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GE모형을 이용한 친환경농업직불제의 경제적 성과계측
An Economic Evaluation on the Direct Payment System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in Korea Using AGE Mode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39 - 45  

김명수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농업경제학과) ,  이용호 (산업연구원 산업통상분석실) ,  김배성 (제주대학교 산업응용경제학과.친환경농업연구소.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친환경 농업부문 직불금의 지원이 농업부문 거시경제 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농업부문을 일반농업과 친환경농업 부분으로 구분한 AGE(applied general equilibrium)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은 먼저 직불금 지원의 경제적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직불금 지급 이전의 상황을 기준으로 직불금이 지급된 몇 가지 상황을 시나리오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즉 기준전망(baseline)은 직불금 지급 이전 상황, 시나리오 1은 직불금이 실제 수준으로 지급된 상황, 시나리오 2는 실제 직불금 보다 5% 추가 지원한 상황, 시나리오 3는 실제 직불금 보다 10% 추가 지원한 상황, 시나리오 4는 실제 수준 보다 15% 추가 지원한 상황, 시나리오 5는 실제 수준 보다 20% 추가 지원한 상황으로 설정하였다. 기준전망 및 시나리오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친환경 농업부문에 직불금의 투입으로 친환경 농업부문에 대한 고정자본 형성, 생산량, 노동생산성이 증대되었고, 이에 따른 노동력 대체효과로 친환경 농업부문 취업자는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 농산물 가격은 직불금 투입 전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공급 및 수요에 대한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이고, 분석기간 동안 소비자들의 소득에 큰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보다 더 정교한 분석을 위해 친환경 직불금의 투입에 따른 고정자본의 형성과 노동력의 대체 수준, 친환경 농업 및 농산물 관련 통계 자료의 보완에 따른 모형의 개선 등에 대해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ses the macroeconomic effects of the direct payment system (DP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in Korea. We utilized the applied general equilibrium model (AGE model) for the general agricultural sector as well as the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sector. We conside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직불금에 대한 성과 평가는 주로 사업별 또는 품목별로 이루어져 있어, 농업부문 전체에 미치는 경제적인 성과를 확인하기가 힘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직불금 지원이 농업부문의 생산, 고용, 임금, 가격 등 주요 경제지표에 미치는 성과계측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부의 친환경 농업직불금 지원실적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 직불금을 주기 이전과 이후의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다. 기준전망(baseline)은 직불금을 지원하기 이전의 상황으로 설정하고, 시나리오는 아래 Table 3와 같이 각각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친환경 농업부문 직불금의 지원이 농업부문 거시경제 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농업부문을 일반농업과 친환경농업 부분으로 구분한 AGE(applied general equilibrium)모형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직불금 지원의 목적은? 친환경 영농 확산을 위해 지속적인 친환경직불금 지원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가 미진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친환경직불제의 미래지향적이고, 보다 합리적인 추진을 위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성과 계측이 필요하다.
기존의 직불금에 대한 평가 내용 및 한계는? 이에 따라 친환경직불제의 미래지향적이고, 보다 합리적인 추진을 위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성과 계측이 필요하다. 기존의 직불금에 대한 성과 평가는 주로 사업별 또는 품목별로 이루어져 있어, 농업부문 전체에 미치는 경제적인 성과를 확인하기가 힘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직불금 지원이 농업부문의 생산, 고용, 임금, 가격 등 주요 경제지표에 미치는 성과계측을 하고자 한다.
농림업부문과 비농림업부문으로 구분한 거시계량경제모형은 어떤 모형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나? [2] 연구는 영향분석을 위해 국민경제 내 산업을 농림업부문과 비농림업부문으로 구분한 거시계량경제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모형은 일반균형이론(theory of general equilibrium)에 근거한 거시경제모형으로 수요부문으로 변화가 소득 및 물가변동을 설명하는 케인즈의 소득지출모형을 바탕으로 개발 되었다. 모형은 수요, 공급, 물가의 3개 부문, 총 25개 방정식으로 구성되었고, 당기(t기) 추정결과 도출을 위해 전기(t-1기)추정결과를 이용하고, 정책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구축된 동태 축차적 시뮬레이션모형(dynamic recursive simulation model)으로 구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J. H. Kim, "Economic effect analysis of the agricultural sector by special tax for rural areas", A monthly report of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1998. 

  2. Y. T. Kim, E. S. Hwang, J. G. Park, H. P. Moon, O. S. Kwon, T. H. Lee, Research about performance analysis of Agricultural government investment and future direction, KREI, a report of research(C2003-14), 2003. 

  3. C. G. Kim, H. K. Jung, S. H. Oh, S. I. Park, Development of Econometric Model for effectiveness evalua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olicy, KREI, research material-1(R708), 2013. 

  4. M. H. Sung, J. H. Song, (A)preliminary study for operating the policy evaluation model developed, KREI, 2006. 

  5. Roger Martini, "Policy Evaluation Model : Connecting the PSE to economic outcomes", OECD Regional Meeting on Agricultural Policy Reform. Bucharest, Romania, 2007. 

  6. OECD, THE PSE MANUAL : Chapter 12. Using the Indicators in OECD Policy Modeling. pp. 173-181, 2009. 

  7. OECD, Linkages between Agricultural Policies and Environmental Effects, Using the OECD Stylised Agri-environmental Policy Impact Model : General description of the SAPIM framework, pp. 15-20,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