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 신체발달과 외부환경 적응 및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angaroo Care on Physic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External Environment of Prematurity,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who Delivered Premature Infa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128 - 137  

이지원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어용숙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한정화 (좋은문화병원 간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의 신체발달, 외부환경 적응,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1개 종합병원에서 제왕절개분만을 한 미숙아와 미숙아 어머니로서 캥거루식 접촉을 시행 한 실험군 19명과 캥거루식 접촉을 하지 않은 대조군 19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6월 1일부터 2015년 6월 30일까지이며, 실험군에게 캥거루식 접촉을 하루 3회(1회 60분), 총 10회를 실시하였다. 미숙아의 신체발달(체중, 신장, 머리둘레)과 외부환경 적응(체온, 심박동수, 산소포화도)을 캥거루식 접촉 전에 측정하였고, 중재를 제공한 후 다시 측정하였다.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캥거루식 접촉을 시행한 실험군과 접촉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간의 차이에서 미숙아의 신체발달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체중 t=-0.83, p=.21 신장 t=-0.34, p=.37, 머리둘레 t=1.29, p=.10), 외부환경 적응에서 산소포화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27, p=.02). 미숙아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41, p=.34). 결론적으로 캥거루식 접촉은 미숙아의 외부환경 적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angaroo care on physical development adaptation of external environment of prematurity,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of those who delivered preterm infants. The subjects were 38 preterm infants and mothers with cesarean section delivery in the hospi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들을 대상으로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의 신체발달, 외부환경 적응,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의 신체발달, 외부 환경 적응,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의 신체발달과 외부환경 적응 및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이다. 즉, 실험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 대조군을 먼저 선정하여 사전·사후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에 실험군을 선정하여 사전조사와 실험처치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의 신체발달과 외부환경 적응 및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의 신체발달, 외부환경적응 및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의 미숙아에 대한 간호중재에 대한 근거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출생 초기의 부적절한 산소 공급은 뇌출혈, 뇌조 직의 비가역적인 손상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산소포화도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캥거루 케어가 미숙아들의 산소화에 도움을 주어 신경학적인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의를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아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6명으로 보고되고 있다[1]. 미숙아란 제태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미숙아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아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정상만삭아에 비해 정신지체, 뇌성마비, 청력손상 및 시력손상 발생 위험율이 25∼30배 높다[2].
미숙아들이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게 되는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이유는? 한편, 미숙아들이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게 되는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미숙아는 여러 기계의 소음과 밝은 조명 등의 스트레스 환경에 대한 노출로 정상 발달이 방해되며[3], 어머니는 장기간의 분리로 모아접촉이 제한되는 상황에 놓이게 되어 자신의 아기를 지각하는데 혼란을 가지면서 모아애착이나 모성자존감 등이 결여된다[4]. 
미숙아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이유는? 최근 여성의 사회진출의 확대로 출산연령의 증가, 신생아학의 발전, 의료기술의 발달 및 불임치료로 인한 쌍태아 출산 증가 등으로 인해 미숙아의 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국내의 경우 미숙아의 출산율은 2015 년 인구 천 명당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Birth certificate data, 2015, Retrieved May 26, 2016, http://kosts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54078 

  2. M. C. Mahoney, M. I. Cohen, "Effectiveness of developmental intervention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mplications for neonatal physical therapy", Pediatric Physical Theraphy, 7, 3, pp. 194-208, 2005. DOI: http://dx.doi.org/10.1097/01.pep.0000176574.70254.60 

  3. M. S. Kim, "The effect of sensory stimulation on body weight and behavioral states of premature infa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0. 

  4. Y. M. Ahan, M. R.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neonatal exposure, and maternal attachment, maternal self-esteem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mothers of NICU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5, pp. 798-809, 2005. 

  5. J. G. Long, A. G. Philip, J. F. Lucey, "Excessive handling as a cause of hypoxemia", Pediatrics, 65, pp. 203-207, 1980. 

  6. D. Holditch-Davis, T. R. Bartlett, M. Belyea, "Developmental problems and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prematurely born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5, pp. 157-167,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882-5963(00)70004-2 

  7. World Health Organization, "Kangaroo mother care: A practical guide", [Internet]. Geneva: Dept. of Reproductive Health Research; 2003 [cited 2012 May 5].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aternal_child_adolescent/documents /9241590351/en/ 

  8. A. Whitelaw, K. Sleath, "Myth of the marsupial mother: Home care of very low birth weigh babies in Bogota. Columbia", Lancet, 1, pp. 1206-1208, 1985.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85)92877-6 

  9. R. P. Bell, J. McGrath, "Implementing a research-based kangaroo care program in the NICU".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31, 2, pp. 387-403, 1996. 

  10. N. Charpak, J. G. Ruiz, J. Zupan, Z. Figueroa, R. Tessier et al, "Kangaroo mother care",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3, 4, pp. 20-26, 2005. 

  11. D. Acolet, K. Sleath,, A. Whitelaw, "Oxegenation, heart rate and temperature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during skin to skin contact with their mothers", Acta Paediatrica Scandinavica, 78, pp. 189-193, 1989. DOI: http://dx.doi.org/10.1111/j.1651-2227.1989.tb11055.x 

  12. R. Feldman, A. I. Eidelman "Skin-to skin contact (Kangaroo Care) accelerates autonomic and neurobehavioural maturation in preterm infants", Development Medical Child Neurology, 45, pp. 274-281, 2003. DOI: http://dx.doi.org/10.1111/j.1469-8749.2003.tb00343.x 

  13. R. Tessier, M. Cristo, S. Velez, M. Giro′n, Z. Calume et al., "Kangaroo mother care and the bonding hypothesis", Pediatrics, 102, 2, p.17, 1998. DOI: http://dx.doi.org/10.1542/peds.102.2.e17 

  14. A. J. Engler, S. M. Ludington-Hoe, R. M. Cusson, R. Adams, M. Bahnsen, E. Brumbaugh, P. Coates, J. Grieb, L. McHargue, D. L. Ryan, M. Settle, D. Williams, "Kangaroo care: national survey of practice, knowledge, barriers, and perceptions", Maternal Child Nursing, 27, 3, pp. 146-153, 2002. DOI: http://dx.doi.org/10.1097/00005721-200205000-00004 

  15. J. H. Lee, K. S. Bang, "The effects of kangaroo care on maternal self-esteem and premature infa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 5, pp. 454-462, 2011.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5.454 

  16. Y. I. Moon, H. Y. Koo, "The effects of Kangaru care on anxiety and confidence and gratification of mothering role in mother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6, 3, pp. 281-290, 2000. 

  17. H. J. Shin, I. S. Park, "Effect of kangaroo care on mental and motor developmental in premature infant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17, 2, pp. 215-226, 2013. DOI: http://dx.doi.org/10.21896/jksmch.2013.17.2.215 

  18. J. H. Lim, G. U. Kim, Y. H. Shin, "Effects for kangaroo care: systematic review & meta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 3, pp. 599-610,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3.599 

  19.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Hillscale, New York: Erlbaum. 1988. 

  20. S. B. Lee, H. S. Shin, "Effects of Kangaroo care on anxiety,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nfant attachment of mothers who delivered preterm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6, pp. 949-956, 2007. 

  21. R. P. Lederman, C. G. Weigarten, E. Lederman, "Postpartum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measures of maternal adaptation", Birth Defects Original Article Service, 17, 6, pp. 201-231, 1981. 

  22. Y. E. Lee,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impact of an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of primiparous mothers and enhance their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hwa University, Seoul, 1991. 

  23. M. Y. Jang, "Effects of Kangaroo care on growth in premature infants and on maternal attach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5, 4, pp. 335-342, 2009. DOI: http://dx.doi.org/10.4094/jkachn.2009.15.4.335 

  24. A. Whitelaw, G. Heisterkamp, K. Sleath, D. Acolet, M. Richards, "Skin to skin contact for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their mother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63, pp. 1377-1381, 1998. DOI: http://dx.doi.org/10.1136/adc.63.11.1377 

  25. M. A. Turley, "A meta-analysis of informing mothers concerning the sensory and perceptual capabilities of their infants; the effects on maternal-infant interaction". Maternal Child Nursing Journal, 14, 3, pp 183-197, 1985. 

  26. H. Als, G. L, F. H. Duffy, G. B. Mcanulty, R. Gibes-Grossman, J. G. Blickma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for the very low-birht-weight preterm infant. Medical and neurofunctional effec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2, 11, pp. 853-858, 1994. DOI: http://dx.doi.org/10.1001/jama.272.11.853 

  27. H. S. Kim, "The effect of sensory intergration program for low birth weight infant on growth index, behavioral state and physiologic response change",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96. 

  28. H. S. Lim, "Effects of Yakson therapy on growth and stable state of preterm infants and on maternal attach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005. 

  29. R. Mori, R. Khanna, D. Pledge, T. Nakayama, "Meta-analysis of physiological effects of skin-to-skin contact for newborns and mothers", Pediatrics International, 52, pp. 161-170,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442-200X.2009.02909.x 

  30. Y. M. Yan, J. H. Kim, "Comparison of maternal self-esteem, postpartal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mothers of normal and of low birth-weight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5, pp. 580-590, 2003. 

  31. K. S. Bang, "Perception of Nurses and Physician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n Kangaroo Care", Journal Academic Child Health Nurses, 17, 4, pp. 230-270, 2011. DOI: http://dx.doi.org/10.4094/jkachn.2011.17.4.2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