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교육과정은 해당 교과 뿐 아니라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충분한 숙의를 요구한다. 정보과 교육과정 표준 개발은 수시 개정 시 지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CSTA의 2003, 2011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한국 정보과 교육과정 지식 체계 표준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달성을 위해 다양한 교육과정 이론, 외국의 교육과정 등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CSTA 2003과 2011 교육과정 표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의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목적과 표준이 갖는 목적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외국의 교육과정 검토의 유의사항 및 평가 측면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Curriculum requires careful deliberations, as it reflects social needs as well as the needs of the relevant curriculum. Developing a standard for informatics curriculum will be significant in that it will provide a knowledge frame for constant revision of curriculum. The aim of this study, based on Tyler's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is to find implications regarding the standard development of knowledge system for informatics curriculum in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of CSTA 2003 and 2011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is, analyses of various curriculum theories and overseas curriculum have been made, and finally a comparison of the CSTA curriculum standards for 2003 and 2011. As a result, in order to develop the curriculum standard, the aims of the curriculum and standard need to be clarified. Furthermore, implications have been made for the suggestions on review and evaluation of overseas curriculu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목표는 측정 가능하게 상세히 기술된 최종 상태로,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달성하기를 바라는 내용을 기술한다. 교육과정 목표에 근거하여 수업목표(Instructional goal)를 작성하고, 수업 명세목표(instructional objective)를 구체화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CSTA에서 발표한 2003, 2011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우리나라 정보과 교육과정 지식 체계 표준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검토, 외국의 교육과정 검토, 그리고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CSTA 2003과 2011 교육과정 표준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CSTA에서 발표한 2003, 2011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우리나라 정보과 교육과정 지식 체계의 표준을 개발하는 데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교육과정 | 교육과정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
해당 교과 뿐 아니라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충분한 숙의를 요구한다
교육과정은 해당 교과 뿐 아니라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충분한 숙의를 요구한다. 정보과 교육과정 표준 개발은 수시 개정 시 지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
교육과정 구성 목적 | 교육과정 구성 목적은? |
첫째,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objective), 내용 (content)과 활동 목록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어야 한다는 견해[2]와 둘째,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원리(principles)나 개념(concept)을 제시하는 것이라는 견해가 존재한다
교육과정이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지에 대답이기 때문이다. 교육과정 구성 목적에 대해서 첫째,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objective), 내용 (content)과 활동 목록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어야 한다는 견해[2]와 둘째,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원리(principles)나 개념(concept)을 제시하는 것이라는 견해가 존재한다[3]. 전자가 국가교육과정 기준 ‘고시’를 통해 주요한 주제 목록이나 교과서 개발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둔다면, 후자는 목표나 내용보다는 교과의 가치를 개념 수준에서 확립한다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내용은 무엇을 포함하는가? |
교육과정 개정은 전체 교육목적의 변화와 더불어 각 교과목에서 교육의 목적 변화에 따른 내용 개정을 포함한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1945년 교수요목시대를 시작으로 1차에서 7차 교육과정의 개정 이후, 2년에서 4년에 한 번씩 수시로 개정하게 되면서 2007, 2009, 2011, 2015 등 시대의 변화를 고려한 교육과정 개정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개정은 전체 교육목적의 변화와 더불어 각 교과목에서 교육의 목적 변화에 따른 내용 개정을 포함한다. 교 육과정 개정은 전문가들의 숙의에 의한 협의를 기본으로 하므로[4] 많은 시간이나 자원이 투입되어야 하는 활동이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