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각종 쌀 조청의 이화학적 및 관능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rice Jochung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6, 2016년, pp.804 - 810  

위경일 (강릉원주대학교 식품가공유통학과) ,  강윤한 (강릉원주대학교 식품가공유통학과) ,  이근택 (강릉원주대학교 식품가공유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4종의 시판품과 자체 개발하여 위탁 생산한 시제품 등 총 5종의 쌀 조청을 대상으로 품질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시제품의 총고형분, 환원당과 포도당 당량은 각각 $80^{\circ}Brix$, 44.53%와 56.94%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제품의 pH와 적정 산도는 각각 6.25와 0.19%이었으며, 색차는 74.42로 조사된 시료들 중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광투과도와 총 폴리페놀은 각각 56.4%T와 108.23 mg GAE/100 g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종 쌀 조청의 물성 중 부착도는 29.0~66.0 sec 범위였는데 그 중 시제품은 61 sec로 한과 제조용으로 적당한 값을 나타내었다. 각종 쌀 조청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0.4~50.3% 범위였는데 그 중 시제품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각종 쌀 조청의 환원력은 0.44~0.72 범위였는데 그 중 시제품이 0.72로 가장 높았다. 쌀 조청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6.70~6.80점, 향은 6.00~7.00점을 나타내었다. 맛과 입안촉감의 경우 시판품과 시제품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종합적 기호도의 경우 엿기름추출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시제품은 시판품에 비해 폴리페놀 함량이 높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쌀 조청 시제품은 한과 제품을 비롯하여 가공식품용으로 이용되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전통식품인 쌀 조청의 소비 증대를 위해서 쌀 조청 제조기술을 활용한 향미를 개선하는 등 활용도 증진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veloped rice Jochung (E) with those of commercial-rice Jochung (A, B, C, and D). The total soluble solid, reducing sugar, and dextrose equivalent of developed rice Jochung were $80^{\circ}Brix$, 44.53%, and 56.94%, respective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품질을 포함하여 점도와 작업성 등에서 옥수수 조청을 대체하기 위한 제품 제조기술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쌀 조청 제조업체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과의 집청 재료로 꿀 대신 조청을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는? 조청은 옥수수나 쌀 등의 전분질 곡류에 엿기름을 첨가하여 액화 및 당화과정을 거친 후 농축하여 제조한 우리나라의 전통식품으로서 다양한 부재료들이 첨가되기도 한다. 고대규합총서의 연약과법에 따르면 유과의 집청 재료로 1940년 이후부터는 꿀 대신 조청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1). 국내 한과 업체에서는 유과의 집청 시 조청을 사용하는 경우가 20.
국내 한과 업체에서 유과의 집청 재료로 조청을 사용하는 비율은? 고대규합총서의 연약과법에 따르면 유과의 집청 재료로 1940년 이후부터는 꿀 대신 조청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1). 국내 한과 업체에서는 유과의 집청 시 조청을 사용하는 경우가 20.8%로 물엿(55%)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2). 재래 제조방식의 쌀 조청의 제조는 밥을 지어 엿기름 물을 부어 당화시킨 후 여과한 여과액을 가열하여 농축하는데 이 방법은 공정시간이 길고 생산수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3).
재래방식 쌀 조청 제조의 단점은? 8%로 물엿(55%)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2). 재래 제조방식의 쌀 조청의 제조는 밥을 지어 엿기름 물을 부어 당화시킨 후 여과한 여과액을 가열하여 농축하는데 이 방법은 공정시간이 길고 생산수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3). 또한 여과 시 옥수수 당화액에 비해 여과에 어려움이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처리한 쌀에 액화 효소와 엿기름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조청의 점도, 총 폴리페놀 함량 등 특성을 검토하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 SH, Lee HG (1987)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development of Yackwa. Korean J Dietary Culture, 2, 33-43 

  2. Shin DH, Choi U (1993) Survey on traditional Yukwa (oil puffed rice cake) making method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8, 243-248 

  3. Choi YH, Baek JE, Park SY, Choi HS, Song J (2014)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Jochung processed by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Korean J Food Nutr, 27, 414-420 

  4. Lee JE, Choi YH, Cho MG, Park SY, Kim EM (2012) Characteristics of Jochung by wet-milled rice flour and steamed rice. Korean J Food Nutr, 25, 637-643 

  5. Yang HJ, Ryu GH (2010)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Jochung, a grain syrup, with app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2-137 

  6. Yang HJ, Son JH, Lee YS, Ryu G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by analyzing traditional manufacturing process. Food Engineering Progress, 13, 235-242 

  7. Park JS, Na H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Letinus edodes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68-775 

  8. Bae SM, Park KJ, Shin DJ, Hwang YI, Lee SC (2001) Preparation of characterization of Jochung with sweet persimmo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88-91 

  9. Kim JS, Han YS, Yoo SM, Kim HR, Chun HK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same Dasiks according to amount and the kind of sweeten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80-285 

  10. Cho EJ, Lee JE (2000) The effect of addition of kinds of sugar and drying method on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Korean J Soc Food Sci, 16, 511-520 

  11.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 Anal Chem 28, 350-352 

  12. KFDA (2006) Foo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orea, p 180-181 

  13. Park M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containing sugar alcoho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4-49 

  14. Pinto MS, Lajolo FM, Genovese MI (2007)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trawberry jams. Plant Foods Hum Nutr, 62, 127-131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6. Yildirim A, Mavi A, Kara AA (2001)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umex crispus L. extracts. J Agric Food Chem, 49, 4083-4089 

  17. Park CK, Kim HJ (2005)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process on Jochung with corn grits and rice. Chungju National University-Collection of dissertation, 40, 181-188 

  18. Park JS, Na H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eo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Letinus edode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82-1090 

  19. Kang MJ, Shin J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steamed garli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865-870 

  20. Yang HJ, Ryu GH (2010)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Jochung, a grain syrup, with app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2-137 

  21. Koh L, Jiang B, Kasapis S, Foo CW (2011) Structure, sensory and nutritional aspects of soluble-fibre inclusion in processed food products. Food Hydrocolloids, 25, 159-164 

  22. Han JM, Chung H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blueberry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 265-271 

  23. Gallegos-infante JA, Rocha-Guzman NE, Gonzalez- Laredo RF, Pulido-Alonso J (2010) Effect of process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from Mexican barley (Hordeum vulgare) cultivar. Food Chem, 119, 903-906 

  24. Shin SI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added with burdock roots powder. M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25. Zhao H, Fan W, Dong J, Lu J, Chen J, Shan L, Lin Y, Kong W (2008)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typical malting barley varieties. Food Chem, 107, 296-304 

  26. Seog HM, Seo MS, Kim SR, Park YK, Lee YT (2002) Characteristics of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75-779 

  27. Leitao C, Marchioni E, Bergaentzle M, Zhao M, Didierjeon L, Miesch L, Holder E, Miesch M, Ennahar S (2012) Fate of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arley throughout malting and brewing. J Cereal Sci, 55, 318-322 

  28. Mussatto SI, Mancilha IM (2007) Non-digestible oligosaccharides: A review. Carbohy Poly, 68, 587-59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