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용편익 분석을 통한 소하천유역의 저류조 설치 타당성 분석연구
Using Cost-Benefit Analysis for a Feasibility Study on Constructing a Storage Facility in the Small River Basin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6 no.1, 2016년, pp.135 - 141  

서세덕 (충청권 국토교통기술 지역거점센터) ,  이승욱 (충청권 국토교통기술 지역거점센터) ,  박형근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소하천유역의 홍수와 가뭄 예방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저류조에 대하여 비용 편익분석을 통해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소하천유역의 홍수예방이 가능한 저류조 용량에 따른 설치비용을 도출하고, 저류조 설치를 통해 도출될 수 있는 편익요소인 피해금액 및 복구금액, 가뭄예방으로 인한 요소별 편익비용을 적용하여 비용 편익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다목적 저류조 설치의 타당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세부 연구결과로 자연재해의 피해금액 예측 등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installing a storage facility and make recommendations based on a cost-benefit analysis regarding the installation of a storage facility capable of preventing both floods and droughts. The capacity and installation costs are specified for the storage f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예방이 가능한 저류조가 설치되었을 경우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여 다목적 저류조 설치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과거 실제 홍수피해가 발생한 대상지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수해로 인한 피해금액을 산출하기 위하여 재해연보의 자료를 바탕으로 피해 요소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R2값이 모두 0.

가설 설정

  • 2013년 통계청 보고에 의하면 논 1ha당 재배되는 쌀의 평균생산량은 508kg이며, 2015년 현재 백미의 거래금액은 20kg당 40,000원이다. 앞서 산출한 46ha에서 재배 가능한 쌀의 양은 23,368kg이며 금액으로는 46,763천원을 가뭄에도 보호할 수 있는 금액으로 가정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시 침수피해가 발생하면 피해 금액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홍수시 침수피해는 가옥피해 뿐만 아니라 농경지, 도로, 하천, 학교시설, 수리시설, 사방, 개인시설, 축사시설, 비닐하우스 시설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피해 시설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단순 면적×피해액은 정확한 피해 금액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케이스스터디)본 연구에서는 지난 2010~2014년까지의 재해연보 시·군·구별 피해자료를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각 시설별로 면적/개소 등의 피해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회귀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요소별로 60~150개이다.
비용편익 분석은 무엇인가? 비용편익 분석은 사업에 투입되는 비용과 그 사업을 시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편익항목을 금전적 단위로 계량화하고 할인율(discountrate)을 적용하여 현재가치(present value)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평가지표인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및 편익-비용비(benefit-cost ratio)를 구하여 경제성을 분석하는 한편, 미래의 다양한 변동 상황이 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는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을 실시하여 가장 올바른 대안을 선정하는 분석방법이다.
비용편익분석의 한계는 무엇인가?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Choi (2002)는‘개발사업의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평가 : 분석과정과 활용방안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국가주도의 개발사업에서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용편익분석의 유용성과 문제점을 사례분석을 통해 밝히고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비용편익분석이 사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유용한 기법인 것은 사실이지만,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다면 그 유용성이 반감됨은 물론, 경제성 없는 사업을 채택하게 하는 등 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C. I. (2010). "Estimation of the drought damages with the case of taebaek."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ISSN, Vol. 45, No. 4, pp. 171-181. 

  2. Choi, Y. H. (2002). "Study on cost-benefit analysis for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 Practical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Yonsei University Graduate Institude, mater Thesis. pp. 1-4. 

  3. Jang, J. R., Lee, S. H., Cho, Y. K. and Choi, J. Y. (2014). "A calculation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according to the farmland developing plan on the saemangeum tidal land reclamation project." Korea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Vol. 21, No. 1, pp. 1-16. 

  4. Jang, O. J. and Kim, Y. O. (2009). "Flood risk estimation using regional regression analysis."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9, No. 4, pp. 71-80. 

  5. Kim, B. S. (2004). "Study on environmentally adjusted cost-benefit analysis to public project : In the Case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Korea University Graduate Institude, mater Thesis. pp. 1-3. 

  6.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02). Construction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weather information, pp. 1-2. 

  7. Kwak, J. W., Kim, D. G., Lee, J. S. and Kim, H. S. (2012).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using copula theory."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2, No. 3B, pp. 161-168. 

  8. Kyeongnam development institute (2008). Drought study and Countermeasure in Kyeongnam, pp. 3-4. 

  9. Lee, S. H., Yoon, S. S., Maeng, S. J., Ryoo, K. S. and Joo, H. K. (2003). "Estimation of drought rainfall by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L and LH-Mo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g Agricultural Engineers, Vol. 45, No. 5, pp. 97-109. 

  10. Lee, W. B., Kim, J. H., Kang, S. I., Jeong, H. C., Moon, H. S. and Hyun, C. T. (2012). "Installation criterion for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of multi-family housings using cost-benefit analysi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8, No. 10, pp. 121-130 (in Korean). 

  1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Disaster years (2005-2014). 

  12. Mun, J. S. and Han, M. Y. (2009) "An economical analysis of the rainwater harvesting (RWH) system at the S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5, No. 12, pp. 173-181. 

  13. Oh, T. S., Moon, Y. I., Kim, M. S. and Park, M. S. (2009). "Division of drought area using continuous dry-day and cluster analysis in Korea." Journal of the KWRA, pp. 1551-1554.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4). cultivation method by direct sowing(seeding) manual, pp. 2-6. 

  15. Seo, S. S., Kim, D. G., Lee, K. H., KIm, H. S. and Kim, T. W. (2009). "Estimation of drought damage based on agricultural and domestic water use." Vol. 11, No. 2, pp. 77-87. 

  16. So, J. M., Shon, K. H. and Bae, D. H. (2015).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drought damage estimation technique using drought characteristic factors."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2, pp. 93-101. 

  17. Statistics, rise output survey results (2013). 

  18. Yu, J. S., Kang, I. S., Parkl, J. I. and Shin, H. W. (1999). "Point drought frequency analysis by the method of L-Moment." Production Technology Research Center, Vol. 15, pp. 183-18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