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자료를 이용한 동해안 냉수대의 시공간적 변화 분석 연구
Study on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cold water zone in the East Sea using satellite dat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2 no.6, 2016년, pp.703 - 719  

윤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양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ICT융합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여름철 동해안 냉수대의 시공간적 이동에 따른 변화 분석에 관한 것이다. 2013년 여름에 위성 및 현장자료(바람, 기온, 수온)를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 요인들에 기반을 둔 자료 분석을 시도하였다. 냉수대의 생성과 소멸의 영상을 분석하기 위해 AVISO 지형류 및 하루 동안의 천리안 해양관측위성(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엽력소 농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냉수대의 이동을 추적하기 위해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Sea Surface Temperature (AVHRR-SST) 자료를 사용하였다. 초여름에 냉수대가 발현하여 늦여름에 소멸한다는 것과 이 기간 동안 냉수대의 생성과 소멸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냉수대의 후속 영향으로 인해 늦여름에 엽력소 농도가 증가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changes with temporal and spatial movements of cold water events in summer season around the East Sea of Korea. Several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using satellite and in-situ (winds, air/sea surface temperatures) data in the summer s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지속적이고 강한 냉수대의 발생 요인 및 냉수대 이동 경향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냉수대 발생 이후의 환경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여 상호 연관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해양환경 변화의 분포를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냉수대 및 적조 등의 발생 및 이동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어장환경 및 해상안전관리에 활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 , 2014). 이 연구에서는 Fig. 1과 같이 동해연안을 중심으로 동해 일대에서 냉수대 발생이후의 환경변화에 대해 시공간적인 분포 및 이동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지속적이고 강한 냉수대의 발생 요인 및 냉수대 이동 경향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냉수대 발생 이후의 환경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여 상호 연관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9. (a) Comparison of SST and Ulleung bouy data (b) Direction and speed of wind data in Ulleung bou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서아프리카 해역에서 발생하는 용승과 우리나라 동해 연안에서 발생하는 용승을 비교하라. 페루, 칠레 등 북서아프리카의 해역에서 발생하는 용승은 어장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 주는 반면 우리나라 동해 연안에서 발생하는 용승은 연안 양식장에 하루 동안 3-5°C의 급격한 수온변화를 가져와 양식어류와 조류의 폐사를 일으킨다(Han et al., 1995).
냉수대란 무엇인가? 동해안은 해마다 하계에 냉수대가 발생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냉수대는 주변 해역보다 수온이 5°C 이상 차가운 해수가 출현하는 경우를 말하며, 국립수산과 학원은 냉수대의 영역이 확장되거나 변동이 예측되면 냉수대 경보를 발령한다. 이러한 냉수대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로 염분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용존산소량이 높은 북한한류(North Korean cold water; NKCW)의 영향이 제기되었다(Kim and Kim, 1983; Lee and Na, 1985).
논문의 저자가 여름철 동해안 냉수대의 시공간적 이동에 따른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또한, 냉수대의 이동을 추적하기 위해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Sea Surface Temperature (AVHRR-SST) 자료를 사용하였다. 초여름에 냉수대가 발현하여 늦여름에 소멸한다는 것과 이 기간 동안 냉수대의 생성과 소멸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냉수대의 후속 영향으로 인해 늦여름에 엽력소 농도가 증가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ang, Y.J., M.R. Park, D.Y. Kang, and B.K. Lee, 1999. Physiological Responses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n Series of Lowering Seawater Temperature Sharply and Continuous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Society, 32(5): 601-6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J.K., J.E. Min, J.H. Noh, T.H. Han, and S. Yoon, 2014. Harmful algal bloom (HAB) in the East Sea identified by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Harmful Algae, (39): 295-302. 

  3. Choi, Y.K., 2015. Upwelling in the southwest region of the East Sea in July, Proc. of Journal Korea Society Fisheries Technology, 51(2): 212-2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an, S.D., Y.S. Suh and Y.H. Ahn. 1995. Mapping cold water zone and water zone and warning service for aquaculture groups at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in proceeding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Proc. of 11th Fall Symposium of Korea Satellite Remote Sensing, PP. 67-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ensen, J.R., 2005.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Third Edition. 

  6. Ji, H.E., S.H. Lee, C. Park, and H.W. Lee, 2014. A Case Study on Sea Breeze Circulation and Ozone Concentration due to the Effect of Cold Water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of Korea, 23(2): 261-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ng, Y.S., H.G. Kim, W.A. Lim, C.K. Lee, S.G. Lee, and S.Y. Kim, 2002. An unusual coastal environment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1995 in the South Sea of Korea, Journal Oceanology Society Korea, 37(4): 212-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C.H. and K. Kim, 1983.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cold water mas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Journal Oceanology Society, (18): 73-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S.W., J.G. Woo, S.S. Kim, H.D. Jeong, and K. Yanada, 2010.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Using an In-situ and Multi-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6(4): 345-3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S.W., W.J. Go, L.Y. Jang, J.W. Lim, K. Yamada, 2008. Short-Term Variability of a Summer Cold Water Mass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Using Satellite and Shipboard Data,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 169-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nauss, J.A., 1998, Introduction to Physical Oceanography Second Edition. 

  12. Lee, H.W., H.E. Ji, and S.H. Lee, 2009. A study of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Effect of the Upwelling Cold Water and Sea Breeze in the South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2009.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5(6): 481-491. 

  13. Lee, J.C. and J.Y. Na, 1985. Structure of upwelling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Journal Korean Society Oceanography, 20(3): 6-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im, W.A., S.L. Young, and J.G. Park, 2009. Characteristic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 in Southeast Coastal Waters of Korea, 2008. Journal of the Society of Oceanography, 14(3): 155-1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McClain, E.P., W.G. Pichel, and C.C. Walton, 1985. Comparative performance of Avhrrbased multichannel sea-surface temperatur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0(Nc6): 1587-1601. 

  16. O'Reilly, J.E., S. Maritorena, B.G. Mitchell, D.A. Siegel, K.L. Carder, S.A. Garver, M. Kahru, and C. McClain, 1998. Ocean color chlorophyll algorithms for SeaWiF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3(C11): 24937-24953. 

  17. Oh. H.J., S.H. Han, and S.Y. Moon, 2008. The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of Cold Water in the around Sea Wando in Summer, 2005,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7(9): 949-956. 

  18. Park, K.A., F. Sakaida, and H. Kawamura, 2008. Error Characteristics of satellite-Observed 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Northeast Asian Sea, Journal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3): 280-2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K.A., J.E. Park, B.J. Choi, D.S. Byun, and E.I. Lee, 2013. An Oceanic Current Map of East Sea for Science Textbooks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Acquired from Oceanic Measure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8(4): 234-2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rk, Y.J., H.J. Han, S. Cho and J.H. Ahn, 2012. Interslot radiance discrepancy issue in GOCI L1B image. Proc. of 2nd GOCI PI Workshop and GOCI-II Development Workshop. Ansan, Korea, Jan. 11-13, Vol(1), pp. 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Raine, R., S. O'Boyle, T. O'Higgins, M. White, J. Patching, B. Cahill, T. McMahon, J.P. Ryan, A.M. Fischer, R.M. Kudela, J.F.R. Gower, S.A. King, R. Marin, and F.P. Chavez, 2009. Influences of upwelling and downwelling winds on red tide bloom dynamics in Monterey Bay, California. Continental Shelf Research, Jan,11-13 29 (5-6): 785-795. 

  22. Ryu, J.H., H.J. Han, S. Cho, Y.J. Park, and Y.H. Ahn, 2012. Overview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and GOCI data processing system (GDPS). Ocean Science Journal, 47(3): 223-233. 

  23. Seung, Y.H., 1984. A numerical experiment the effect of coastline geometry on the upwelling along the East Coast Korea, Journal Oceanology Society Korea, 19(1): 24-30. 

  24. Son, Y.B., Y.H. Kang, and J.H. Ryu, 2012. Monitoring red tide in South Sea of Korea (SSK) using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Korean Journal Remote Sensing, 28(5): 531-5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Suh, Y.S. and J.D. Hwang, 2005. Study on the Cold Mass Occurrence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14(10): 945-9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Suh, Y.S., J.H. Kim, and H.G. Kim, 2000. Relationship between Sea Sruface Temperature derived from NOAA Satellites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occurrence in Korea Coastal Waters, Journal of the Korea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9(3): 215-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Suh, Y.S., L.H. Jang, and H.G. Kim, 2003. Relationship between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and Meso-scale Variation of Oceanographic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Wat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6(3): 139-1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uh. Y.S., L.H. Jang, and J.D. Hwang, 2001.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he Cold Waters Occurring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ummer Season,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4(5): 435-4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Yoo, S. and H.C. kim, 2004. Suppression and enhancement of the spring bloom in the southwestern East Sea/Japan Sea, Deep-Sea Research II, 51: 1093-1111. 

  30. Yoo, S. and J. Park, 2009. why is southwest the most productive region of the Ease Sea/ Sea of Japan?, Journal of Marine Systems, 78: 301-315. 

  31. Yoon, H.J. and H.S. Kim, 2005. Statistical Analy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d Tide Formation and Meterological Factors in the Korean Coasts, and Satellite Monitoring for Red Tid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41(2): 140-1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Yoon, S. and H. Yang, 2016.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analysis of Cold water in the East/Japan Sea Using AVHRR, MODIS, VIIRS, and GOCI, Proc. of International GOCI Symposium 2016, Phoenix island Resort,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Sep. 27-30. pp. 65. 

  33. Yoon, S., H. Yang, J.K. Choi, and Y.J. Park, 2015. Effect analysis of cold water the East Sea using satellite data, Proc. of 12th Korea-Japan workshop Ocean Color (KJWOC) 2015, Japan Agency for Marine-Earth Science and Technology, Yokohama of Japan. Dec. 8-10, pp. 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