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CSTA 2003과 2011 비교를 통한 한국의 정보교육과정 표준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for Informatics Curriculum Standard of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of CSTA 2003 and 2011

초록

교육과정은 해당 교과 뿐 아니라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충분한 숙의를 요구한다. 정보과 교육과정 표준 개발은 수시 개정 시 지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CSTA의 2003, 2011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한국 정보과 교육과정 지식 체계 표준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달성을 위해 다양한 교육과정 이론, 외국의 교육과정 등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CSTA 2003과 2011 교육과정 표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의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목적과 표준이 갖는 목적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외국의 교육과정 검토의 유의사항 및 평가 측면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bstract

Curriculum requires careful deliberations, as it reflects social needs as well as the needs of the relevant curriculum. Developing a standard for informatics curriculum will be significant in that it will provide a knowledge frame for constant revision of curriculum. The aim of this study, based on Tyler's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is to find implications regarding the standard development of knowledge system for informatics curriculum in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of CSTA 2003 and 2011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is, analyses of various curriculum theories and overseas curriculum have been made, and finally a comparison of the CSTA curriculum standards for 2003 and 2011. As a result, in order to develop the curriculum standard, the aims of the curriculum and standard need to be clarified. Furthermore, implications have been made for the suggestions on review and evaluation of overseas curriculum.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표는 측정 가능하게 상세히 기술된 최종 상태로,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달성하기를 바라는 내용을 기술한다.

    목표는 측정 가능하게 상세히 기술된 최종 상태로,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달성하기를 바라는 내용을 기술한다. 교육과정 목표에 근거하여 수업목표(Instructional goal)를 작성하고, 수업 명세목표(instructional objective)를 구체화한다.

  •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CSTA에서 발표한 2003, 2011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우리나라 정보과 교육과정 지식 체계 표준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CSTA에서 발표한 2003, 2011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우리나라 정보과 교육과정 지식 체계 표준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검토, 외국의 교육과정 검토, 그리고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CSTA 2003과 2011 교육과정 표준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CSTA에서 발표한 2003, 2011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우리나라 정보과 교육과정 지식 체계의 표준을 개발하는 데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CSTA에서 발표한 2003, 2011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우리나라 정보과 교육과정 지식 체계의 표준을 개발하는 데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과정
교육과정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해당 교과 뿐 아니라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충분한 숙의를 요구한다

교육과정은 해당 교과 뿐 아니라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충분한 숙의를 요구한다. 정보과 교육과정 표준 개발은 수시 개정 시 지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교육과정 구성 목적
교육과정 구성 목적은?
첫째,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objective), 내용 (content)과 활동 목록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어야 한다는 견해[2]와 둘째,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원리(principles)나 개념(concept)을 제시하는 것이라는 견해가 존재한다

교육과정이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지에 대답이기 때문이다. 교육과정 구성 목적에 대해서 첫째,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objective), 내용 (content)과 활동 목록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어야 한다는 견해[2]와 둘째,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원리(principles)나 개념(concept)을 제시하는 것이라는 견해가 존재한다[3]. 전자가 국가교육과정 기준 ‘고시’를 통해 주요한 주제 목록이나 교과서 개발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둔다면, 후자는 목표나 내용보다는 교과의 가치를 개념 수준에서 확립한다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내용은 무엇을 포함하는가?
교육과정 개정은 전체 교육목적의 변화와 더불어 각 교과목에서 교육의 목적 변화에 따른 내용 개정을 포함한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1945년 교수요목시대를 시작으로 1차에서 7차 교육과정의 개정 이후, 2년에서 4년에 한 번씩 수시로 개정하게 되면서 2007, 2009, 2011, 2015 등 시대의 변화를 고려한 교육과정 개정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개정은 전체 교육목적의 변화와 더불어 각 교과목에서 교육의 목적 변화에 따른 내용 개정을 포함한다. 교 육과정 개정은 전문가들의 숙의에 의한 협의를 기본으로 하므로[4] 많은 시간이나 자원이 투입되어야 하는 활동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44)

  1. 1. Spencer, H.(1861). Education :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New York : D. Appleton & Company. 
  2. 2. 박도순, 홍후조(2007).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3. 3. Peters, R. S.(1966). Ethics and Education. Allen & Unwin(Unwin University Press). 
  4. 4. Walker, D. F.(1975). Curriculum development in an art project. In W. A. Reid & D. F. Walker(Eds.). Case studies in curriculum change(pp.91-135). London:RKP. 
  5. 5. The ACM K-12 Task force Curriculum Committee.(2003).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CSTA 
  6. 6. The CSTA Standard Task force.(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CSTA. 
  7. 7. Dewey, J.(1900). The School and Society : Being Three lectures. Chicage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8. Dewey, J.(1902).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Chicage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Topics Education -- Aims and objectives, Education - Curriculum. 
  9. 9. Schwab, J. J.(1969). The practical: A language for curriculum. School Review. 78(1). 1-23. 
  10. 10. Tyler, R. W.(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e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 11. Schwab(1971). The Practical 2 : Art of Ecletic, In I. Westbury & N. J. Wilkof(Eds.)(1978), Science, Curriculum, and Liberal Education : Selected Essay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12. Bloom, B. B.(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 Handbook I : Cognitive Domain. White Plains, N.Y.: Longman. 
  13. 13. Bloom, B. B., Hastings, J. Tomas, and Madaus, G. M.(1971). Handbook of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New York: McGraq-Hill. 
  14. 14. Bloom, B. B., Hastings, J. Tomas, and Madaus, G. M.(1981). Evaluation to Improve Instruction. New York: McGraq-Hill. 
  15. 15. Mager, R. F.(1975). Preparing Instructional Objectives, 2nd ed. Belmont, Calif.:Fearon. 
  16. 16. Saylor, J. G., Alexander, W. M., and Lewis, A. J(1981). Curriculum Planning for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4th ed.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17. 17. Taba(1964). Curriculum Development : Theory and practice. NY: Harcourt, Brace & World. 
  18. 18. Walker, D. F.(1971). A naturalistic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P. H. Tayler & K. A Tye(Eds.), Curriculum, school and society(pp.163-174). NFER. 
  19. 19. Walker, D. F(1980). A Brainstorming tour of writing on curriculum. In Arthur W. Foshay, ed., Considered Action for Curriculum Improvement. Yearbook. Alexandria, VA.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 20. Peter F. Oliva(2009). Developing the Curriculum, 7th ed. Allyn & Bacon. 
  21. 21. Kliebard, Herbert M.(1970). The Tyler Rationale, School Review 78. 259-272. 
  22. 22. Mario Leyton Soto and Ralph W. Tyler(1969). Planeamiento Educational, Santiago, Chile : Editorial Universitaria. 
  23. 23. Tanner D. and Tanner Laurel(2007). Curriculum Development : Theory into Practice, 4th ed.(Upper Saddle River, N. J.: Merrill/Prentice-Hall) 
  24. 24. Walker, D. F., & Jonas F. Soltis(2004). Curriculum and Aim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5. 25. Alan, P.(1999). Memory : Guide for Professionals. Wiley. 
  26. 26. 이영애, 박희경 공역(2002년). 기억연구의 실제와 응용. 시그마프레스. 
  27. 27. 행정학용어 표준화연구회(2010).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 용어사전. 새정보미디어. 
  28. 28.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2008). 실험심리학 용어사전. 시그마프레스 
  29. 29. 김자미, 이원규(2014).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6). 1-11. 
  30. 30. 김자미, 이원규(2014). 통합에서 독립으로, 이스라엘 컴퓨터과학 교과의 진화.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4). 1-12. 
  31. 31. 김자미, 이원규(2014).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정보교과의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쟁점.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3). 53-63. 
  32. 32.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2011). P21 Common core Toolkit : A Guide to Aligning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with the Framework for 21st Century Skills. P 21. org. 
  33. 33.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Center for Best Practices.(2010). Reaching higher: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Validation Committee. Washington, DC. 
  34. 34. Carmichael, Sheila Byrd, Martino, Gabrielle, Porter-Magee, Kathleen, & Wilson, W. Stephen.(2010). The state of state standards-and the Common Cor-in 2010. Washington, DC: Thomas B. Fordham Foundation. 
  35. 35. David T. Conley(2014).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sight into Their Development and Purpose. CCSSO 
  36. 36. 서영민, 이영준(2012). 초등학교 정보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CSTA K-12 컴퓨터 과학 기준안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20(1). 149-152. 
  37. 37. 안상진, 서영민, 이영준(2012). 정보교육과정 연계성 강화를 위한 CSTA K-12 컴퓨터 과학 기준안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6(2). 33-36. 
  38. 38. 김종우(2013). 미국 K-12 컴퓨터교육 개정교육과정의 시사점. 교육과학연구. 15(1). 85-99. 
  39. 39. Reid W. A.(1979). Practical Reasoning and Curriculum Theory : In Search of a New Paradigm. Curriculum Inquiry. 9(3). 
  40. 40. Posner, G. J. & Strike, K. A.(1976). A categorization scheme for principles of sequencing conten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6(4). 665-690. 
  41. 41. Oakeshott, Michael.(1989). The Voice of Liberal Learning.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42. 42. Collingwood, R. G.(1924). Speculum Mentis _ The Map of Knowledge. Clarendon Press. 
  43. 43. 조영태(2008). 타일러 모형의 대안들 : 워커의 모형과 스텐하우스의 모형에 대한 검토, 한국교육과정연구. 26(1). 1-26. 
  44. 44.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KCI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