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시 발생하는 불안정도가 시뮬레이션 교육만족도,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Anxiety during Simulation Training on Personal Satisfaction of Simulation,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e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3 no.4, 2016년, pp.411 - 418  

김미영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  박수현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  원종순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nursing students' levels of anxiety in simulation based nursing education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anxiety and personal satisfaction of simulation,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during simulation. Methods: This study was a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간호대학생은 다른 전공의 대학생들에 비해 매우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 그룹으로[18], 긴장이나 불안을 가중시키는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인지적인 능력과 임상수행능력 및 자기효능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보여주었다[5]. 따라서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교육으로 인한 불안정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불안이 간호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만족도,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 교육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간호 교육은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이론적 학습과 더불어 이론적 지식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실습교육을 통해 간호사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간호에서의 실습교육은 실습실에서 이루어지는 교내 실습과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임상실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론 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간호 실무에 적용하여 대상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하는 중요한 교육 방법이다[1].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효과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 많은 간호교육 기관에서 기존의 임상실습 중심 실습 교육에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simulation-based education)과 임상실습을 병행하는 교육방법으로 전환하고 있다[5].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임상에서 흔히 일어나지 않는 상황과 사건을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적절히 관리하고 대응하는 기술을 배우고 익히는데 있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6].  또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을 통해 간호학생들은 응급한 임상 상황에서도 환자에 대한 위험 부담 없이 실무를 배울 기회를 갖게 된다[7].
오늘날 많은 간호교육 기관에서 임상실습 중심 교육에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병행하는 교육방법으로 전환한 이유는 무엇인가? 실습교육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간호 현장은 임상현장 지도자의 부족과 대상자의 권리 향상 및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져 대다수의 간호학생들이 임상실습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2]. 따라서 간호학생들은 활력 징후 측정과 홑이불 및 환의 교환 등의 단순하고 안전한 간호 활동 중심으로 경험하게 되고 침습적이고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간호수행(예, 주사및 흡인 등)은 대부분 관찰만으로 임상실습을 마치게 된다[3]. 이와 같은 제한점으로 인해, 임상실습 교육만으로는 실제 임상에서 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배출 시키는데 분명한 한계가 있음이 제기되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모의 환자/표준 환자를 이용하는 방법과 실제 상황과 유사한 모형을 이용한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실습형태가 대안으로 제시 되어왔다[4].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 많은 간호교육 기관에서 기존의 임상실습 중심 실습 교육에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simulation-based education)과 임상실습을 병행하는 교육방법으로 전환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Oermann MH, Gaberson KB. Evaluation and testing in nursing education.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9. 

  2. Kim JH, Park IH, Shin S. Systematic review of Korean studies on simulation with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3):307-319.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3.307 

  3. Cho MH, Kwon IS.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education. 2007;13(2):143-154. 

  4. Lee SO, Eom M, Lee JH. Use of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Education. 2007;13(1):90-94. 

  5. Park KO, Ahn YM, Kang NR, Lee MJ, Sohn M.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 and student nurse stress index using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Modules for asthma and type 1 diabet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2):85-93. http://dx.doi.org/10.4094/chnr.2013.19.2.85 

  6. Gardner R, Raemer DB. Simulation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2008;35(1):97-127. http://dx.doi.org/10.1016/j.ogc.2007.12.008 

  7. Wilford A, Doyle TJ. Integrating simulation training into the nursing curriculum.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06;15(17):926-930. http://dx.doi.org/10.12968/bjon.2006.15.17.21907 

  8. Meyer MN, Connors H,Hou Q, Gajewski B. The effect of simulation on clinical performance: A junior nursing student clinical comparison study. Simulation in Healthcare. 2011;6(5):269-277. http://dx.doi.org/10.1097/SIH.0b013e318223a048 

  9. Lee SJ, Park YM, Noh SM. The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with hybrid model for nursing students on nursing performance ability and self confidenc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2):170-182. http://dx.doi.org/10.7475/kjan.2013.25.2.170 

  10. Hur HK, Roh YS. Effects of a simulation based clinical reasoning practice program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5):574-584. http://dx.doi.org/10.7475/kjan.2013.25.5.574 

  11. Lee WS, Kim M. Effects and adequ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of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4):433-443. http://dx.doi.org/10.4040/jkan.2011.41.4.433 

  12. Willhaus J, Averette M, Gates M, Jackson J, Windnagel S. Proactive policy planning for unexpected student distress during simulation. Nurse Educator. 2014;39(5):232-235. http://dx.doi.org/10.1097/NNE.0000000000000062 

  13. Lasater K. High-fidelity si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ment: Students' experien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7;46(6):269-276. 

  14. Lee JH, Kim SS, Yeo KS, Cho SJ, Kim HL. Experienc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high-fidelity simulation education: A focus group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9;15(2):183-193. http://dx.doi.org/10.5977/JKASNE.2009.15.2.183 

  15. Lee Y, Joeng, J. The relationships with academic self efficacy and test anxie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al research. 2015;38:57-75. 

  16. Yum SC, Park HJ. How perfectionism relates to test anxiety: Testing a mediation model of academic self-efficacy in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05;2(1):19-35. 

  17. Ha YJ, Ha JH.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among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chievement on a base of e-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11;17(2):197-217. 

  18. Yucha CB, Kowalski S, Cross C. Student 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Home hospital program.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9;48(11):631-637. http://dx.doi.org/10.3928/01484834-20090828-05 

  19. Kim JT, Shin DK.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New Medical Journal. 1978;21(11):69-75. 

  20. Glozman J. Communication disorders and personality. Netherland: Springer; 2004. 

  21. Quek KF, Low WY, Razack AH, Loh CS, Chua CB.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mong urological patients: A Malaysian study. Medical Journal of Malaysia. 2004;59(2):258-267. 

  22. Levett-Jones T, McCoy M, Lapkin S, Noble D, Hoffman K, Dempsey J, et al.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satisfaction with simulation experience scale. Nurse Education Today. 2011;31(7):705-710. http://dx.doi.org/10.1016/j.nedt.2011.01.004 

  23. Roh YS, Issenberg SB, Chung HS, Kim SS.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uscitation self-efficacy scale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7):1079-1086. http://dx.doi.org/10.4040/jkan.2012.42.7.1079 

  24. Park JM.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 and retention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6. 

  25. de Souza Teixeira CR, Kusumota L, Alves Pereira MC, Merizio Martins Braga FT, Pirani Gaioso V, Mara Zamarioli C, et al. Anxiety and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in regard to assessment via clinical simulations in the classroom versus filmed assessments. Investigacion y Educacion en Enfermeria. 2014;32(2):270-279. http://dx.doi.org/10.1590/S0120-53072014000200010 

  26. Elfrink VL, Nininger J, Rohig L, Lee J. The case for group planning in human patient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09;30(2):83-86. 

  27. Hutchinson TL, Janiszewski Goodin H. Nursing student anxiety as a context for teaching/learning.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013;31(1):19-24. http://dx.doi.org/10.1177/0898010112462067 

  28. Sung JH, Lee YS, Lee KH. Individual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est anxiety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3):571-582. 

  29. Kim YH. Relationship of self efficacy, self-directedness and practice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3):307-3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