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SDI 설문지를 이용한 안구건조증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of Dry Eye Disease Its Affecting Factors by Using OSDI Questionnair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93 - 103  

한승희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영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병원 근로자를 대상으로 안구표면질환지수 설문지를 이용하여 안구건조증 유병률을 알아보고, 안구건조증 유무에 따른 일반적 및 건강관련 특성의 차이를 파악한 후 안구건조증 유병률과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시의 종합병원 근로자 502명(남성 51명, 여성 4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0월 1일부터 2015년 10월 31일까지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안구건조증 유병률은 76.1%이었으며, 안구건조증 유병율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현재 앓고 있거나 약으로 조절하고 있는 질병이 있는 경우에 없는 경우보다 4.73배, 안구건조감을 느낀 대상자 중 안과에 내원하여 약물치료(인공눈물)을 받아 본 적이 있는 대상자에서 없는 대상자보다 2.37배, 안구 건조감을 느낀 적이 있는 대상자가 느낀 적 없는 경우보다 2.23배, 규칙적인 식사를 하지 않은 경우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경우보다 0.55배의 높은 안구건조증 유병률을 보였다. 특히 안구건조증 대상자 중 54.0%가 중증도 이상임을 감안할 때 안구건조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 안구건조증 위험인자의 관리 및 생활습관 개선 등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sisted of descriptive research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dry eye disease using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questionnaire targeting workers in hospital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l a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hether people have d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실내에서 근무하고 있는 병원근로자를 대상으로 피검자가 안구 표면에서 지각할 수 있는 증상과 관련된 12가지 항목의 질문으로 구성된 OSDI 설문지[28]를 이용하여 안구건조에 관한 특성을 살펴보고, 안구건조증과 관련된 요인과 유병률을 파악하여 안구건조증의 교육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구건조증 원인은 무엇인가? 안구건조증 원인은 단순 건조에 의한 것이기보다는 눈물성분의 변화로 불쾌감, 시력장애, 안구표면의 무균성 또는 세균성 각막궤양을 일으키는 염증성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4]. 안구건조증 증상으로는 눈에 모래가 들어간 것 같은 이물감, 뻑뻑함, 눈앞에 막이 낀 듯이 물체가 흐려 보임, 쉽게 피로해지는 눈, 화끈거림, 무거운 눈꺼풀, 이유 없는 눈 충혈 등이 나타나며[5], 끈적끈적한 눈곱이 끼거나, 증상이 심한데도 불구하고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 경우 각막 손상을 초래하여 심하게는 시력장애를 초래하기도 한다[6].
안구건조증이란 무엇인가? 안구건조증(Dry Eye Disease)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눈물 생성의 감소와 눈물 증발의 증가로 인한 안구의 건조 증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정의 되었다[1]. 2013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7년∼2011년) 안구건조증으로 진료 받은 환자가 연간 11.
성별에 대한 안구건조증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4%로 증가추세를 보였다[2]. 성별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연평균 증가율이 각각 11.1%, 11.4%로 비슷한 수치를 보이지만 진료인원은 여성 150만 9,040명, 남성 68만 4,184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2.2배 더 높았으며[2], 여성의 경우 폐경기 여성에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여 성호르몬과 관련성을 보고하였다[3]. 특히 환절기(3,4월)와 냉방으로 밀폐된 공간에 있는 시기가 많은 8월에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로 인해 최근 5년간 안구건조증 진료비가 2007년 685억에서 2011년 1,288억으로 약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 S. Park, M. J. Choi, J. E. Ma, J. H. Moon, H. J. Moon, "Influence of Cellular Phone Videos and Games on Dry Eye Syndrome i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5, no. 1, pp. 12-23, 2014.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4.25.1.12 

  2. Health Policy Insurance researcher, "Dry eye Press releas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3. D. A. Schaumberg, D. A. Sullivan, J. E. Buring, M. R. Dana, "Prevalence of dry eye syndrome among US women",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 136, no. 2, pp. 318-326, 2013. DOI: http://dx.doi.org/10.1016/S0002-9394(03)00218-6 

  4. M. A. Lemp, C. Baudouin, J. Baum, M. Dogru, G. N. Foulks, S. Kinoshita, P. Laibson, J. McCulley, J. Murube, S. C. Pflugfelder, M. Rolando, K. Toda, A. J. Bron,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dye workshop", The Ocular Surface, vol. 5, no. 2, pp. 75-92, 2007. DOI: http://dx.doi.org/10.1016/S1542-0124(12)70081-2 

  5. M. E. Stern, S. C. Pflugfelder, "Inflammation in dry eye", Ocular Surface, vol. 2, pp. 123-130, 2004. DOI: http://dx.doi.org/10.1016/S1542-0124(12)70148-9 

  6. E. Y. Kim, "[Health Life]Prevention Dry Eye", Journal of The Electrical World Monthly Magazine, pp. 62-64, 2009. 

  7. K. J. Cho, H. K. Kim, M. H. Lim, H. S, Baek, Y. A, Yang, B. H. Kang, J. Y. Lee, J. Y. kim, M. S. Kim, C. M. Lee, Depression, "ADHD, Job Stress and Sleep Problems with Dry Eye Disease in Korea", The Journal of Psychiatry, vol. 18, no. 6, pp. 1-5, 2015. 

  8. P. Wolkoff, J. K. Nojgaard JK, C. Franck, "The modern office environment desiccates the eye?", Indoor Air, vol. 16, no. 4, pp. 258-265,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600-0668.2006.00429.x 

  9. S. C. Lee, K. H. Jin, "Reviews: Dry eye syndrome", The Journal of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vol. 22, no. 2, pp. 107-111, 2006. 

  10. S. H. Hwang, Y. H. Choi, H. J. Paik, W. R. Wee, M. K. Kim, D. H. Kim, "Potential Importance of Ozone in the Association Between Outdoor Air Pollution and Dry Eye Disease in South Korea", JAMA Ophthalmol, vol. 134, no. 5, pp. 503-510, 2016. DOI: http://dx.doi.org/10.1001/jamaophthalmol.2016.0139 

  11. D. J. Kim, M. C. Park, S. H. Lee, H. U. Kim, W. J. Lee, J. W. Cha, "The Influence of Office Indoor Air Quality on the Dry Eye Symptom of contact Lens Wearers", The Journal of Korean Ophthalmology Society, vol. 17, no. 2, pp. 215-222, 2012. 

  12. J. Kanski, Clinical ophthalmology. K. H. Jin, I. G. Park., S. Y. Yu, U. H. Nam, H. U. Gwak, Translator. Seoul: Jeongdam; pp. 56-61, 2005. 

  13. S. H. Lee, Evaluating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use on the psycho-physiological condi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11. 

  14. J. W. Koo, J. Y. Lee, S. H. Lee, "Subjective eye symptoms due to VDT work in banking operation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 Environment Medication, vol. 30, no. 4, pp. 89-94, 1991. 

  15. E. M. Chia, P. Mitchell, E. Rochtchina, A. J. Lee. R. Maroun, "Prevalence and associations of dry eye syndrome in an older population: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Clinical Experimental Ophthalmology, vol. 31, pp. 229-232,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442-9071.2003.00634.x 

  16. W. J. Kim, S. D. Kim, H. J. Kim, H. H. Kim, C. M. Lee, Y. S. Kim, "Impact of Indoor Air Quality on the Eye Conditions of Occupants in Newly-built University Buildings", 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ol. 16, no. 2, pp. 201-207, 2011. 

  17. D. W. Dockery, J. D. Spengler, "Personal exposure to respirable particle and sulfate", Journal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Association, vol. 32, no. 2, pp. 153-159, 1981. DOI: http://dx.doi.org/10.1080/00022470.1981.10465205 

  18. J. D. Spengler, J. M. Samet, J. F. McCarthy, "Sick building syndrome studies and the compilation of normative and comparative values", Indoor Air Quality Handbook, New York Mcgraw Hill, 2000. 

  19. C. M. Yun, S. Y. Kang, H. M. Kim, J. S. Song, "Prevalence of Dry Eye Diseas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Ophthalmology Society, vol. 53, no. 4, pp. 505-509, 2012. DOI: http://dx.doi.org/10.3341/jkos.2012.53.4.505 

  20. S, Her, K. H. Kim, "Dry Eye Syndrome and Ocular Fatigue according to the Status of Contact Lens Wearing and Management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5, no. 4, pp. 259-269, 2014.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4.25.4.259 

  21. J. H. Moon, J. W. Jung, K. H. Shin, H. J. Paik, "Effect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Dry Eye Syndrome in Postmenopausal Women: A Prospectiv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Ophthalmology society, vol. 51, no. 2, pp. 175-179, 2010. 

  22. K. J. Lee, J. W. Byun, M. Y. Mun, H. S. Leem,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ual Patient-Reported Symptoms and Signs in the Soft Contact Lens Wearers", The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ol. 13, no. 3, pp.19-28, 2008. DOI: http://dx.doi.org/10.3341/jkos.2008.49.1.19 

  23. D. P. Kim, K. J. Lee, J. H, Eom, S. M, Choi, H. Y. Doo, M. J. Park, J. H Hwang, D. K. Oh, K. C. Mah, "Ocular Symptoms of Contact Lens Wearers Identified by a Dry Eye Survey",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 13, no. 3, pp.213-223, 2011. 

  24. D. L. Oh, S. J. Oh, B. Y. Jung, K. Lee, K. J. Mah, "Comparison of MaMonnies and OSDI Questionnaires for Screening Dry ey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 16, no. 4, pp.593-603, 2014. 

  25. K. K. Nichols, J. J. Nichols, G. L. Mitchel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cMonnies Dry Eye Index", Cornea, vol. 23, no. 4, pp.365-371, 2004. DOI: http://dx.doi.org/10.1097/00003226-200405000-00010 

  26. K. L. Miller, J. G. Walt, D. R. Mink, S. Satram-Hoang, S. E. Wilson, H. D. Perry, P. A. Asbell, S. C. Pflugfelder,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for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128, no. 1, pp.94-101, 2010. DOI: http://dx.doi.org/10.1001/archophthalmol.2009.356 

  27. R. M. Schiffman, M. D. Christianson, G. Jacobsen, J. D. Hirsch, B. L, Rei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Archives of Ophthalmology, vol. 118, no. 5, pp. 615-621, 2000. DOI: http://dx.doi.org/10.1001/archopht.118.5.615 

  28. ChosunMedia, 1 in 3 Adult severe adults dry eye patients, February, 28, 2007, from http://health.chosun.co.kr/site/data/htmldir/2007/02/28/2007022800411.html. 

  29. R. Ranjan, S. K. Shukla, C. V. Singh, B. N. Mishra, S. Sinha, B. D. Sharma, "Prevalence of Dry Eye and Its Association with Various Risk Factors in Rural Setup of Western Uttar Pradesh in a Tertiary Care Hospital", Ope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 6, pp. 57-63, 2016. DOI: http://dx.doi.org/10.4236/ojpm.2016.61005 

  30. A. J. Paulsen, K. J. Cruickshanks, M. E. Fischer, G. H. Huang, B. E. Klein, R. Klein, D. S. Dalton, "Dry Eye in the Beaver Dam Offspring Study: Prevalence, Risk Fact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 157, no. 4, pp. 799-806, 2014. DOI: http://dx.doi.org/10.1016/j.ajo.2013.12.023 

  31. Ulsanpress, Ulsan, dry eye rank marked of the best in the whole country prevalence rate, 2016, June, 4, from http//www.ulsanpress.net/news/article View.html?idxno176624. 

  3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ealth growing persons", vol. 140, pp. 4-15, 2014. 

  33. M. W. Nowak, J. Smigielski, J,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Dry Eye Disease among Older Adults in the City of Lodz, Poland", Ope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 6, pp. 1-5, 2016. DOI: http://dx.doi.org/10.4236/ojoph.2016.61001 

  34. Teo L, Lim L, Tan DT, Chan TK, Jap A, Ming LH, "A survey of contact lens complications in Singapore", Eye & Contact Lens Science & clinical Practice, vol. 37, no. 1, pp. 16-19, 2011. 

  35. Y. W. Suh, K. H. Kim, S. Y. Kang, S. W. Kim, J. R. Oh, H. M. Kim, H. M. Kim, J. S. Song, "The objective methods to evaluate ocular fatigue associated with computer work",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vol. 51, no. 10, pp. 1327-1332, 2010. DOI: http://dx.doi.org/10.3341/jkos.2010.51.10.1327 

  36. J. M. Ahn, S. H. Lee, T. H. T. Rim, R. J. Park, H. S. Yang, T. I. Kim, K, C. Yoon, K. Y. Seo,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ry Eye :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 158, no. 6, pp. 1205-1214, 2014. DOI: http://dx.doi.org/10.1016/j.ajo.2014.08.0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