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충 열수추출물 급여에 의한 갱년기 유도 모델 흰쥐의 지질, 당질 및 항산화 대사 개선에 미치는 영향
Water extracts of Eucommia ulmoides improve lipid, glucose, and antioxidant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6, 2016년, pp.604 - 609  

이상철 (경북대학교 응용생명화학부) ,  정수임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미영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폐경 이후 여성에 대한 두충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in vitro 항산화 활성 분석 및 암컷 흰쥐의 난소를 절제한 후 폐경을 유도하여, 두충 열수추출물 보충 급여에 따른 지질, 당질대사 및 항산화 대사 관련 지표를 분석하였다. In vitro 항산화 활성분석 결과 환원력은 0.79(O.D. at 700 nm)로 대조군인 BHA (0.51, O.D. at 700 nm)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물실험 분석결과로는 난소절제군에 비해서 난소절제 후 두충추출물 급여군이 체중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혈장 지질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도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의 지방생합성 효소활성도에는 OVX-EU군에서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지방조직에서는 유의적차이가 없었다. 지방산화 효소 활성은 지방조직에서 OVX-EU군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의 당질대사 관련 효소 활성은 난소절제군들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혈장 adipokine 중 OVX군은 렙틴과 아디포넥틴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TNF-{\alpha}$는 높게 측정되었다. 항산화 효소 활성은 OVX-EU군이 간조직에서 GR과 PON, 신장조직에서 SOD, CAT, GR 활성이 OVX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들은 폐경이후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만관련 대사장애의 개선 및 예방소재로서 두충의 기능성 소재 개발도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postmenopausal women, estrogen deficiency can be associated with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lipid, glucose and antioxidnat metabolism. Sprague-Dawley female rats were subjected to e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폐경 이후 여성에 대한 두충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 하고자, in vitro 항산화 활성 분석 및 암컷 흰쥐의 난소를 절제한 후 폐경을 유도하여, 두충 열수추출물 보충 급여에 따른 지질, 당질대사 및 항산화 대사 관련 지표를 분석하였다. In vitro 항산화 활성분석 결과 환원력은 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난소 절제에 의해서 갱년기를 유도한 흰쥐에게 두충 열수추출물을 보충 급여함에 따른 지질, 당질대사 및 항산화 대사 관련 지표를 분석함으로써 노화에 따른 대사성 질환의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건강 증진용 식음료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갱년기 유도 모델 동물은 난소 절제술을 시행함으로써 에스트로겐의 생성을 저하시켜 인위적으로 폐경을 유도하는 것이므로 폐경이후 노화에 따른 지질 및 당질대사 및 항산화 대사의 생화학적 지표 분석을 통한 연구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충이란? 두충나무의 수피인 두충은 관절염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생약으로(4,5) 약리효능을 나타내는 성분으로는 이리도이드 유도체와(6-9) 리그닌 배당체(10-14) 등이 있으며, 이들 성분들이 나타내는 생리활성 효능으로는 콜라겐합성 증진작용(15), 혈당저하효과(16,17), 혈압 강하효과(18,19) 및 파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효과(20) 등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두충의 열수 추출물로부터 에스트로겐의 성질을 가지는 성분인 aucubin, woginin, baicalein 등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유도체에 관한 연구들도 진행되어(21), 갱년기 이후의 골대사를 포함하여 지질 및 당질대사 개선 효능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두충의 생리활성 효능은? 두충나무의 수피인 두충은 관절염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생약으로(4,5) 약리효능을 나타내는 성분으로는 이리도이드 유도체와(6-9) 리그닌 배당체(10-14) 등이 있으며, 이들 성분들이 나타내는 생리활성 효능으로는 콜라겐합성 증진작용(15), 혈당저하효과(16,17), 혈압 강하효과(18,19) 및 파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효과(20) 등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두충의 열수 추출물로부터 에스트로겐의 성질을 가지는 성분인 aucubin, woginin, baicalein 등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유도체에 관한 연구들도 진행되어(21), 갱년기 이후의 골대사를 포함하여 지질 및 당질대사 개선 효능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성이 겪는 갱년기 이후의 건강 관련 문제점은 무엇인가?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갱년기 이후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증진에 관한 관심은 고조되고 있으나, 여성들의 경우 폐경에 따른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혈중 지질 조성의 변화 등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지게 된다(1). 이러한 갱년기 이후의 건강 관련 문제점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 감태(2), 대황(3) 등 식이섬유소가 풍부하고 골다공증에도 효과가 기대되는 해조류 추출물의 활용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Rosen C, Bilezikian JP. Editorial: Evolving toward a new paradium for prevention of osteophorosis-The time is upon us. J. Clin. Endocrinol. Metab. 82: 2782-2783 (1997) 

  2. Kang SR, Kim MH. The effect of Ecldonia cava extracts on bone turnover makers in ovariectomized rats. J. Life Sci. 19: 1841-1846 (2009) 

  3. Park YS, Kim MH. The effect of Eisenia bicycli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serum lipid level in ovariectomized rats. J. Life Sci. 22: 1407-1414 (2012) 

  4. Hayman AR, Jones SJ, Boyde A, Colledge WH, Carlton MB, Evans MJ, Cox TM. Mice lacking tartrate-resistent acid phosphatase (Acp 5) have disrupted endochondral ossification and mild osteopetrosis. Development 122: 3151-3162 (1996) 

  5. Chung MH, Park CW.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ntihypertensive agents from Korean curde drug I, II, III. Korean J. Pharmacongn. 6: 29-32 (1975) 

  6. Jurisi R, Debeljak Z, Vladimir-Knezevi S, Vukovi J. Determination of Aucubin and Catalpol in Plantago Species by Micellar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Z. Naturforsch. C Biosci. 59: 27-31 (2004) 

  7. Deyama T, Ikawa T, Kitagawa S, Nishibe S. The constituents of Eucommia ulmoides. Olive. IV. Isolation of a new sesquilignan glycoside and iridoids. Chem. Pharm. Bull. 34: 4933-4938 (1986) 

  8. Takamura C, Hirata T, Ueda T, Ono M, Miyashita H, Ikeda T. Iridoids from the green leaves of Eucommia ulmoides. J. Nat. Prod. 70: 1312-1316 (2007) 

  9. Takamura C, Hirata T, Ueda T, Ono M, Miyashita H, Ikeda T.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green leaves of Eucommia ulmoides Olive. J. Nat. Prod. 71: 220-221 (2007) 

  10. Takeshi D. The constituents of Eucommia ulmoides. Olive. I. Isolation of (+)-medioresinol di-O- ${\beta}$ -D-glucopyranoside. Chem. Pharm. Bull. 31: 2993-2997 (1983) 

  11. Takeshi D, Takako I, Sansei N. The constituents of Eucommia ulmoides. Olive. II. Isolation and structure of three new lignan glycosides. Chem. Pharm. Bull. 33: 3651-3657 (1985) 

  12. Takeshi D, Takako I, Shizuka K, Sansei N. The constituents of Eucommia ulmoides. Olive. III. Isolation and structure of new lignan glycosides. Chem. Pharm. Bull. 34: 523-527 (1986) 

  13. Takeshi D, Takako I, Shizuka K, Sansei N. The constituents of Eucommia ulmoides. Olive. V. Isolation of dihydroxydehydrodiconiferyl alcohol isopmers and phenolic compounds. Chem. Pharm. Bull. 35: 1785-1789 (1987) 

  14. Takeshi D, Takako I, Shizuka K, Sansei N. The constituents of Eucommia ulmoides. Olive. VI. Isolation of new sesquilignan and neolignan glycosides. Chem. Pharm. Bull. 35: 1803-1807 (1987) 

  15. Ha HK, Ho JY, Shin SM, Kim HJ, Koo SJ, Kim IH. Effects of Eucommia Cortex. on osteoblast-like cell proliferation and osteoclast inhibition. Arch. Pharm. Res. 26: 929-936 (2003) 

  16. Hong ND, Rho YS, Won DH, Kim NJ, Cho BS. Studies on the anti-diabetic activity of Eucommia ulmoides. Olive. Korean J Pharmacogn. 18: 112-117 (1987) 

  17. Park SA, Choi MS, Jung UJ, Kim MJ, Kim DJ, Park HM. Eucommia ulmoides. Olive. leaf extract increases endogenous antioxidant activity in type 2 diabetic mice. J. Med. Food. 9: 474-479 (2006) 

  18. Kawasaki T, Uezono K, Nakazawa Y. Antihypertensive mechanism of food for specified health use: Eucommia leaf glycoside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J. Health. Sci. 22: 29-36 (2006) 

  19. Kwan CY, Zhang WB, Deyama T, Nishibe S. Endotheliumdependent vascular relaxation induced by Eucommia ulmoides. Olive. bark extract is mediated by NO and EDHF in small vessels. Naunyn-Schmiedeberg's Arch. Pharmacol. 369: 206-211 (2004) 

  20. Jung YT, Choi YH, Song JH, Lee CH, Lee MS, Jang SJ, Cho HJ, Kwak HB, Oh JM. Effect of water extract of Eucommia Cortex. in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3: 613-618 (2009) 

  21. Wang H, Li MC, Yang J, Yang D, Su YF, Fan GW, Zhu Y, Gao XM, Paoletti R. Estrogenic properties of six compounds derived from Eucommia ulmoides. Olive. and their differing biological activity through estrogen reseptors ${\alpha}$ and ${\beta}$ . Food Chem. 129: 408-416 (2011) 

  22. Hirata T, Kobayashi T, Ueda T, Fujikawa T, Miyashita H, Ikeda T, Tsukamoto S, Nohara T. Anti obesity compounds in green leaves of Eucommia ulmoides. Bioorg. Med. Chem. Lett. 21: 1786-1791 (2011) 

  23.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006) 

  24. Bondet V, Brand-Williams W, Berset C.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WT-Food Sci. Technol. 30: 609-615 (1997) 

  25. Oyaizu M.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Diet. 44: 307-315 (1986) 

  26. Friedewald WT, Levyand RI, Fred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1972) 

  27. Gibson DM, Hubbard DD. Incorporation of malonyl CoA into fatty acids by liver in starvation and alloxan-diabet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 531-535 (1960) 

  28. Ochoa S. Malic Dehydrogenase from Pig Heart.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p. 735-739 (1955) 

  29. Bieber LL, Abraham T, Helmrath T. A rapid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Anal. Biochem. 50: 509-518 (1972) 

  30. Davidson AL, Arion WJ. Factors underlying significant underestimations of glucokinase activity in crude liver extracts: Physiological implications of higher cellular activity. Arch. Biochem. Biophys 253: 156-167 (1987) 

  31. Bentle LA, Lardy HA. Interaction of anions and divalent metal ions with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J. Biol. Chem. 251: 2916-2921 (1976) 

  32. Aebi H. Catalase.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p. 673-684 (1974) 

  33. Mize CE, Langdon RG. Hepatic glutathione reductase. I. purification and general kinetic properties. J Biol. Chem. 237: 1589-1595 (1952) 

  34. Mackness MI, Arrol S, Durrington PN. Paraoxonase prevents accumulation of lipoperoxides in low-density lipoprotein. FEBS Lett. 286: 152-154 (1991) 

  35. Lissi EA, Modak B, Torres R, Escobar J, Urzua A. Total antioxidant potential of resinous exudates from heliotropium species, and a comparison of the ABTS and DPPH methods. Free. Radic. Res. 30: 471-477 (1999) 

  36. Ferreira IC, Queiroz MJ, Vilas-Boas M, Estevinho LM, Begouin A, Kirsch G.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diarylamines in the benzo[b]thiophene series b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Bioorg. Med. Chem. Lett. 16: 1384-1387 (2006) 

  37. Xu Z, Tang M, Li Y, Liu F, Li X, Dai R. Antioxidant properties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color stability and lipid oxidation of raw pork patties. J. Agr. Food. Chem. 58: 7289-7296 (2010) 

  38. Picard F, Deshaies Y, Lalonde J, Samson P, Labrie C, Belanger A, Labrie F, Richard D. Effects of the estrogen antagonist EM-652.HCl on energy balance and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Int. J. Obes. 24: 830-840 (2000) 

  39. Wade GN, Gray JM, Bartness TJ. Gonadal influences anadiposity. Int. J. Obes. 9: 83-92 (1985) 

  40. Spencer CP, Godsland IF, Stevenson JC. Is there a menopausal metabolic syndrome?. Gynecol. Endocrinol. 11: 341-355 (1997) 

  41. Park SA, Choi MS, Kim MJ, Jung UJ, Kim HJ, Park KK, Noh HJ, Park HM, Park YB, Lee JS, Lee MK.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action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 leaves water extract in C57BL/KsJ-db/db mice. J. Ethnopharmacol. 107: 412-417 (2006) 

  42. Chu SC, Chou YC, Liu JY, Chen CH, Shyu JC, Chou FP. Fluctuation of serum leptin level in rats after ovariectomy and the influence of estrogen supplement. Life Sci. 61: 2299-2306 (1999) 

  43. Kim BH, Park KS, Chang IM. Elucidation of anti-inflammatory potencies of Eucommia ulmoides bark and Plantago asiatica seeds. J. Med. Food. 12: 764-769 (2004) 

  44. Yen GC and Hsieh CL.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duzhong (Eucommia ulmoides) toward various lipid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J. Agr. Food Chem. 46: 3952-3957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