. 100-101. 

  30. Jeong, G. (2000). A study on Nobakjipram(老朴集覽), Nogeoldae(老乞大) and Baktongsa(朴通事)'s original Text [老朴集覽과 老乞大.朴通事의 舊本]. Journal of Jindanhakbo, 89. 

  31. Jeong, J, R(鄭載崙, 1648-1723), Dongpyeongwigongsagyeonmunrok [東平尉公私見聞錄]. (J, J, Gang,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YangYeongGak. (Original work published 1985). 196-197. 

  32. Jonjaejip [存齋集] (1696). 

  33. Joseonwangjo-silrok [朝鮮王朝實錄] (n,d.). 

  34. Kim, E, K. (2014), A Study on Ja-chim(瓷枕, porcelain pillow) in the Goryeo Dynasty,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6-35. Retrieved from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372. 

  35. Kim, H, G. (2010), The annual customs(歲時風俗) and affliction(度厄) in Royal Family of Joseon Dynasty,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7(33), pp. 187-233. 

  36. Kim, H, J. (1970), Embroidery pillow, Journal of MiSulJaRyo, 14. 

  37. Kim, Y, R. (2013), A study on history and archetype technology of goli-su in korea, Journal of Mun Hwa Jae, 46(2), pp. 12-14. 

  38. Lee, G, G. (1834), Ohjuseojongbakmulgobyeon [五洲書種博物考辨] (J, Choi, Trans). Hakyoun publich co. (2008). 36. 

  39. Lee, G, I(李肯翊). Yeonryeosilgisul [燃藜室記述]. 30(7). (MinjokMunhwaChuJinho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MinjokMunhwaChu Jinhoe. (Original work published 1982). 58-59. 

  40. Lee, H, S. (2004), A study on the Korean import policy for the Chinese goods in the seventeenth century. Journal of Baeksanhakbo, 68. pp. 361-370. 

  41. Lee, S, M. (2012), Reconsidering a text the Question in Nobakjipram(老朴集覽). [ >속의 > 고찰].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5(28), pp. 32-34. 

  42. Lee, S, Y & Sim, Y, O. (2013) Study on the Form and Character of Gold Thread in Weave with Supplementary Gold Wefts, Embroid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7), 91-92. 

  43. Mangiyoram [萬機要覽] (1808). 

  4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d), (1973), Yuk-Jeonjorye-Ho Jeon [六典條例-戶典], Seoul;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189-217. 

  45.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ed). (2013). Artictic Court Embroidery, 10. 

  46. Nozaki, S, K. (1992), Chinese propitious patterns [中國吉祥圖案]. (Y, S, Byun & Y, G, Ann,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YeGyeong. (Original work published 1978). 408-410. 

  47. Oh, D, Y. (2009) A study of the painting with gold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snu-primo.hosted.exlibrisgroup.com/primo_library/libweb/action/search.do?fnsearch&ctsearch&frbg&initialSearchtrue&modeBasic&taball&indx1&dumtrue&srtrank&vid82SNU&tbt&vl%28freeText0%29%EC%98%A4%EB%8B%A4%EC%97%B0&scp.scpsscope%3A%2882SNU_SSPACE%29%2Cscope%3A%2882SNU_INST%29%2Cscope%3A%2882SNU_COURSE%29%2Cscope%3A%2882SNU_ROSETTA%29%2Cprimo_central_multiple_fe&prefLangko_KR. 19-20. 

  48. Ornaments[滿池嬌金霞?墜]. Retrieved from http://www.huitu.com/photo/show/20141222/170735688200.html. 

  49. Park, E, K. (1998), The Monumental Paintings of Buddhas of the Four Directions in the First Half of Choson Dynasty: on the Painting of Bhaisajyaguru Traid. Journal of Art history forum, 7, pp. 114-116. 

  50. Rimdangyugoha [林塘遺稿下] (1638). 

  51. Seo, I, B. (2008), A Study on the Zhiranju and the Weaving Taiguan in the Ming Dynasty: Focusing on Zhiranju in Suzhou province and Hangzho Province. Journal of The Donggooksahak, 45, p. 106. 

  52. Seok Cheonyugo [石泉遺稿] (1938). 

  53. Seokjaego [碩齋稿] (n.d.). 

  54. Seokjuseon Memorial Museum [SMM] (ed), (2011). Special Exhibition of Pillow Collection Donated by Mr. Kim DaeHwan. Seoul, Republic of Korea: Dankook University press, 70. 

  55. Seongjaeseonsaengmunjip [性齋先生文集] (1891). 

  56. Seungjeongwon-llgi [承政院日記] (1632). 

  57. Shinjeungdonggukyeojiseu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 (1530). 

  58. Shin, M, H. (2009). JoseongongJu-silrok. seoul, Republic of Korea:wisdomhouse. 180-182. 

  59.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hung Young Yang Embroidery Museum (ed). (2004). Silken threads. Seoul Republic of Korea : CEM. 

  60. Song, M, K. (2007), Study on the Excavated Costumes of Yeon-An Kim Clan, a Wife of Mong-Nam (1534-1574), who Belongs to Nam-yang Hong clan.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57(8), pp. 125-136. 

  61. Song, M, K & Park, J, Y, (2005) A study on the Excavated Costumes of Yeon-An Kim Clan, In Gyeonggi Provincial Museum (ed.), The Excavated Costumes of Yeon-An Kim Clan, a Wife of Mong-Nam (1534-1574), who Belongs to Namyang Hong clan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양평 출토 홍몽남 배위](p. 258), Seoul: Gyeonggi Provincial Museum. 

  62. Sudeok Temple Museum (ed), (2006), Special exhibition by Virtue of the Finest Threads. Seoul;Publishing Sinmyung Agency. 147. 

  63. Sun, H, J. (ed). (2010), The cache of Yuan Dynasty unearthed at Longhua Gezidong. Hebei People's Publishing House. 50. 53. 

  64. Yakheonjip [約軒集] (n.d.). 

  65. Yang, O, J. (2008), A study on Nogeoldae-Baktongsa as the Chinese Textbooks [漢學書老乞大朴通事硏究], J&C. pp. 62-72. pp. 137-138. 

  66. Yang, S, J. (2016), A study on Painting of Embroidery of Joseon Dynasty in the six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72-74, 84-85(fig 7), pp. 399-408. 

  67. Yang, Z, S. (2010), "Lotus Pond" Headstream-Comment on Two Pieces of Yuan Dynasty's Unearthed Gezidongat, In Sun, H, J. (ed.), The cache of Yuan Dynasty unearthed at Longhua Gezidong, Hebei People's Publishing House(p.168), Hebei People's Publishing House. 

  68. Yeom, J, S. (2012), A Consideration on Implication and Validity of through -Centering of Mt. Sumeru and Sun-Moon Depiction. Journal of Korean studies, 20, pp. 377-387. 

  69. Yeonryeosilgisul-Byeoljip [燃藜室記述-別集] (1912). 

  70. Yu, O, G, (2011), The Image of Immortals Holding a Gourd Bottle in > by Kim Hongdo. Journal of Korean Bulletin of Art History, 37, pp. 158-160. 

  71. Zhao, P. (1999). Treasures in Silk [織繡珍品], Yesadang, pp. 342-3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