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의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보길도산 황칠나무의 분자 계통학적 연구
Phylogenetic Analysis of Dendropanax morbifera Using Nuclear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Sequenc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6 no.11 = no.199, 2016년, pp.1341 - 1344  

신용국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융합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길도에서 자라고 있는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를 구입하여, 캘러스로 유도한 후, ribosomal DNA(nr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보길도의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의 ITS region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총 689염기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689염기 중에서 ITS1은 222 개염기, 5.8S rDNA는 160염기, ITS2는 233염기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GenBank의 BLAST 프로그램(http://www.ncbi.nlm.nih.BLAST)을 사용하여 GenBank/EMBL/DDBJ에 등록되어 있는 Dendropanax 속 33의 염기서열을 수집한 후 multiple alignment를 수행한 결과, 유사도는 99.7%(D. chevalieri)에서 92.6%(Dendropanax arboreus)로 나타났으며, 일본황칠나무(D. trifidus)와는 유사도가 99.4%로 판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ndropanax morbifera is an endemic tree species of Korea, it is restricted to the southern parts of Korea.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nuclear ribosomal DNA (nrDNA) for Dendropanax morbifera grown at Bogil-do, Korea was determined. We investigated the sequence-based phylogene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리적으로나 관상용으로써 이용가치가 높으며 천연 전통도료로써 사용되고 있는 황칠나무의 nuclear ribosomal DNA (nr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부위의 염기서열[2, 15, 17]을 결정하여 분자계통학적 위치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황칠나무의 서식 범위는? Dendropanax속은 총 92종의 상록수 및 관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열대, 난대지역의 동아시아, 남미에 분포하고 있다. Dendropanax속의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우리나라 보길도, 완도, 해남, 제주도 등의 남부 해안가에 분포하는 우리나라 특산수종이다[4-6].
Dendropanax속의 황칠나무 학명의 특징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의 학명을 살펴보게 되면 목본을 뜻하는 ‘Dendro’와 전능약이라는 뜻의 ‘Panax’가 내포 되어 있어 약리적 효능 또한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3, 4]. 또한 줄기에 상처를 내면 노란 수액이 나와 황칠나무라고 불린다.
황칠수액의 특징은? 또한 줄기에 상처를 내면 노란 수액이 나와 황칠나무라고 불린다. 이 황칠수액은 천연전통도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마음을 안정시키는 안식향을 내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4, 9, 11]. 이 밖에 황칠나무는 광택이 도는 잎을 가진 상록의 활엽교목이며 수형이 아름다워 관상수, 조경수 등으로 이용가치가 높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J. C., Kim, M. Y., Kim, O. T., Kim, K. S., Kim, S. H., Kim, S. H. and Hwang, B. 2002. Selection of the high yield capacity of Hwangchil lacquer and identification of aromatic components in essential oil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Kor. J. Med. Crop Sci. 10, 126-131. 

  2. Baldwin, B. G., Sanderson, M. J., Porter, J. M., Wojciechowski, M. F., Campbell, C. S. and Donoghue, M. J. 1995. The ITS region of nuclear ribosomal DNA: a valuable source of evidence on angiosperm phylogeny. Ann. Missouri Bot. Gard. 82, 247-277. 

  3. Bea, K. H., Kim, J. A. and Choi, Y. E. 2009. Induction and in vitro proliferation of adventitious roots in Dendropanax morbifera. J. Plant Biotechnol. 36, 163-169. 

  4. Han, S. H., Jung, Y. H., Oh, M. H., Ko, M. H., Oh, Y. S., Koh, S. C., Kim, M. H. and Oh, M. Y. 1998. Phyt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Dendropanax morbifera and D. trifidus based on PCR-RAPD. Kor. J. Genetics 20, 173-181. 

  5. Im, H. T. 1992. Plant geographical study for the plant of Cheju. Kor. J. Plant Tax. 22, 219-234. 

  6. Jeong, B. S., Jo, J. S., Pyo, B. S. and Hwang, B. 1995.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Dendropanax morbifera and component analysis of the golden lacquer. Kor. Society Biotechnol. Bioeng. 10, 393-400. 

  7. Kim, H. R. and Chung, H. J. 1999. Seasonal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the Leav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J. Kor. Forest Society 88, 562-567. 

  8. Lee, M. K., Lee, I. S. and Lee J. S. 2013. For the utilization of native plant resources as high-value materials; evaluation on demelanizing activity of Dendropanax morbifera in bogildo. J. Kor. Island 25, 227-240. 

  9. Lee, S. H., Lee, H. S., Park, Y. S., Hwang, B., Kim J. H. and Lee H. Y. 2002. Screening of immune activation activities in the leav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Kor. J. Medicinal Crop Sci. 10, 109-115. 

  10. Lee, S. Y., Choi, E. J., Bae, D. H., Lee, D. W. and Kim, S. O. 2015. Effects of 1-tetradecanol and ${\beta}$ -sitosterol isolated from Dendropanax morbifera Lev. on skin whitening, moisturizing and preventing hair loss. J. Soc. Cosmet. Sci. Kor. 41, 73-83. 

  11. Lim, K. P., Chung, W. Y. and Hong, D. H. 1998.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 golden vamish (Hwangchil) (III) main component analysis of korea golden vamish traditionally refined from the exudates of hwangchil namu (Dendropanax morbifera Lev.). Mokchae Konghak 26, 73-80. 

  12. Loockerman, D. J. and Jansen, R. K. 1996. The use of herbarium material for DNA studies. pp. 205-220. In: Stussey, T. J. and Sohmer, S. (eds.), Sampling the Green World,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13. Murashige, T. and Skoog, F.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 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 473-497. 

  14. Park, S. A., Park, J., Park, C. I., Jie, Y. J., Hwang, Y. C., Kim, Y. H., Jeon, S. H., Lee, M. H., Ha, J. H., Kim, K. J. and Park, S. N. 2013. Cellular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s. Kor. J. Microbiol. Biotechnol. 41, 407-415. 

  15. Rogers, S. O. and Bendich, A. J. 1987. Ribosomal RNA genes in plants: variability in copy number and in the intergenic spacer. Plant Mol. Biol. 9, 509-520. 

  16.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 Mol. Biol. Evol. 4, 406-425. 

  17. Schaal, B. A. and Learn Jr, G. H. 1988. Ribosomal DNA variation within and among plant populations. Ann. Missouri Bot. Gard. 75, 1207-1216. 

  18. Thompson, J. D., Gibson, T. J., Plewniak F., Jeanmougin, F. and Higgins, D. G. 1997. The Clustal 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 Acids Res. 25, 4876-4882. 

  19. White, T. J., Birns, T., Lee, S. and Taylor, J.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pp. 315-322. In: Gelfand, D., J. Sninsky and T. White (ed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San Diego.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