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한 향토음식에 관한 기호도 및 인지도 분석을 통한 향토음식 상품화 전략 - 서울·경기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

Commercialization Strategy Based on Analysis of Domestic Consumers' Preference and Awareness on South and North Korean Regional Cuisine - Research on Consum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6, 2016년, pp.734 - 744  

백은진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홍완수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 and awareness of consumers residing in the capital area with respect to South and North Korean regional cuisine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among adults over the 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일반인을 대상으로 남북한 향토음식에 대한 기호도와 인지도를 조사하고, 향토음식의 국내 관광 상품화 및 세계상품화 전략의 인식을 분석하여 향토음식의 국·내외적 관광 상품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우리 향토음식에 대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향토음식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로 관광 상품화에 성공하면 지역 식재료(local food)의 소비, 국산 농산물 가공식품의 해외 수출, 서비스 산업의 육성 및 고용창출, 외식기업의 수익 증대로 인한 지역의 경제적 부가가치를 함께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Lee YG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비자를 대상으로 남북한 향토음식에 대한 기호도와 인지도를 조사하고 향토음식의 국내 관광 상품화 및 세계 상품화 전략을 위한 소비자분석을 통해 향토음식 세계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식 세계화 사업을 하기 위해 정부에서 하는 노력은? 우리 정부는 2017년까지 한식을 ‘세계 5대 음식’으로 육성하기 위해 ‘한식 세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한식세계화 비전 전략’에 의하면 해외 한식당의 수를 2017년까지 40,000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 공사는 현재 해외 한식당을 대상으로 외식업체 운영관리, 서비스 교육, 위생관리, 조리교육 및 메뉴개발 등 다양한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있다(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2012).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주관한 2015년 해외 한식당 종사자교육의 ‘런던국가’ 보고서에 의하면 현지 교육을 맡은 전문가들은 무엇보다도 한식의 역사와 전통, 한식의 조리기술, 한식의 종류, 한식의 맛 등 한식의 과학적 우수성과 한식 세계화의 비전 등을 강조하였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이유는? 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로 지구촌이 하나 되는 시대에 경제성장과 여성의 사회 활동증가, 주 5일제 근무 등으로 사람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은 고조되고 있다. 인터넷, SNS, 스마트폰 등 정보의 바다 속에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관심만 가지면 전 세계의 식생활문화 및 음식, 관광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Choi GE & An HJ 2014).
건강 지향 현상의 증가가 가져온 식생활의 변화는? 세계적으로는 건강 지향 현상이 증가하면서 음식 선호 패턴이 패스트푸드(fast food)에서 슬로우푸드(slow food) 로 바뀌면서 발효음식, 유기농 건강식의 웰빙 식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김치가 요구르트, 올리브유, 렌즈콩, 낫또와 함께 세계 5대 건강식품의 하나로 선정되면서 한식의 우수성에 대한 세계인들의 관심이 날로 고조되고 있다(Kim WH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SJ, Yoon JY. 2015. Tourists' intentions to consume Jeju's local foods and opinions for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Korean J Food Cook Sci 31(2):193-199. 

  2. Bae ES. 2010. Study on the Korea tourism local food globalization, commercialization plans and strategies. Humanit Conten Assoc 18:172-186. 

  3. Choi GE, An HJ. 2014. Recent analysis of tourism trends and forecasts. Korea Culture Tour Institute, Seoul, Korea. pp 131-132. 

  4. Hong SG. 2014.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globalization challenges of Korean food promotion.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p 1-73. 

  5. Hotel, Aviation and Tourism Education Foundation. 2015. Foreign of Korean restaurants education report (London). Seoul, Korea. p 40, 70. 

  6. Hwang HS, Han BY, Han BJ, Jung RN. 2011. Three generations wrote traditional food in Korea. Gyomoon, Paju, Korea. pp 51-59. 

  7. Jang SO, Woo ES. 2015. A study on consumer awareness, preference, and consumption behavior regarding local food-Focusing on Gyeongju area-. Korean J Culin Res 21(2): 154-170. 

  8. Jeong NW, Cha GH. 2009. Local food. Gyomoon Publishers, Paju, Korea. pp 12-29. 

  9. Jeong WS, Hwang SJ. 2014. A study on the percepti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local traditional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Kyungsan city-. Korean J Culin Res 20(1):120-132. 

  10. Jin YH. 2011. A study on recognition of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mong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service. Korean J Culin Res 17(5):57-73. 

  11. Kim SI, Park YJ, Kim SY, Chang HJ. 2013. A study on the Damyang area restaurants in bamboo food village. Korean J Food Cult 28(4):348-355. 

  12. Kim WH. 2010. In world health -The answer is in the world of health food, Sintobulyi. Health News 34(6):40-41. 

  13.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2012. Education of overseas Korean restaurant workers. Available from: http://www.at.or.kr/article/apko362000/view.action?articleId14783. Accessed September 19, 2012. 

  14.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6. Korea tourism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s://kto.visitkorea.or.kr/kor/notice/data/mast/monstat/board/view.kto?id427319&isNoticefalse&instanceId268&rnum1. Accessed November 24, 2016. 

  15. Lee EJ. 2008. Influences of globalization factors of Korean food on country image, attitudes and product buying intention toward Korea of Chinese and Japanese. Doctorate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 139. 

  16. Lee SI. 2012.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market vitalization method about tourism products of local food -Focusing on Gwangju and Jeonnam region- J Hotel Resort 11(2):101-123. 

  17. Lee YG. 2015. An analysis on the success factors of the village corporations: Based on the cases of the tourism village corporations.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Jeonnam, Korea. p 62. 

  18. Min KH.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foods and tourism merchandising in Gimje Area. Korea J Tour Hosp Res 24(3):295-309. 

  19. Min YH, Paik GS. 2010. A study perception of Kyung-Book local foods b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ook Sci 26(1): 72-78. 

  2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09. Korean Food Globalization. Available from: http://www.gg.go.kr/archives/2184177?ggd_actiondownload&ggd_obj_id2184178. Accessed March 23, 2016. 

  21. Na YG. 2013. Study on survey of recognition about Korean food globaliz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in Daejeon.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Korea. p 106. 

  22. Paik HY, Ahn MH, Kim BH, Kim NY. 2014. Study on preferences and perception of Koreans and non-Koreans residing in Korea regarding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4(2):155-165. 

  23. Park KT. 2011.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of native local foods -Centering around Gimhae, Gyeongnam province. Korean J Culin Res 17(2):98-110. 

  24. Park SB, Lee HJ, Kim HY, Hwang HS, Park DS, Hong WS. 2016. A study on domestic consumers' need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attributes for developing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Korean J Food Cook Sci 32(3):342-352. 

  25. Park SJ. 2009. A research for the plan how to develop traditional Korean foods into tourism products and globalization strategies. Master's thesis. Chodang University, Jeonnam, Korea. p 104. 

  26. Tourgo. 2016. World tourism index. Available from: https://know.tour.go.kr/stat/worldTourStatSummaryDis.do?enterCode1. Accessed November 24, 2016. 

  27. Yi NY, Lee JY, Kwak TK. 2015. A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of Korean restaurants perceived by worker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Korean J Food Cook Sci 31(1):72-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