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멜라토닌 및 관련 인돌 화합물의 산화방지능과 들기름 산화에 대한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melatonin and the relative indole compounds on perilla oil oxid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6, 2016년, pp.610 - 617  

김석중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멜라토닌은 척추동물 뇌의 송과선에서 생성되는 인돌 호르몬으로 알려졌으나 그 이후로 동물, 식물, 미생물을 포함한 대부분의 생물체에서도 존재하고 멜라토닌 함유 식품을 섭취 시 생체내에 흡수되며, 다양한 기능성과 함께 강한 산화방지능이 확인되어 기능성 소재로서의 관심이 높다. 하지만 이를 식품의 산화방지용으로 활용하고자 한 연구는 없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유지식품의 산화방지용 소재로서 멜라토닌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DPPH, ABTS, FRAP, ORAC법을 이용하여 멜라토닌의 산화방지능을 조사하였고, 실제 유지식품으로서 들기름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멜라토닌 합성경로에 관련된 다른 인돌 화합물인 트립토판, 트립타민, N-아세틸 세로토닌, 세로토닌과도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DPPH, ABTS, FRAP 법으로 분석한 멜라토닌의 산화방지능은 매우 낮았으나 ORAC 법에서는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반면 세로토닌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 분석법에 따라 산화방지능에서의 차이가 나타났다. 들기름에 인돌 화합물들을 각각 1%(w/w) 농도로 첨가한 후 Rancimat법으로 산화 유도기간을 분석한 결과, 멜라토닌 첨가구에서의 산화 유도기간은 $2.93{\pm}0.47h$로 대조구의 $1.43{\pm}0.26h$에 비해 2배 가량 연장되었으며 뷰틸하이드록시톨루엔 효과의 약 50% 수준에 달해 실제 유지식품에서 산화방지 효과가 있었다. 조사한 인돌 화합물들 중에는 트립타민($9.52{\pm}1.43h$)이 들기름의 산화억제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으로 세로토닌, 트립토판이 유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latonin, known as a powerful wide-spectrum antioxidant, is consumed as a food supplement in some countries, but its applicability as an antioxidant additive was not yet studied. Therefore,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latonin by DPPH, ABTS, FRAP and ORAC assays as well as its abil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분석법들을 이용해 멜라토닌의 산화방지능을 측정하였고 구조적 특성과의 관계도 살펴보기 위해 관련 인돌 화합물들과도 비교하였다. 그리고 식품의 산화방지용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제 식품계인 들기름에 대한 산화억제 효과도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분석법들을 이용해 멜라토닌의 산화방지능을 측정하였고 구조적 특성과의 관계도 살펴보기 위해 관련 인돌 화합물들과도 비교하였다. 그리고 식품의 산화방지용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제 식품계인 들기름에 대한 산화억제 효과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산화방지제는 어떤 것이 있는가? 정상적인 생체조건에서는 과도한 ROS가 효소적 산화방지제(초과산화물제거효소, 카탈레이스, 글루타싸이온 환원효소, 과산화효소 등)와 비효소적 산화방지제(글루타싸이온, 리포산, L-아르기닌, 조효소 Q10, 멜라토닌 등)에 의해 억제되지만(4) 체내 산화방지제의 부족이나 ROS를 증가시키는 외부요소(담배연기, 알코올, 자외선, 오존 등)에 노출 되면 ROS가 증가하는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가 된다(5). 그러나 외부로부터 비타민 E와 C, 베타카로틴, 페놀화합물, 셀레니움 같은 다양한 산화방지제를 섭취하면 체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으며(2), 산화방지 물질이 풍부한 과일이나 채소 등의 식품을 섭취하면 ROS와 관련된 심혈관 질환, 고혈압, 암, 당뇨, 염증 등을 줄일 수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2,6).
멜라토닌 합성경로에 관련된 인돌 화합물 중 세로토닌은 동물, 식물에서 어떻게 합성하는가?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물, 식물 모두에서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에서 합성이 되며 세로토닌 이후의 과정은 동일하다. 하지만 세로토닌 합성까지는 차이가 있는데, 동물에서는 트립토판의 수산화가 먼저 일어나 5-하이드록시 트립토판이 생성 된 후 탈탄산화에 의해 세로토닌으로 전환되는 반면 식물에서는 먼저 탈탄산화가 일어난 후 트립타민으로 전환된 다음 수산화를 통해 세로토닌이 생성된다(21,26). 본 실험에서는 멜라토닌 및 동·식물에서의 공통적인 인돌 화합물인 트립토판, 세로토닌, N아세틸 세로토닌, 그리고 식물에서 나타나는 트립타민의 산화방지능을 비교하였다.
활성산소 중 비라디칼 산화제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산화작용이 강한 산소종으로, 라디칼(수퍼옥사이드: O2·−, 하이드록시: HO·, 퍼록시: ROO·, 하이드로퍼록시: HOO·)과 쉽게 라디칼로 바뀔 수 있는 비라디칼 산화제(과산화수소: H2O2, 하이포염소산: HClO, 오존: O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ayr H. Reactive oxygen species. Crit. Care Med. 33: S498-S501 (2005) 

  2. Lobo V, Phatak A, Chandra N.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functional foods: Impact on human health. Pharmacogn. Rev. 4: 118-126 (2010) 

  3. Pisoschi AM, Pop A. The role of antioxidants in the chemistry of oxidative stress: A review. Eur. J. Med. Chem. 97: 55-74 (2015) 

  4. Pham-Huy LA, He H, Pham-Huy C. Free radicals, antioxidants in disease and health. Int. J. Biomed. Sci. 4: 89-96 (2008) 

  5. Bhattacharyya A, Chattopadhyay R, Mitra S, Crowe SE. Oxidative stress: An essential factor in the pathogenesis of gastrointestinal mucosal diseases. Physiol. Rev. 94: 329-354 (2014) 

  6. Zhang YJ, Gan RY, Li S, Zhou Y, Li AN, Xu DP, Li HB. Antioxidant phytochemical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Molecules 20: 21138-21156 (2015) 

  7. Choe E, Min DB. Mechanisms and factors for edible oil oxidation. Comp. Rev. Food Sci. Food Safety 5: 169-186 (2006) 

  8. Yehye WA, Rahman NA, Ariffin A, Hamid SBA, Alhadi AA, Kadir FA, Yaeghoobi M. Understanding the chemistry behi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 review. Eur. J. Med. Chem. 101: 295-312 (2015) 

  9. Powell CJ, Connelly JC, Jones SM, Grasso P, Bridges JW. Hepatic responses to the administration of high doses of BHT to the rat: their relevance to hepatocarcinogenicity. Food Chem. Toxicol. 24: 1131-1143 (1999) 

  10. Laguerre M, Lecomte J, Villeneuve P. Evaluation of the ability of antioxidants to counteract lipid oxidation: Existing methods, new trends and challenges. Prog. Lipid Res. 46: 244-282 (2007) 

  11. Lerner AB, Case JD, Takahashi Y. Isolation of melatonin, a pineal factor that lightens melanocytes. J. Am. Chem. Soc. 80: 2587-2587 (1958) 

  12. Brainard GC, Petterborg LJ, Richardson BA, Reiter RJ. Pineal melatonin in syrian hamsters: Circadian and seasonal rhythms in animals maintained under laboratory and natural conditions. Neuroendocrinology 35: 342-348 (1982) 

  13. Bonnefont-Rousselot D, Collin F. Melatonin: Action as antioxidant and potential applications in human disease and aging. Toxicology 278: 55-67 (2010) 

  14. Tan DX, Lucien C, Manchester MP, Terron L, Flores J, Reiter RJ. One molecule, many derivatives: A never-ending interaction of melatonin with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J. Pineal Res. 42: 28-42 (2007) 

  15. Rodriguez C, Mayo JC, Sainz RM, Antolin I, Herrera F, Martini V, Reiter RJ. Regulation of antioxidant enzymes: A significant role for melatonin. J. Pineal Res. 36: 1-9 (2004) 

  16. Reiter RJ, Tan DX, Gitto E, Sainz RM, Mayo JC, Leon J, Manchester LC, Kilic VE, Kilic U. Pharmacological utility of melatonin in reducing oxidative cellular and molecular damage. Pol. J. Pharmacol. 56: 159-170 (2004) 

  17. Galano A, Tan DX, Reiter RJ. O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elatonin's metabolites, AFMK and AMK. J. Pineal Res. 54: 245-257 (2013) 

  18. Garcia-Parrilla MC, Cantos E, Troncoso AM. Analysis of melatonin in foods. J. Food Compos. Anal. 22: 177-183 (2009) 

  19. Antunes F, Barclay LR, Ingold KU, King M, Norris JQ, Scaiano JC, Xi F.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latonin. Free Rad. Biol. Med. 26: 117-128 (1999) 

  20. Munik MS, Ekmekciolu C. Prooxidant effects of melatonin: A brief review. Turk. J. Biol. 39: 832-839 (2015) 

  21. Tan DX, Manchester LC, Esteban-Zubero E, Zhou Z, Reiter RJ. Melatonin as a potent and inducible endogenous antioxidant: synthesis and metabolism. Molecules 20: 18886-18906 (2015) 

  22. Fukumoto LR, Mazza G. Assessing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J. Agr. Food Chem. 48: 3597-3604 (2000) 

  23. Payet B, Shum Cheong Sing A, Smadja J. Assess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cane brown sugars by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s: Determination of their polyphenolic and volatile constituents. J. Agr. Food Chem. 53: 10074-10079 (2005) 

  24. Arthur H, Joubert E, de Beer D, Malherbe CJ, Witthuhn RC. Phenylethanoid glycosides as major antioxidants in Lippia multiflora herbal infusion and their stability during steam pasteurization of plant material. Food Chem. 127: 581-588 (2011) 

  25. Huang D, Ou B, Hampsch-Woodill M, Flanagan JA, Prior RL. High-throughput assay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using a multichannel liquid handling system coupled with a microplate fluorescence reader in 96-well format. J. Agr. Food Chem. 50: 4437-4444 (2002) 

  26. Hardeland H. Melatonin in plants-diversity of levels and multiplicity of functions. Front. Plant Sci. 7: 198 (2016) 

  27. Apak R, zyrek M, Gl K, apanolu E. Antioxidant activity/capacity measurement. 1. Classification, physicochemical principles, mechanisms, and electron transfer (ET)-based assays. J. Agr. Food Chem. 64: 997-1027 (2016) 

  28. Apak R, zyrek M, Gl K, apanolu E. Antioxidant activity/capacity measurement. 2. Hydrogen atom transfer(HAT)-based, mixedmode (electron transfer (ET)/HAT), and lipid peroxidation assays. J. Agr. Food Chem. 64: 1028-1045 (2016) 

  29. Huang D, Ou B, Prior RL,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 Food Chem. 53: 1841-1856 (2005) 

  30. Xie J, Schaich KM. Re-evaluation of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DPPH) assay for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62: 4251-4260 (2014) 

  31. Foti MC.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s. J. Pharm. Pharmacol. 59: 1673-1685 (2007) 

  32. Rodriguez-Naranjo MI, Moy ML, Cantos-Villar E, Garcia-Parrilla MC.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latonin and related indoles. J. Food Compos. Anal. 28: 16-22 (2012) 

  33. Dawidowicz AL, Wianowska D, Olszowy M. On practical problems in estim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compounds by DPPH method. Food Chem. 131: 1037-1043 (2012) 

  34. Hoyle CHV, Santos JH. Cyclic voltammetric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in citrus fruits from Southeast Asia. Int. Food Res. J. 17: 937-946 (2010) 

  35. Shalaby EA, Shanab AMM. Comparison of DPPH and ABTS assays for determining antioxidant potential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Spirulina platensis. Indian J. Geo-Marine Sci. 42: 556-564 (2013) 

  36. Benzie IF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37. Connor AM, Luby JJ, Hancock JF, Berkheimer S, Hanson EJ. Changes in fruit antioxidant activity among blueberry cultivars during cold-temperature storage. J. Agr. Food Chem. 50: 893-898 (2002) 

  38. Ou B, Hampsh-Woodill M, Prior R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ce probe. J. Agr. Food Chem. 49: 4619-4626 (2001) 

  39. Ximenes VF, Pessoa AS, Padovan CZ, Abrantes DC, Gomes FH, Maticoli MA, de Menezes ML. Oxidation of melatonin by AAPH-derived peroxyl radicals: evidence of a pro-oxidant effect of melatonin. Biochim. Biophys. Acta. 1790: 787-792 (2009) 

  40. Koppenol WH. Oxyradical reaction: From bond-dissociation energies to reduction potentials. FEBS Lett. 264: 165-167 (1990) 

  41. Estevo MS, Carvalho LC, Ferreira LM, Fernandes E, Marques MMB. Analysis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n indole library: cyclic voltammetry versus ROS scavenging activity. Tetrahedron Lett. 52: 101-106 (2011) 

  42. Shin HS, Kim SW. Lipid composition of perilla seed. J. Am. Oil Chem. Soc. 71: 619-622 (1994) 

  43. Garca-Luna PP, Lardone PJ, Herrera JL, Fernndez-Montesinos R, Guerrero JM, Pozo D, de la Puert C, Carrascosa-Salmoral MP. Melatonin is a phytochemical in olive oil. Food Chem. 104: 609-612 (2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