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자들의 비만, 콜레스테롤, 고혈압, 고혈당의 관련성
Relationships of Obesity, Total-Cholesterol, Hypertension and Hyperglycemia in Health Examinees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591 - 599  

홍민희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민건강보험공단 직장가입자들 중 만 20세 이상의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2009년도 3,186명, 2013년도 3,611명의 경증장애인들을 조사하였다. 경증 장애인은 장애인 분류표준 기준으로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 신장장애, 기타장애 판정을 받은 장애인들 중 3~6등급 장애인으로 그룹화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경증장애인들의 비만이 고혈당, 고혈압, 고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위험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측정 항목으로는 복부비만, Body Mass Index, 공복시 혈당, 총콜레스테롤, 이완기 확장기혈압을 조사하였으며, 비만도와 각 질환의 위험군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다항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남성,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복부비만과 BMI가 증가하였다. 또한, 각 질환별 이상군에서 복부비만군과 BMI의 위험도가 높았다. 2009년도는 BMI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고혈압 위험도는 1.51배 높게 나타났다. 복부비만군은 정상인에 비해 고콜레스롤은 1.59배, 고혈압은 1.26배, 고혈당은 1.54배 더 높은 위험도를 나타냈다. 2013년도는 BMI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고콜레스테롤은 1.72배, 고혈압은 1.43배 더 높은 위험도를 나타냈다. 복부비만인은 정상인에 비해 고혈당의 위험도가 1.59배 더 높게 나타났다. 장애인에서 비만의 위험도가 정상인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난 결과로 보아, 장애인들의 정기적인 건강검진 수검율을 높이고 확대실시하여, 장애인들의 질병양상을 확인하고, 비만예방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 관심이 요구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the employer-supported subscribers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6,797 people with mild disabilities with western ages of 20 and up and who received health checkups were investigated. Of these 6,797 people, 3,186 and 3,611 received health checkups in 2009 and 2013, respectively.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점에서 장애인 건강의 주요 위험요인인 비만이 각종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분석하고 원인을 밝히는 것은 장애인의 비만 예방과 관리의 토대가 된다[17]. 따라서 본 연구는 2009년과 2013년도 장애인의 비만군을 살펴보고, 비만군이 각종 질환의 증상에 미치는 위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셋째, 장애인의 비만군이 고콜레스테롤, 고혈압및 고혈당에 미치는 위험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 장애인들의 건강상태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장애인의 질병예방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의 건강상태를 살펴보고, 장애인들의 비만의 정도와 각 질환들의 위험군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들의 체중 증가 빈도가 높아지는 이유는? 건강하고 질적인 삶을 유지하는 것이 모든 인류가 누려야할 혜택임에도 불구하고 장애 인구는 신체적 기능의 제한으로 건강상태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2-3]. 장애인들은 일상생활활동에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움직임을 회피하여 신체적으로 비활동적이 되며, 일반 성인에서 요구되는 신체활동량을 충족할 수 없게 되므로 체중 증가 빈도가 높아지게 된다[4]. 이와 같이 움직임의 감소로 나타나는 비만은 장애 인구에서 일반인에 비하여 1.
우리나라 장애 인구 증가의 배경은? 현재 우리나라는 인구분포의 고령화뿐만 아니라 교통사고와 산업재해의 증가로 2005년에 약 4.59%였던 장애 인구가 2014년에는 5.
장애인의 만성질환에 대한 관리를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2009년과 2013년도 장애인의 비만, 고콜레스테롤, 고혈압 및 고혈당의 비율을 비교한다. 둘째, 2009년과 2013년도 직장가입자의 경증장애인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BMI, 복부비만, 고콜레스테롤, 고혈압, 고혈당의 차이를 살펴본다. 셋째, 장애인의 비만군이 고콜레스테롤, 고혈압및 고혈당에 미치는 위험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Disabilities Survey results released. 2014. http://www.mw.go.kr (accessedMach.,5, 2016). 

  2. D. G. Kim, D. H. Shin, "Study on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Level and Self-Esteem",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9, no. 1, pp. 151-172, 2015. DOI: http://dx.doi.org/10.16884/JRR.2015.19.1.151 

  3. K. D. Ko, K. Y. Lee, B. Cho, M. S. Park, K. Y. Son, J. H. Ha, S. M. Park, "Disparities in health-risk behaviors, preventive health care utilizations, and chronic health condi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92, no. 8, pp. 1230-1237, 2011.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11.03.004 

  4. D. D. Carroll, E. A. Courtney-Long, A. C. Stevens, M. L. Sloan, C. Lullo, S. N. Visser, M. H. Fox, B. S. Armour, V. A. Campbell, D. R. Brown, J. M. Dorn, "Vital signs: Disability and physical activity - United States, 2009-201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morbidity and mrtality weekly report, vol. 63, no. 18, pp. 407-413, 2014. 

  5. E. Weil, M. Wachterman, E. P. McCarthy, R. B. Davis, L. I. O'Day, L. I. Iezzoni, C. C. Wee, "Obesity among adults with disabling condi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88, no. 10, pp. 1265-1268, 2002. DOI: http://dx.doi.org/10.1001/jama.288.10.1265 

  6. H. O. Kim, K. H. Joung, "A Study on the Needs of Health & Community Services Among the Disabled at Home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18, no. 3, pp. 480-491, 2007. 

  7. P. T. Katzmarzyk, I. Janssen, C. I. Ardern, "Physical inactivity, excess adiposity and premature mortality", Obes. Rev, vol. 4, no. 4, pp. 257-290, 2013. DOI: http://dx.doi.org/10.1046/j.1467-789X.2003.00120.x 

  8. Execut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trerol in adults", JAMA, vol. 285, pp. 2486-2496, 2001. DOI: http://dx.doi.org/10.1001/jama.285.19.2486 

  9. World Health Organization. Reducing Risks - Promoting Healthy Life. World Health Report. Geneva. 2002. 

  10. T. H. Liou, F. X. Pi-Sunyer, B. Laferree, "pysical disability and obesity", Nutrition Reviews, vol. 63, no. 10, pp. 321-31,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753-4887.2005.tb00110.x 

  11. D. M. Kim, "The Effect of Obesity Rate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Exercise, vol. 22, no. 3, pp. 15-28, 2014. DOI: http://dx.doi.org/10.17006/kjapa.2014.22.3.15 

  12. D. M. Kim, "Comparative study of obesity according to levels of visual impairment and age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30, no. 2, pp. 181-198, 2014. 

  13. C. D. Han, I. H. Yang, W. S. Lee, Y. J. Park, K. K. Park, "Cor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knee osteoarthriti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BMC Public Health, vol. 22, no. 13, pp. 603, 2013. DOI:http://dx.doi.org/10.1186/1471-2458-13-603 

  14. G. Dejong, S. E. Palsbo, P. W. Beatty, G. C. Jones, T. Knoll, M. T. Neri, "The organization and financing of health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ilbank Q, vol. 80, no. 2, pp. 261-301, 2002. DOI:http://dx.doi.org/10.1111/1468-0009.t01-1-00004 

  15. J. S. Oh, "The study of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health service utilization by chronic patients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the self-employed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5. 

  16. M. E. Diab, M. V. Johnston, "Relationships between level of disability and receipt of preventive health services", Arch Phys Med Rehabil, vol. 85, no. 5, pp. 749-757, 2004.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03.06.028 

  17. M. K. Oh, "Differences in Obesity Rate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y and its Affecting Factors :a Nationwide Population Study in South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11. 

  18. S. B. Wang, Y. C. Cho, "Body Mass Index and Subsequent Risk of Hypertension, Hyperglycemia and Hypercholesterolemia in Health Checkup Examine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6, pp. 2677-2684,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6.2677 

  19.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p. 106-126, 2014.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Survey of the Disabled. [Internet]: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cited 2015. April 20], Available From : health&before_querydisabledhealth&SortType1&dateGbnall&boolTypeand&catALL &nowPage3. (accessedApril., 20, 2015). 

  21. E. S. Kim, K. H. Kim, Y. C. Cho, "Prevalence of clustering of coronary risk factors in health checkup examine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0, no. 3, pp. 625-633, 2009. DOI: http://dx.doi.org/10.5762/KAIS.2009.10.3.625 

  22. E. E. Calle, M. J. Thun, J. M. Petrelli, C. Rodriguez, C. W. Heath,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in prospective cohort of U.S. adult", N Engl J Med, vol. 341, no. 15, pp. 1097-1105, 1999. DOI: http://dx.doi.org/10.1056/NEJM199910073411501 

  23. S. Klein, D. B. Allison, S. B. Heymsfield, D. E. Kelley, R. L. Leibel, N. Cathy, R. Kahn, "Waist Circumference and Cardiometabolic Risk: A Consensus Statement from Shaping America's Health: Association for Weight Management and Obesity Prevention; NAASO, The Obesity Society", The American Society for Nutrition; and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07. DOI: http://dx.doi.org/10.1038/oby.2007.632 

  24. P. M. McKeigue, S. Bela, M. G. Marmot, "Relation of central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with high diabetes prevalence and cardiovascular risk in South Asians", Lancet, vol. 337, pp. 382-386, 1991. DOI: http://dx.doi.org/10.1016/0140-6736(91)91164-P 

  25. M. Janet, M. D. Torpy, Obesty. JAMA. vol. 289, no. 14, pp. 1880, 2003. DOI: http://dx.doi.org/10.1001/jama.289.14.1775 

  26. J. A. Louis, "Classification of obesity and assessment of obesity-related health risks", Obes Res, vol. 10, pp. 105-115, 2002. DOI: http://dx.doi.org/10.1038/oby.2002.203 

  27. P. M. Kearney, M. Whelton, K. Reynolds, P. Muntner, P. Whelton, J He, "Gloval burden of hypertension: Analysis of worldwide data", Lancet, vol. 365, no. 9455, pp. 217-223, 2005.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05)17741-1 

  28. M. H. Hong, "Effect of Health Status on Obesity in Health Screening Examinees with Disabilities",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vol. 22, no. 6, pp. 865-875, 2015. 

  29. K. Ishikawa-Takata, T. Ohta, K. Moritaki, "Obesity weight change and risks for hypertension, diabetes, and hyper-cholesterolemia in Japanese men", Eur J Clin Nutr, vol. 56, no. 7, pp. 601-607, 2002. DOI: http://dx.doi.org10.1038/sj.ejcn.1601364 

  30. H. R. Chung,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Korean Adults: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 J of Nutr, vol. 37, no. 7, pp. 684-691, 2006. 

  31. D. Hoyer,E, J. Boyko, M. J. McNeely, D. L. Leonetti, S. E. Kahn, W. Y. Fujimoto, "Subcutaneous thigh fat area is unrelated to risk of type 2 diabetes in a prospective study of japanese americans", Diabetologia, vol. 54, no. 11, pp. 2795-2800, 2011.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03.06.028 

  32. J. P. Despres, I. Lemieux,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Nature, vol. 444, no. 7121, pp. 881-887, 2006. DOI: http://dx.doi.org/10.1038/nature05488 

  3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aj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business guide, pp. 143-153. 2010. http://www.mw.go.kr 

  34. Y. E. Lee, "Factors related to obesity and chronic disease prevalence according to obesity types: 1998-2005 KNHAN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