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들의 프로바이오틱 효과
Probiot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12, 2016년, pp.1717 - 1724  

이설매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현아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미생물학교실) ,  권미라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의성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건영 (차의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L. plantarum pF1 NITE-P1462(Lp-pF1), L. plantarum KCCM 11352P(Lp-PNU), L. plantarum CBT LP3 KCTC 10782BP(Lp-CB)와 L. plantarum KCTC 3099(Lp-3099)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내산 및 내담즙성 측정, 장 부착능과 열 안정성,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의 측정)를 된장에서 유래한 Lac. lactis KFCC 11510P(L-lactis)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4종의 김치 L. plantarum이 Lac. lactis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나타내었다. 4종의 김치 L. plantarum 중 내산 및 내담즙성 측정에서 Lp-pF1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고, 장 부착능 측정에서도 Lp-pF1이 Lp-CB와 함께 가장 뛰어난 부착능을 보였으며, 열 안정성 측면에서는 Lp-pF1과 Lp-PNU가 가장 높은 안정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PPH 라디칼 및 수산화 라디칼소거 활성 측정을 통해 Lp-pF1이 모든 유산균 중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HT-29 인체 대장암세포에서도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Lp-pF1의 프로바이오틱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Lp-pF1은 특히 높은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어 향후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Lp-pF1을 앞서 연구했던 나노화된 Lp-pF1과 함께 섭취하였을 때 단독으로 Lp-pF1만 섭취하는 것보다 더 높은 건강 기능적 효과가 기대되며, 이에 대한 연구도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biot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pF1 NITE-P1462 (Lp-pF1), L. plantarum KCCM 11352P (Lp-PNU), L. plantarum CBT LP3 KCTC 10782BP (Lp-CB), and L. plantarum KCTC 3099 (Lp-3099) isolated from kimchi and Lactococcus lactis KFCC 11510P (L-lactis) isolated from Doenjang were studied. Resista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유산균을 1.0×109 CFU/mL의 농도로 희석한 배지 500 μL와 메탄올로 희석한 15 mM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Sigma-Aldrich Co.) 용액 500 μL를 1:1의 비율로 96-well plate에 혼합하여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 plantarum KCTC 3099(Lp-3099)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내산 및 내담즙성 측정, 장 부착능과 열 안정성,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의 측정)를 된장에서 유래한 Lac. lactis KFCC 11510P(L-lactis)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4종의 김치 L.
  • plantarum 균주와 Lac. lactis 균주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내산성, 내담즙염성, 장내 부착성, 열에 대한 내성, 항산화 및 in vitro 항암 효과 측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 각 균주는 MRS broth(Difco, Sparks, MD, USA)를 이용하여 37℃에서 혐기적으로 3차 계대배양하여 프로바이오틱 효능 확인 실험에 사용하였고, in vitro 항암 기능성 실험에서는 이를 원심분리(3,000×g, 5분) 한 후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에 2회 세척한 다음 100°C에서 20분 사멸시켜 사용하였다(19).
  • 프로바이오틱스는 제제화 공정에서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면 생균력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유산균의 열 안정성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선정에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34). 각 유산균의 열 안정성은 50℃, 70℃, 80℃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며 30분 단위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Fig. 4).
  • 각 유산균의 장 부착능을 확인하기 위해 HT-29 cells를 이용하여 유산균의 장 부착능을 확인하였다(Fig. 3). 그 결과 Lp-pF1, Lp-PNU와 Lp-CB가 각각 83.
  • 그리고 1 mM FeCl3 및 1.04 mM EDTA 용액 50 μL, 1 mM ascorbic acid 50 μL, 0.1 M H2O2 5 μL를 각각 첨가하고 37°C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2.8% trichloroacetic acid 500 μL와 1% 2-thiobarbituric acid 250 μL를 첨가하고 95°C에서 8분간 가열하였다.
  • plantarum과 비교하여 프로바이오틱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프로바이오틱의 특징과 건강 기능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된장에서 유래한 대표적인 유산균(17)과 김치에서 유래한 유산균을 비교하기 위해 그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검증된 Lactococcus lac-tis KFCC 115109(L-lactis)(18)와도 비교하였다.
  • 0×108 CFU/mL가 되도록 현탁하여 각 well에 접종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시간 배양하여 HT-29 cell에 부착시켰다. 배양이 완료된 후 부착되지 않은 유산균을 제거하기 위해 3분씩 200 rpm의 속도로 교반(Orbital shaker NB- 101S, N-Biotek, Bucheon, Korea)하면서 PBS로 3회 세척을 실시하였다. 세척이 완료된 후 0.
  • 내산성: 유산균은 구강으로 섭취할 경우 위와 십이지장을 통과하여 장에 도달하게 되므로, pH 3 이하의 조건에서 생존이 가능한 유산균만이 장에 도달하여 프로바이오틱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다(27,28). 본 연구에서는 각 균주의 인공 위액에 대한 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pH 2.5의 산과 소화효소인 pepsin을 함유한 인공 위액에 각 균주를 접종하여 시간별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Fig. 1). 반응 1시간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반응 전의 생균수와 비교한 결과, Lp-pF1, Lp- PNU, Lp-CB 모두 90.
  • 02% EDTA(Gibco, Grand Island, NY, USA)를 10분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세포를 멸균한 증류수로 단계별로 희석하여 MRS 평판배지에 접종하고 48시간 배양하여 생균을 counting 한 후 장 부착률을 측정하였다(23).
  • 여기에 MRS broth에서 배양한 유산균을 1.0×108 CFU/mL 수준으로 접종한 후 37℃에서 3시간 배양하며 1시간마다 생균수를 측정하였다(20).
  • 열 안정성은 MRS broth에서 배양한 1.0×109 CFU/mL의 유산균을 50℃, 70℃ 및 80℃에 1시간 방치하며 30분 단위로 배양된 배지 1 mL를 채취한 후 멸균한 증류수에서 단계별로 희석하여 MRS 평판배지에 접종한 다음,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생균수를 측정하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24).
  • 유산균의 항암 효과는 MTT assay를 이용하여 HT-29 인체대장암 세포에서 성장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Fig. 7). 저농도 처리군(5.
  • 인공 담즙산에 1.0×108 CFU/mL 수준의 각 유산균 현탁액을 접종하여 37°C에서 6시간 배양하며 2시간마다 생균수를 측정하여 인공 담즙산에 대한 내성을 측정하였다.
  • 인공 담즙산에 대한 내성 실험은 Cebeci와 Gürakan(10), Kim 등(21), Jung 등(22)의 방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 인공 위산에 대한 내성은 1 mg/mL pepsin(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 용액에 HCl을 이용하여 pH를 2.5로 조정하여 인공 위산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MRS broth에서 배양한 유산균을 1.
  • 0×108 CFU/mL 수준의 각 유산균 현탁액을 접종하여 37°C에서 6시간 배양하며 2시간마다 생균수를 측정하여 인공 담즙산에 대한 내성을 측정하였다. 인공 위액 및 인공 담즙산에서의 생균수 측정은 인공 위액 및 담즙산에서 배양한 각 균주를 멸균한 증류수에서 단계별로 희석하여 MRS 평판배지에 접종한 후,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양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대상 데이터

  • 인공 담즙산에 대한 내성 실험은 Cebeci와 Gürakan(10), Kim 등(21), Jung 등(22)의 방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0.02 M cholic acid, 1% deoxycholic acid, 0.05 mg/mL lipase, 0.02 mg/mL pancreatin 용액에 1 N HCl 및 NaOH를 이용하여 pH 8.0으로 조정하여 인공 담즙산을 준비하였다.
  • HT-29 cells(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s)은 한국세포주은행(Seoul,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10% FBS와 100 units/mL 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RPMI 1640을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 (Forma, model 311S/N29035,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에서 배양하였다.
  • plantarum CBT LP3 KCTC 10782BP(Lp-CB)를 선택하였고, Lac. lactis KFCC 11510P(L-lactis)는 된장에서 분리한 균으로 미생물자원센터(Jeongeup, Korea)에서 구입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 균주는 MRS broth(Difco, Sparks, MD, USA)를 이용하여 37℃에서 혐기적으로 3차 계대배양하여 프로바이오틱 효능 확인 실험에 사용하였고, in vitro 항암 기능성 실험에서는 이를 원심분리(3,000×g, 5분) 한 후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에 2회 세척한 다음 100°C에서 20분 사멸시켜 사용하였다(19).

데이터처리

  • 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c) at each incubation tim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e) at each incubation tim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각 군 간의 비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P 값이 5% 미만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13).
  • 모든 실험 결과는 평균치와 표준편차(mean±SD)를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에는 어떤 건강 기능성이 있는가? 김치는 배추, 무 및 파 등 소금에 절인 채소를 다른 양념과 함께 버무린 후 일정 시간 동안 유산균이 발효하여 제조된 probiotic food이다(1). 김치는 항산화(2), 항암(3), 면역증진(4), 항비만(5), 항노화(6), 항당뇨(7) 등 다양한 건강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성은 풍부한 비타민(vitamin C, β-carotene, vitamin B complex 등), 각종 미네랄(Na, Ca, K, Fe, P), 식이섬유, 김치에 포함된 phytochemicals, 유산균 그리고 유산균의 발효에서 유래된 발효 대사산물로 인해 이러한 기능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김치는 어떤 식품인가? 김치는 배추, 무 및 파 등 소금에 절인 채소를 다른 양념과 함께 버무린 후 일정 시간 동안 유산균이 발효하여 제조된 probiotic food이다(1). 김치는 항산화(2), 항암(3), 면역증진(4), 항비만(5), 항노화(6), 항당뇨(7) 등 다양한 건강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김치의 주요 발효 유산균 중에서 L. plantarum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적절히 발효된 김치는 많은 유산균(107~9 CFU/g)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요 발효 유산균은 Leuconostoc, Lactobacillus, Weissella와 Pediococcus 속 등이 알려져 있다(8). 이들 가운데 L. plantarum은 널리 알려진 프로바이오틱스로서 대장암, 변비 증상 완화, 설사, 항비만 등의 건강 기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연구되어 있다(9-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J Med Food 17 6 2014 10.1089/jmf.2013.3083 

  2. J Korean Soc Food Nutr 24 169 1995 

  3. J Med Food 17 833 2014 10.1089/jmf.2013.2986 

  4. J Food Sci 76 H55 2011 10.1111/j.1750-3841.2010.02031.x 

  5. Food Sci Biotechnol 20 643 2011 10.1007/s10068-011-0091-9 

  6. J Med Food 12 292 2009 10.1089/jmf.2008.0181 

  7. Int J Food Microbiol 113 358 2007 10.1016/j.ijfoodmicro.2006.08.015 

  8. Food Microbiol 20 511 2003 10.1016/S0740-0020(02)00174-0 

  9. Int Dairy J 16 1018 2006 10.1016/j.idairyj.2005.09.003 

  10. J Microbiol Biotechnol 26 469 2016 10.4014/jmb.1511.11001 

  11.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12 2016 10.3746/jkfn.2016.45.1.012 

  12. J Med Food 8 299 2005 10.1089/jmf.2005.8.299 

  13. Korean J Microbiol 50 216 2014 10.7845/kjm.2014.4041 

  14.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5 2002 10.3746/jkfn.2002.31.1.075 

  15.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54 2010 10.3746/jkfn.2010.39.12.1854 

  16. Mutat Res Genet Toxicol Environ Mutagen 721 157 2011 10.1016/j.mrgentox.2011.01.005 

  17. Jpn J Bacteriol 29 691 1974 10.3412/jsb.29.691 

  18. Korean J Food Preserv 12 184 2005 

  19. J Food Sci Nutr 12 58 2007 

  20. Trends Food Sci Technol 10 405 1999 10.1016/S0924-2244(00)00028-5 

  21. Korean J Food Sci Anim 27 367 2007 

  22. Nature 181 1199 1958 10.1038/1811199a0 

  23. Anal Biochem 165 215 1987 10.1016/0003-2697(87)90222-3 

  24. Microbiol Rev 49 359 1985 10.1128/MMBR.49.4.359-378.1985 

  25.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01 1995 

  26.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25 357 2005 

  27. J Food Prot 42 164 1997 

  28. J Life Sci 24 1231 2014 10.5352/JLS.2014.24.11.1231 

  29. Am J Clin Nutr 73 386S 2001 10.1093/ajcn/73.2.386s 

  30. Int Dairy J 9 43 1999 10.1016/S0958-6946(99)00043-6 

  31. Appl Environ Microbiol 68 1055 2002 10.1128/AEM.68.3.1055-1063.2002 

  32. Afr J Microbiol Res 5 5194 2011 

  33. Dig Dis Sci 45 1617 2000 10.1023/A:1005577330695 

  34. J Anim Sci Technol 46 1007 2004 10.5187/JAST.2004.46.6.1007 

  35.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44 2015 10.9721/KJFST.2015.47.1.44 

  36. Food Chem 135 1914 2012 10.1016/j.foodchem.2012.06.048 

  37. J Appl Microbiol 109 220 2010 10.1111/j.1365-2672.2009.04648.x 

  38. Korean J Biotechnol Bioeng 13 357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