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패션 분야 연구 동향 - 대학원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of Fashion Field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 Focused on Graduate Degree Thesis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1, 2016년, pp.58 - 72  

워이페이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학과) ,  박은경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mid 2000s, a large number of Chinese students have come to Korea to stud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earch trend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the fashion field in Korea. For this study, a total of 235 graduate degree theses on fashion written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from 19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패션 분야 관련 대학원 학위논문을 검색하기 위해 ‘패션’, ‘의류’, ‘복식’, ‘의복’, ‘의상’ 등을 검색어로 하여 석사, 박사 학위논문을 검색하였다.
  •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 패션관련 대학원 학위 논문의 연구중점대상 국가를 알기 위해 각 논문의 연구 대상을 세분하여 크게 다섯 범주로 분류하였다[Table 6]. 첫째 중국에 관한 연구, 둘째 한국에 관한 연구, 셋째 중국과 한국, 중국과 외국, 한국ㆍ중국ㆍ타국의 비교 연구, 넷째 외국에 관한 연구, 다섯째 기타로 나누었다.
  • 1992년 한ㆍ중 수교이후 현재까지 한국 내 중국인 유학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00년대 중반 이후 패션산업에서 한국과 중국의 상호 영향이 증대하면서 패션 분야의 학위 취득자 수도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내 중국인 유학생의 패션 관련 연구의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중점 연구 분야를 확인하고 우리나라와 중국의 패션 관련 학문과 산업의 발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이 연구들은 주로 국내 학회지를 대상으로 하였고 국내 학회지와 해외 학술지의 패션 분야 연구 동향을 비교한 연구도 있었으나, 중국인에 의한 연구를 대상으로 한 것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대학원 학생의 패션 분야 학위논문 주요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현황을 고찰하고, 패션디자인/미학 분야의 세분화된 연구 현황을 분석하여 최근에 수행된 패션디자인/미학 분야 연구 동향 연구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국내외 패션 연구자들에게 향후 연구 설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최근의 선행연구에서 패션디자인/미학 분야를 다루었기 때문에 본 연구도 이 분야를 세분화하여 결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패션디자인/미학 분야의 연구 경향을 [Table 7]처럼 패션디자인 개발, 패션미학, 패션디자인 요소와 유행, 뷰티, 패션일러스트레이션 5개 범주로 세분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이 10년동안 약 10배가량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과 중국은 지난 20년 동안 인적교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였고 교육부문의 교류에 있어서도 지난 10년 동안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이 약 10배가량 증가하였다. 그 이유는 중국내 해외 유학 열풍과 한국의 상대적으로 저렴한 학비, 한국과 중국의 지리적 근접성, 한류열풍으로 인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의 증대를 들 수 있다. 또한 한국과의 경제교류 확대와,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의 증가에 따라 한국기업에 취업하기를 원하는 중국인의 증가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중국학생들은 선호하는 유학 대상 국가로 한국을 미국에 이어 2위로 인식하였다(Kim, Kim, & Lee, 2013).
패션 산업 측면에서 볼 때 최근 중국 시장은 어떠한가? 패션 산업 측면에서 볼 때 최근의 중국 시장은 연평균 10%의 고도성장을 이루어낸 폭발적인 성장 잠재력을 가진 시장이다. 2011년 중국의 의류 총 소비액은 약 100조원으로 세계 최대의 소비시장으로 부상하였고 중국의 방대한 내수 시장에 대한 인식으로 한국 의류기업의 중국진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중국학생들이 선호하는 유학 대상 국가 중 우리나라는 몇 위인가? 또한 한국과의 경제교류 확대와,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의 증가에 따라 한국기업에 취업하기를 원하는 중국인의 증가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중국학생들은 선호하는 유학 대상 국가로 한국을 미국에 이어 2위로 인식하였다(Kim, Kim, & Lee, 2013).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학위 취득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e, J. (2012). A study on the foreign market entry of Korean fashion industry: focusing on the China market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0b3137171a428ec5ffe0bdc3ef48d419#redirect. 29-33. 

  2. Choi, H. J. (2012). A survey on the research trends of fashion design, aesthetic field in Korea: focused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001-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3), 152-162. doi:10.7233/jksc.2012.62.3.152 

  3. Dong, H. & Shen, X. (2014, December 11). China: the biggest exporter of overseas students. People's Daily Overseas Edition. Retrieved from http://paper.people.com.cn/rmrbhwb/html/2014-12/11/content_1509006.htm 

  4. Hahn, S. & Kim, Y. (2014). The research trends of fashion studies and fashion design.aesthetics fashion history field: focused on 2004-2013.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4), 579-594. doi: 10.7741/rjcc.2014.22.4.579 

  5. Jung, C. J., Park, S. J., & Hwang, S. J. (1991). Changing focus and development of Korean clothing and textiles: 1959-199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5(1), 28-37. 

  6. Kim, C. H. (1999). A survey on Korean clothing and textiles in nineties (1990-1998): focused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6(0), 133-142. 

  7. Kim, S. P., Kim, S. J., & Lee, M. (2013). Effects of national brand image, school brand image on intention of studying abroad: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korean wave and involvement. Journal of Korea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38(1), 2. 

  8. Korea Immigration Service Ministry of Justice (2011. June). 2010 Korea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2010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PDF document]. Retrieved from http://www.moj.go.kr/doc_html/attach/imm/f2011//20110720122960_2_2010%C3%E2%C0%D4%B1%B9%BF%DC%B1%B9%C0%CE%C1%A4%C3%A5%C5%EB%B0%E8%BF%AC%BA%B8%28%C3%A5%C0%DA%29.pdf.files/PDFBook.html, 518-521. 

  9. Korea Immigration Service Ministry of Justice (2012. July). 2011 Korea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2011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PDF document]. Retrieved from http://www.moj.go.kr/HP/COM/bbs_003/ListShowData.do?strNbodCdnoti0096&strWrtNo123&strAnsNoA&strOrgGbnCd104000&strRtnURLIMM_6050&strAllOrgYnN&strThisPage1&strFilePathimm/ 520-523. 

  10. Korea Immigration Service Ministry of Justice (2013. June). 2012 Korea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2012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PDF document]. Retrieved from http://www.moj.go.kr/HP/COM/bbs_003/ListShowData.do?strNbodCdnoti0096&strWrtNo124&strAnsNoA&strOrgGbnCd104000&strRtnURLIMM_6050&strAllOrgYnN&strThisPage1&strFilePathimm/ 514-517. 

  11. Korea Immigration Service Ministry of Justice (2014. May). 2013 Korea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2013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PDF document]. Retrieved from http://www.moj.go.kr/HP/COM/bbs_003/ListShowData.do?strNbodCdnoti0096&strWrtNo126&strAnsNoA&strOrgGbnCd104000&strRtnURLIMM_6050&strAllOrgYnN&strThisPage1&strFilePathimm/ 524-527. 

  12. Lee, M. S. (2002). A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4), 97-109. 

  13. Rha, S. I., Lee, J. S. & Bae, J. H. (2000). A state-of-the art review of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in Korea: 1991-1999.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8(6), 853-863. 

  14. Seong, H. K., Lee, O. H. & Yu, H. K. (1994). Analysis of articles and citation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5), 692-703. 

  15. Shin, M. J. & Nam, Y. S. (2011). Analysis of articles on design, aesthetics and beauty aspects in domestic men's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3), 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