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안 봉곡도요지 출토 흑유자기의 재료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Blackwares at Excavated from the Bonggok Kiln Site of Jinan-gun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2 no.4, 2016년, pp.549 - 560  

박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기술과학대학 보존과학과) ,  정광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기술과학대학 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안 봉곡도요지 출토 흑유자기에 대하여 과학적 분석과 재현실험으로 재료학적 특성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미시적 관찰과 물리적 특성, 화학조성 분석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재현실험은 분석결과에 따라 시판 흑유, 석간주 및 석회석을 사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단면을 관찰하였다. 물리적 특성은 자화 정도에 따라 일부 도편에서 차이를 보이며, 미시적 관찰에서 유약 내에 수지상 등의 결정 조직이 관찰되었다. 열분석에서 $1200^{\circ}C$ 내외에서 발열피크가 확인되고 결정구조분석에서 뮬라이트가 동정되어, 약 $1100{\sim}1200^{\circ}C$의 온도에서 소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약의 성분 조성은 타 지역 출토 흑유자기의 유약에 비하여 $Fe_2O_3$의 함량이 약 22%로 높게 나타나며, CaO의 함량은 약 9%로 낮게 나타난다. 재현실험에서 석간주와 석회석의 혼합비에 따라 유약층의 단면에서 출토 도편과 유사한 결정 조직을 이루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산화철이 용융, 응고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blackwares excavated from the Bonggok kiln site in Jinan-gun, Jeollabuk-do Province, South Korea, by scientific analyses and a reproduction experiment. Scientific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hysical properties,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까지 흑유자기는 조선시대 옹기나 도기에 포함된 개념으로 인식되어 연구되었으며, 대부분 흑유자기의 개념 혹은 용도를 밝히거나, 시기에 따른 흑유자기의 기종별 출토 양상이나 기형변화 등의 연구에 집중해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안 봉곡도요지에서 출토된 흑유자기의 특성을 물리, 화학적 분석과 미시적 관찰, 재현실험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 부피비중은 흡수율과 반비례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겉보기 비중과 부피비중의 차이에 따라 흡수율에 차이가 난다. 따라서 이러한 비중, 흡수율 및 기공률을 측정하여 흑유자기의 물리적 특성인 태토의 자화정도와 치밀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Table 1). 부피비중과 흡수율, 기공률은 평균적으로 각각 2.
  • 본 연구는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의 시료 제공을 통해 진행될 수 있었으므로 이에 깊이 감사드린다.
  • 본 연구는 진안 봉곡도요지 출토 흑유자기를 대상으로 가시적, 물리적, 화학적 분석 및 실험을 통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흑유자기의 제작특징을 밝혀 흑유자기에 대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로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 이상의 연구는 진안 봉곡도요지 출토 흑유자기의 특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흑유자기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에서 본 연구가 기초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원료의 상관성을 밝히기 위해 토양과 도편 태토의 미량원소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계처리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흑유자기의 유약층에 나타나는 특징이 소성온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실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유자기의 생산시기는 어떠한가? 흑유자기는 초기 청자가 제작되었던 전남 일대의 가마에서 부수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 전기의 분청사기 가마와 20세기 전반의 흑유자기 전소 가마까지 전시기에 걸쳐 고르게 생산되어 왔다. 조선 중·후기에 해당하는 흑유자기 가마에서 제작된 흑유자기는 대부분 백자와 함께 제작되었으며 전체 생산량 중에서 일부만 차지한다.
고려에 이어 조선시대에 제작된 흑유자기는 기형과 유색, 제작 방법에서 분청사기나 백자와 구분되는 독특한 특성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별도의 심도 있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는? 고려에 이어 조선시대에 제작된 흑유자기는 기형과 유색, 제작 방법에서 분청사기나 백자와 구분되는 독특한 특성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별도의 심도 있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조선시대 도자 연구가 분청사기와 백자에 집중되어 왔으며, 흑유자기는 확실한 편년작이 없고 연구 대상 자료도 매우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Seo, 2011). 최근 연구는 포천 길명리 가마터 출토 흑유자기와 백자에 대한 특성 분석(Koh and Kim, 2008) 등에 그치고 있어 흑유자기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 진안 봉곡도요지에서 출토된 흑유자기의 특성을 물리, 화학적 분석과 미시적 관찰, 재현실험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한 이유는? 최근까지 흑유자기는 조선시대 옹기나 도기에 포함된 개념으로 인식되어 연구되었으며, 대부분 흑유자기의 개념 혹은 용도를 밝히거나, 시기에 따른 흑유자기의 기종별 출토 양상이나 기형변화 등의 연구에 집중해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안 봉곡도요지에서 출토된 흑유자기의 특성을 물리, 화학적 분석과 미시적 관찰, 재현실험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Jeonju Cultural Heritage Institute, 2014, The Bonggok kiln site, Jinan-gun, Jeollabuk-do. Report of Research, 14. (in Korean) 

  2. Kang, M.G., Kang, H.S., Lee, H.S., Lee, S.H., Yoon, H.S. and Jang, K.H., 2006, Understanding of Korean art & culture. Yekyong, Seoul. (in Korean) 

  3. Kim, T.H., 2013, Production period of black-glazed porcelains in middle.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Hoseo Archaeological Society, 29, 182-206. (in Korean) 

  4. Koh, M.J. and Kim, G.H., 2008, Characteristics analysis of on blackware and whiteware at excavated kiln in Gilmyeong-ri Pocheon-si Gyeonggi-do,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2, 43-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Seo, J.Y., 2011, Joseon black-glazed porcelains: Their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documentary sources and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ancient kilns.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70, 159-1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