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컴퓨팅 교육에서의 주된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의 향상으로 컴퓨팅 사고력의 핵심적인 요소는 추상화(Abstraction)와 자동화(Automation)이다.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컴퓨팅 교육에서는 주로 알고리즘 설계 학습을 목적으로 프로그래밍 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중등 학습자가 텐지블 프로그래밍 도구를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학습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초중등 학습자의 특성인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 성취도와 사용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년에 따라 추상화 능력은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성별에 따라 텐지블 도구의 사용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computing education is to teach the Computational Thinking which is based on Abstraction, Automation and etc.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programming activity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learning algorithm design. In this paper, the achievements of learning concepts of algorithm design are analyzed on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in the programming activities using the Tangible programming tool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the achievement did not show the difference on grades but the usability showed the difference on gender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는 텐지블 프로그래밍 도구를 사용하여 알고리즘 학습한 이후,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성취도와 사용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텐지블 프로그래밍 도구를 활용한 알고리즘 학습에서 학습자의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절차적 추상화의 개념들을 초증등 학습자에게 가르친 이후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 절차적 추상화 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컴퓨팅 교육에서의 주된 목적 | 컴퓨팅 교육에서의 주된 목적은 무엇인가? |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의 향상
컴퓨팅 교육에서의 주된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의 향상으로 컴퓨팅 사고력의 핵심적인 요소는 추상화(Abstraction)와 자동화(Automation)이다.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컴퓨팅 교육에서는 주로 알고리즘 설계 학습을 목적으로 프로그래밍 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
프로그래밍 관련 교육 | 세계적으로 프로그래밍 관련 교육을 필수적으로 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이유는? |
정보사회에서 정보기기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은 누구나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소양이다
정보사회에서 정보기기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은 누구나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소양이다[1]. 따라서 세계적으로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컴퓨팅기반 문제 해결에 핵심이 되는 프로그래밍 관련 교육을 필수적으로 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나아가 소프트웨어 역량 위한 교육도 강화하고 있다[2][3]. |
컴퓨팅 사고력 | 컴퓨팅 사고력의 핵심적인 요소는? |
추상화(Abstraction)와 자동화(Automation)
컴퓨팅 교육에서의 주된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의 향상으로 컴퓨팅 사고력의 핵심적인 요소는 추상화(Abstraction)와 자동화(Automation)이다.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컴퓨팅 교육에서는 주로 알고리즘 설계 학습을 목적으로 프로그래밍 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