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체성 지향을 위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정책적 쟁점
An Analysis of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 by the Framework of Output Analysis and Policy Issu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 2016년, pp.53 - 63  

배화숙 (부산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에서 비중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 초점을 맞추고 의미 있는 발전을 위해 필요한 논의가 무엇인가를 찾고자 하였다. 산물분석 틀을 이용하여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내용을 분석하고 사업을 구성하는 사회적 선택의 근거가 되는 가치를 축으로 분석하였다.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내용과 가치 분석을 토대로 도출한 정책적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은 지금보다 더 '지역'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둘째, 시민의 개별성에 초점을 맞추는 사회서비스가 더 중요해질수록 주민참여에 기반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의 '공동체 형성'과 관련하여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목표 수정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역주민의 의사결정 통로 부재, 소득 기준 대상 선정, 사업명칭에서 '투자'라는 용어의 적절성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iscuss what is needed for meaningful development of social service, focusing on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CSIP). The contents of CSIP were analyzed on applying the Analytic Framework by N. Gilbert and H. Specht and the values that were the basis of social choice. Ba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산물분석을 토대로 사회서비스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궁극적으로 지향해야할 방향을 모색하는 전 단계로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운영과정에서 논의되어야 할 정책적 쟁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사회서비스의 지향점으로서 사회서비스의 공공성, 공동체성을 주제로 한 연구 중 이해진·김철규(2014)는 지역사회문제 해결과 사회통합 등 공익추구를 목적으로 정부와 시민사회의 협력과 공공자원을 활용하여 민주적 운영과 책임성에 기반을 둔 양질의 사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와 공급자 간 상호신뢰를 통해 보편적 이해당사자들의 욕구와 지역사회의 필요를 실현하는 과정으로 공공성을 규정하였다[10]. 그리고 사회서비스의 시장화와 지역사회복지 서비스의 공공성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복지 활성화를 주장한다.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정책 내용을 구성하는 사회적 선택의 이유를 설명하게 될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먼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사회적 선택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할당 원리, 급여형태, 재원, 전달전략 등 산물분석 틀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산물분석 결과의 내용을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이 지향하는 가치와 운영 과정에서의 현실적 차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분석 자료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 대한 정부 지침 자료, 연구기관 보고서, 학술 논문 등을 검토하였다.
  • 지역화란 사회서비스를 개발하고 공급하는 과정에 서비스의 생산과 소비가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지역 특성의 반영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수혜자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의 문제 발견과 해결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서비스 프로그램은 예산 범위와 중앙정부의 가이드라인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주민이 스스로 지역문제를 규정하고 문제 해결 노력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내용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목표를 재발견하기 위해 탐색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산물분석을 토대로 사회서비스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궁극적으로 지향해야할 방향을 모색하는 전 단계로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운영과정에서 논의되어야 할 정책적 쟁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다음으로 명시적 목표와 별개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은 공동체성, 지역화 등의 가치에 영향을 받는가 살펴보고자 한다. 지역사회서비스의 할당 기반과 전달 전략은 공동체성의 가치에 의해 영향을 받은 사회적 선택이라고 보기 어렵다.
  •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에서 그 비중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대상으로 하여 사업의 목표와 사업 내용을 구성하는 사회적 선택의 배경이 되는 가치에 초점을 맞추고 사회보장의 주요 영역으로서 사회서비스의 의미 있는 발전을 위해 필요로 하는 논의가 무엇인가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물분석틀을 이용하여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와 함께 각 차원에서 사회적 선택의 이유를 보여줄 수 있는 가치를 축으로 분석하였다.
  •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진 본 연구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이 다양한 사회적 위험의 증가와 욕구의 다변화 속에서 적합하게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논의가 무엇인가 라는 질문으로 출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내용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목표를 재발견하기 위해 탐색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산물분석을 토대로 사회서비스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사회서비스를 포함하여 사회복지정책은 단순히 기술적인 것이 아니라 가치와 신념의 영향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선택과 대안의 근거가 되는 사회적 가치를 축으로 고찰하고자 하는데[17], 사회서비스의 핵심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사회연대를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 적용하여 공동체성, 지역화와 관련하여 정책 쟁점을 도출하고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이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운영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함의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위 분석결과를 통해 사회복지 고유의 가치인 사회 연대와 관련하여 공동체성과 지역화를 기준으로 검토하고 가치 실현을 위해 필요한 내용과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산물과의 간격을 확인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쟁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동체성 지향을 위해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 쟁점은 다음과 같다.
  •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사회적 취약계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이 의도했거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재검토하고 사회서비스의 본래 목적에 부합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전제로 논의해야 할 쟁점을 찾고자 하였다. 사회서비스와 관련된 기존 논의가 제도를 구성하는 산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면 본 연구는 주요 영역으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사회복지 가치를 실현하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산물보다는 오히려 출발점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효과적인 사업 수행을 위해 적정한 자원배분과 성과측정이 필요하지만 앞서 지역이 갖는 공동체성에 새롭게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에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서비스의 가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사업 수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논의해야 할 쟁점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 그리고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기관은 시·도 사회서비스지원단이다. 지역사회서비스사업의 체계적인 관리와 사회서비스의 품질 향상 및 지역밀착형 조직의 필요에 따라 설립된 서비스지원단은 수요의 다양화를 위해 사업개발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안을 모색하는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제공기관 직무교육, 서비스 제공 인력의 경력과 자격증, 이용자 수 등 정보 공개, 지역사회서비스 홍보 등을 수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 개정된 사회보장법에서는 사회서비스를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기존 취약계층 보호를 중심으로 했던 사회서비스는 2012년 개정된 사회보장법에서는 그 개념을 확대하여 상담, 재활, 돌봄, 정보의 제공, 관련 시설 이용, 역량 개발, 사회참여 지원 등을 통하여 국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지원하는 제도로 정의하였다. 법조항에 의하면 사회보험과 공공부조의 범위 밖은 모두 사회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중 보건복지부 소관으로 명시적 바우처를적용하는 사업은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발달재활서비스 등 8대 사업이 있다.
기존 사회보장제도와 비교하여 사회서비스의 확대는 무엇인가? 사회보장기본법 개정에서 사회서비스의 폭 넓은 정의는 이러한 변화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기존 사회보장제도가 구 사회위험에 대한 기본적 보장이라면 사회서비스의 확대는 다양한 욕구에 대하여 최소 수준을 넘어서서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에게 사업 기획 및 집행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부여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지방자치단체에게 사업 기획 및 집행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부여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중앙정부 중심의 공급체계는 주민의 다양한 서비스 필요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음을 인정하고 각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잠재적인 서비스 이용자인 지역주민을 중심에 두는 공급체계로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포괄보조형태 전환이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목표 달성에 실질적으로기여할 것인가에 대해, 국민 삶의 질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영역으로서 사회서비스가 확대되는 가운데 프로그램 내용과 운영구조가 묵시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목표를 달성하게 하는가, 그리고 명시적인 사업 목표를 성취하고 있는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Guide to Investment in Regional Social Service, http://www.socialservice.or.kr (accessed Aug. 28, 2015) 

  2. E. J. Kim, "Decentralization of social service finance and policy task",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18, No. 1, pp.219-241, 2014. 

  3. H. Y. Kim, "Growing Disparities in Social Labor: the Debate on Industrialization of Social Servic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25, pp.115-141, 2010. 

  4. S. K. Park, "Exploratory Approach to the Regional Differences of Social Service and Accessibilit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216, pp.65-82, 2014. 

  5. J. H. Kim, "A Study on th Publicness Crisis of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Focused on the Legitimacy Crisis",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 24, No. 4, pp.187-208, 2014. 

  6. J. W. Won, M. G. Yoon, K. K. Le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Social Service Budget and Program Development,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7. E. J. Kim,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Provision Agent in Social Care Service",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 25, No. 1, pp.169-195, 2014. 

  8. Y. J. Yoon, Social Service Policy, Nanumeuizip, 2011. 

  9. H. J. Nam, "The Crisis of Solidarity and its Overcome in Context of Civil Society and Social Justice-in the View of E. Durkheim, J. Habermas, J. Rawls and M. Walzer-",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Vol. 27, No. 4, pp.137-164, 2011. 

  10. H. J. Lee, C. K. Kim, "The Implications of Social Cooperatives as a New Agency for Community Welfare Practice",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51, pp.155-189, 2014. 

  11. Hirano Takayuki, Community Welfare in Janpan-Policy and Methods-(tran. Y. J. Kim, Y. M. Park), Hakjisa, 2012. 

  12. S. W. Hong, "A new Social Change and Responding Improvement of Community Social Service",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Vol. 10, pp.147-171, 2014. 

  13. M. Y. Kim, S. J. Park, H. S. Kum, "The Influence of Service-Provider's Competition and Consumer's Choice on Social Service Satisfaction: Focusing on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grams Service for Children",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15, No. 4, pp.153-176, 2011. 

  14. C. H. Shin,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Service Satisfaction Using Vouch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4, No. 4, pp.137-161, 2012. 

  15. M. H. Han, "An Empirical Study on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gram: Focusing on Effects of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for the Children in Vulnerable Famil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2, No. 1, pp.177-200, 2012. 

  16. D. A. Byeon, Y. S. Kang, "A Study on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Organizational Justice Community Social Investment Service Workers Recognize: Focusing on the Community Social Investment Service of Jeonbuk Local Autonomous Form",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Vol. 15, No. 4, pp.345-368, 2013. 

  17. Neil Gilbert and Paul Terrell.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6th ed.(tran. Chan-Seob Nam, Tae Kyun Yoo), Nanumeuizip, 2007. 

  18. M. S. Kim, K. H. Kim, S. Y. Yang, B. Ryou, "Examining the Promotive Factors of Service Collaboration in Community-based Child Car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Vol. 49, pp.85-115, 2015. 

  19. B. J. Jeon, A. K. Han, "Predictors of Social Service Utilization of Elderly Using the Anderson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8, pp.19-27,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