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학교 유휴시설 활성화 방안 및 공간적 전략 - 부산광역시 동래구를 대상으로 -
The Practical Use of Unused Facil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Spatial Strategy to Build Learning City - Focused on Dongnae-Gu in Busan -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6 no.1, 2016년, pp.151 - 156  

강윤원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종구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손지현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원하는 것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학습 도시의 구현은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높여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습 도시 구현을 위해서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 현실에서는 그 공간의 부족과 불균형화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시설의 공간 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간 서비스 취약지역에 초등학교의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공간적 불균형화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현재는 학교의 소극적인 참여로 그 효과가 미비하긴 하지만, 추후 학교의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해준다면 충분히 공간적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king a learning city which allows unlimited accessibility to a chance of learning plays an important role to accomplish individuals'self-realizaton and advance quality of life so that improve whole competition of the city. Although securing enough space is necessary to realize the learning cit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적 서비스의 보완방안으로 초등학교를 활용하는 이유는 우선 학교는 공적자원으로서 강제적이지는 않지만 주민들에게 개방을 해야 하는 당위성이 있으며, 중·고등학교의 경우 야간자율학습및 방과 후 수업 등으로 인해 유휴시설의 제공이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주민들이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초등학교를 활용하여 균형 있는 공간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정된 학교들을 대상으로 활용 가능한 유휴학습공간을 조사하고 이를 포함하여 공간 데이터를 구축한다.
  • 또한 학습시설 및 학교 유휴시설을 활용하기에 앞서 유휴시설에 대한 실제 현황 및 공간적 데이터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들에게 학습 및 커뮤니티를 위한 서비스 공간을 공간적으로 균형 있게 제공하고, 연구의 결과가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상세한 공간적 전략을 제시하여 본 연구의 방법론이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과 커뮤니티 활동을 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전략을 세우는 데에 있다.
  • 그 결과, 유휴시설 서비스 양과 공간적 불균형이 나타났으며, 500m 내에서 서비스를 못 받는 지역도 나타났다.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초등학교의 제공가능한 유휴시설을 활용해보고자하였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취약지역에 대한 보완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현재 학교의 유지, 관리 및 학생들의 안전문제 때문에 적극적으로 유휴시설을 제공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그 효과가 크지는 않았다.
  •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을 비롯하여 문화시설(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 관공서, 사회복지시설, 학교 등에 있는 유휴 공간 중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활용 가능하며, 공적인 성격을 가지는 시설들을 활용하여 주민 커뮤니티의 거점공간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주민을 재교육하고, 교육과 거점 활동들을 통하여 주민 참여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활동이 가능한 공간을 전략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현재 사용 가능한 학습 공간의 분포를 확인하고, 사용 가능한 학습공간이 균등하게 배분되지 않은 즉, 서비스 취약지역을 찾아 이를 초등학교의 유휴시설로 보완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적으로 균등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 중·고등학교는 야간자율학습 및 방과 후 수업으로 인해 유휴학습 공간 제공이 극히 제한적이므로, 동래구 22개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공간적 서비스 취약지역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 현재 동래구에서 제공하고 있는 평생생교육기관을 비롯하여 문화시설, 관공서,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주민교육을 위해 제공하고 있는 유휴시설의 양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 취약지역을 도출해보았다. 그 결과, 유휴시설 서비스 양과 공간적 불균형이 나타났으며, 500m 내에서 서비스를 못 받는 지역도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도시란 무엇인가요?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공공및 교육기관들의 유휴학습시설을 이용한 학습도시의 구현이 필요한 시점이다. 학습도시란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원하는 것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학습 사회를 만들어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높여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도시와 도시 주민이 함께 성장 발전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학습도시는 1970년대 OECD에서 시작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학습도시는 일본의 시즈오카현 카케카와시다.
세계 최초의 학습도시는 어디인가요? 학습도시란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원하는 것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학습 사회를 만들어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높여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도시와 도시 주민이 함께 성장 발전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학습도시는 1970년대 OECD에서 시작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학습도시는 일본의 시즈오카현 카케카와시다. 우리나라는 1999년 광명시의 자발적인 학습도시 선언으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학습도시는 어디인가요? 학습도시는 1970년대 OECD에서 시작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학습도시는 일본의 시즈오카현 카케카와시다. 우리나라는 1999년 광명시의 자발적인 학습도시 선언으로 시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ung, J. S. (2008).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bout diversion of surplus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rea -Concentrated on the modernized elementary model school in chonnam area-."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ol. 15, No. 6, pp. 30-38. 

  2. Kim, S. K. (2000). "A cas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unused classrooms between japapese and Korean primary schools."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ol. 7, No. 2, pp. 23-35. 

  3. Lee, J. R. (2012). "A study on ways to utilize inactive faciliti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ocusing on abolition schools with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districts-." Korea Institute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Vol. 11, No. 3, pp. 1-12. 

  4. Lee, M. K. (2011). Study on how to improve welfare for old people through the utilization of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Master degree,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oung Buk (in Korean). 

  5. Park, H. Y. (2009). "A study on an evaluation of comparative efficiency analysis of lifelong learning cities."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 15, No. 2, pp. 1-28. 

  6. Park, J. H. (2012). "An analysis on pedagogical meaning of G. Simmel's discourse on the space - for implication of the discourses on lifelong learning city, creative city & village making-."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Vol. 7, No. 4, pp. 91-106. 

  7. Shin, D. S. (2010).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unused classrooms on the elementary school in urban area by case study."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010, No. 1, pp. 82-85. 

  8. Tchah, C. U. (2009). "A Basic research for using school buildings as center of community facility :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Complex Facility by Remodeling."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No. 6(2009-12), pp. 1-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